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마오난족(毛南族) 파왕굿의 민속지적 분석과 꽃과 다리의 상징 (The Maonan People’s “Votive Ceremony to Powa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0.11
38P 미리보기
중국 마오난족(毛南族) 파왕굿의 민속지적 분석과 꽃과 다리의 상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72권 / 295 ~ 332페이지
    · 저자명 : 高靜, 전성희

    초록

    중국 마오난족(毛南族)의 파왕굿은 가.무.악.극 등을 통해 생명꽃밭을 관장하는 파왕신을 좌정시켜 자식을 비는 기자(祈子)굿이다. 파왕굿의 핵심적인 절차는 다리를 가설하여 생명꽃을 구하는 가교구화(架橋求花)이다. 파왕굿에서는 생산적 제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해 ‘음양교(陰陽橋)→음교(陰橋)→첨교(檐橋)→양교(陽橋)’가 순차적으로 가설되며 이 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 ‘꽃심기(種花)→꽃주기(送花)→꽃따기(采花)→꽃모으기(揽花)’ 등의 절차가 삽입된다. 여기서 ‘꽃’은 인간의 영혼을 상징하는데, 꽃은 열매를 맺어서 씨를 퍼뜨리는 까닭이다. 삼신인 파왕은 ‘동방 목난화(木蘭花), 남방 적연화(赤蓮花), 서방 금전 화(金錢花), 북방 수선화(水仙花), 중앙 모단화(牡丹花)’라는 오행원리를 이용하여 화산(花山) 꽃밭을 창조하였으며, 여기서 홍화(紅花)는 딸을, 백화(白花)는 아들을 의미한다. 한편 각양각색의 다리(橋)는 이계(異界)인 ‘생명꽃밭’과 인간세계를 연결시켜주는 통로로 간주된다. 중국 남부지역 민족의 우주관은 세 개의 영역 즉 잉태되기 전 아이가 거주하는 ‘화계(花界)’, 사람이 사는 ‘속계(俗界)’, 그리고 사람이 죽은 후에 가는 ‘음계(陰界)’로 구 성되어 있다. 파왕굿에는 이러한 ‘화계-속계-음계’로 구성된 ‘삼계관(三界觀)’이 반영되 어 있으며, ‘가교구화’를 통해 화계와 속계의 이음과정이 재현된다. 그러므로 파왕굿에서의 ‘다리놓기’와 ‘생명꽃 구하기’는 화계와 속계를 잇는 제의적 과정이자 그 결과로 이해될 수있다.
    파왕굿은 아이의 출산을 한갓 생물학적 잉태로 여기지 않고 세계의 공간적 이동으로 인식하는 세계관과 생명관에 바탕을 두고 있다. 삼계관에 따라 화계의 생명꽃이 속계로 이동하는 것이 곧 자녀의 잉태이자 출산이라 믿고 있는 것이다. 자연히 죽음은 생명꽃이 속계에서 음 계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기의 잉태를 기원하기 위해 세계의 공간적 이동에 필요한 다리의 가설은 필수적인 굿의 절차이다. 그러므로 파왕굿의 기자 원리는 생물학적 잉태 과정 을 공간적 세계의 물리적 이동으로 제의화한 것으로서 유감주술 원리 가운데 ‘유사의 법칙’ 에 입각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votive ceremony to Powang of Maonan nationality in China is a sorcery ceremony in which they pray to the fertility goddess in charge of the garden of life through singing, dancing, percussion and acting. The core part of votive ceremony to Powang is the bridge to pray for flowers of life “bridge for flow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praying for children and children, taoists set up “Yin-yang Bridge, Yin bridge, eaves bridge and Yang Bridge” successively, and interweaved “planting flowers, sending flowers, picking flowers and collecting flowers” ceremony during the bridge building process. In this ritual, the “flower” is the symbol of human life. The goddess of fertility, Powang, uses the five elements principle, namely, planting magnolias in the East, lotus in the south, money flowers in the West, daffodils in the north and peonies in the center to create the “flower Mountain garden”. Red flowers represent girls and white flowers represent boys.
    The various Bridges erected during the votive ceremony to Powang are seen as pathways between the alien “garden of life” and the human world. There is a universal three-way cosmology among ethnic minorities in southern China. That is, the universe is composed of the “world of flowers” where fetuses are born, the “real world” where human beings live, and the “underworld” where human beings go after death. In the votive ceremony to Powang, bridging for flowers is the ritual process of the space transfer from “the world of flowers” to “the real world” in the ternary cosmology, and the transformation of life form from invisible to visible.
    The votive ceremony to Powang do not only regard the birthing process of life as a simple biological process. Rather, it is sublimated into a worldview and a view of life transformed into space. On the basis of the universal three-way cosmology among ethnic minorities, the Maonan people borrowed the process of the flower of life in the flower world to move to the real world to show the process of gestation and birth of children. Therefore, death is regarded as the process of the transfer of the flower of life from the real world to the underworld. In order to pray for children and ensure that the flower of life completes the transition of space smoothly, building the bridges have become a necessary part of the votive ceremony to Powang. It can be seen that the principle of praying for the child in the ritual of the Powang is to present the biological pregnancy process with spatial physical movement. The basis of this ritual process is the homeopathic mag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