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재생산정책 수립에서 미혼모/미혼여성의 재생산권리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the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of the Un-wed Mothers & Women in Building the Reproductive Policy in Korea)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3.10
46P 미리보기
한국의 재생산정책 수립에서 미혼모/미혼여성의 재생산권리의 중요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과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사회 / 74호 / 205 ~ 250페이지
    · 저자명 : 양현아

    초록

    2019년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은 한국에서 성과 재생산 권리(이하 재생산권리) 관련 정책(이하 재생산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된다. 이 논문은 본 결정을 재생산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로 해석하고 미혼모와 미혼여성의 재생산권리 보장이 앞으로의 재생산정책에서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 글에서는 혼인을 하지 않은 채 자녀를 임신・출산한 미혼모의 재생산권리는 혼인 없이 임신한 미혼여성 재생산권리의 연속선상에 있으며, 나아가 여타의 비혼여성과 기혼여성의 해당 권리와도 맞닿아 있는, 한국 여성 전반의 재생산권리의 바로미터라고 본다.
    본문에서는 유엔 사회권위원회 일반논평 제22호 등을 통해서 인권으로서의 성과 재생산 건강 권리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이 권리의 복합성과 차별금지성에 주목하였다. 한국의 미혼모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통계치를 볼 때, 매우 완만하나마 미혼모와 양육미혼모의 증가 추세가 나타난다. 또한, 미혼모는 전연령층에 걸쳐 있으며 하나가 아닌 다양한 유형의 미혼모 가족이 있는 것으로 분류해 보았다. 미혼모 가족을 단지 취약한 가족으로 대상화하는 것을 넘어서서 그 실체에 다가서야 할 것이다. 현재 미혼모 정책은 촘촘하고 포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주로 경제적 지원 및 양육 초기의 미혼모・부 지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논문은 그동안 미혼모 정책에서 미약했던 미혼모 가족에 대한 차별금지와 실질적 평등실현에 관심을 가진다. 미혼모 가족이 겪는 차별은 전방위적이고 복합적인 것이지만 이 글에서는 한국의 ‘정상가족’ 탈피와 미혼모의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주로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미혼여성의 임신에 대한 보편적 상담과 임신중지 지원, 부성(父姓)을 원칙으로 하는 자의 성본 규정 개혁, 생활동반자법 제정 이 포함되고 미혼모의 임신・출산・양육에 대한 일터에서의 차별금지와 돌봄지원, 보조생식술에 대한 평등한 접근 등을 제안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미혼모 정책을 현재의 복지정책을 넘어서서 소수자들이 댓가를 더 치르지 않는 ‘수용의 정책’으로 나아갈 것, 이를 위해 가족제도를 포함한 법적 구조를 개혁하는 정책으로 나아갈 것을 촉구한다. 성과 재생산 권리의 견지에서 미혼모와 미혼여성들의 재생산활동을 자리매김하는 연속적 접근을 통해서 미혼모와 그 가족에 대한 차별 철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였다. 제도의 척박함 속에서도 미혼모와 양육미혼모의 증가, 부계의 성본제도에 저항하는 여성들의 목소리, 보조생식술에 대한 미혼자들의 관심, 혼인 없는 출산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을 관찰할 때, 모든 사람을 위한 성과 재생산 권리 정책의 수립은 이미 시작된 사회현상에도 부합하는 일이다.

    영어초록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eld that the crime of abortion in the criminal code was in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 This decision disclosed the sight of the absence of a systematic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policy in Korea. This article focuses on importance of the protection of un-wed mothers and un-wed women’s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in building a system of policies protecting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This study sees the women who give birth outside legal marriages can be a barometer of those of entire Korean women. To summarize the main points of this article, firstly, it emphasiz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build a systematic policy as soon as possible based upon the people’s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SRHR) as it was delineated in the UN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General Comment No.22(2016). Secondly, to accommodate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and standards, a sociological approach is necessary suitable to the domestic social conditions. Thirdly, although current policy on the single mother has been somewhat systematized, its focus has been mainly on economic support, for vulnerable single parents, especially in their early stage.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abol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and realization of equality of, unmarried mothers and their families. Fourthly,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amily policy including the law of children’s patrilineal surname; registration of a child; work and family balance;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ART). This way, the study suggests the paradigm changes such as from economic support to social equality so that the policy can support realization of the unmarried mother and women’s SRH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