•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経典釋文≫の音義に基づく16世紀朝・日の ≪詩経≫翻譯比較 -≪詩経諺解≫(1583~1593成立)と清原宣賢の≪毛詩鄭箋≫ 訓點本(1521)に表れた声母相違による意味派生の反映(1)-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06
38P 미리보기
≪経典釋文≫の音義に基づく16世紀朝・日の ≪詩経≫翻譯比較 -≪詩経諺解≫(1583~1593成立)と清原宣賢の≪毛詩鄭箋≫ 訓點本(1521)に表れた声母相違による意味派生の反映(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55호 / 29 ~ 66페이지
    · 저자명 : 한경호

    초록

    本稿では四書三経を資料とする研究の一環として、先ず≪詩経≫の代表的な注釈資料である≪毛詩鄭傳≫に基づいて1583~1593年の間に諺解されている最古の現傳本は光海君が在位していた1613年に編纂された≪詩経諺解≫とそれよりは少々早い時代、1521年に成立された文献である清原宣賢の≪毛詩鄭箋≫の訓點本を≪経典釈文≫の音切との比較に基づいて研究する。本稿は以上の通り、≪毛詩鄭箋≫の多音字として<將・敗・感>の派生された音義が≪詩経諺解≫と清原宣賢の訓點本で如何に反映されたのかを≪経典釋文≫を通じて探究した。その結果は以下のようである: 1)本稿の研究資料の中で例が最も多い<將>の場合、<*tsaŋᵇ>꜀tsɰɑŋ> (ささげる~壮大なさま)とその使役化を通じて派生された<*tsʰaŋᵇ>꜀tsʰɰɑŋ> (請う)意味相違に対して、諺解では直讀直解が普遍的であり、一部の例外は≪詩集傳≫の引用であった。それと比べ、清原宣賢訓點本は≪類聚名義抄≫などの日本固有の資料は勿論、明らかに≪毛詩鄭箋≫の注釋までも參照して結果を出したことが再び確認された。 2)<敗>は*pratsᵃ>paj꜄(やぶる)と*bratsᵃ>baj꜄(ほろびる~やぶれる)の意味を諺解は直讀直解したのみであるが、清原訓點本では一律的に<やぶる>に該當する訓點を示している。 3)*kɨmʔᵃ>꜂kʌm(感じる)と*N-kɨmʔᵃ>*ɡɨmʔᵃ>꜂ɦʌm(搖り動かす~震える)の複数の読み方を持っている<感>に対して諺解は直讀直解のみをし、具體的解釋はなし。清原訓點本はその中で明らかに*N-kɨmʔᵃ>*ɡɨmʔᵃ >꜂ɦʌmを選び、訓讀を<ウコ(゛)カス>としている。 4)上古中国語の<使役化>が行われた條件は[±aspirated]と[±voice]などの複數であることも明らかになったが、これに対しては以降一層深く研究する必要がある。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