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 환경 한국어 평가 시행을 위한 기초 연구: 텍스트 가용 규모를 중심으로 (Basic Study for Implementation of Korean Language Evaluation in Mobile Environment - Focused on the size of available text -)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08
47P 미리보기
모바일 환경 한국어 평가 시행을 위한 기초 연구: 텍스트 가용 규모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성어문학 / 47권 / 205 ~ 251페이지
    · 저자명 : 박진욱, 이화정, 심지혜, 박진영, 고정대

    초록

    본 연구는 모바일 기반의 한국어 평가 시행을 위한 기초 연구로, 학습자의 가독성을 고려한 모바일 화면 속 문항 구성의 지침을 제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화면에서의 텍스트 가용 범위와 PBT 문항의 외적 규모, 현재 사용되는 언어 평가 관련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텍스트 규모를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어교육은 온라인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교육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오프라인 연구에 비해 그 수가 적다. 특히 온라인 기반의 한국어 평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을 만큼 논의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화면 내의 텍스트 규모 및 PBT 문항의 외적 규모 분석과 더불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온라인 시험의 텍스트 구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화면 크기의 경우 6.1인치이지만 기기의 기종마다 제조사에 따라 나타나는 텍스트의 수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로화면보다 가로화면일 경우 텍스트의 수가 더 많으나 모바일 화면 내 폰트의 크기, 문항, 선지가 모두 나타나야 한다고 볼 때 학습자의 가독성은 가로화면보다 세로화면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다음으로 PBT 기반 문항 유형의 외적 규모와 유형별 평균 및 전체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이에 행정안전부의 자문을 통해 모바일 화면 내 가독성을 고려한 글자 수는 400자, 텍스트 박스는 전체 모바일 화면의 2/3 정도가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초급 PBT 문항을 모바일 화면으로 전환 시 가독성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중・고급 PBT 문항의 경우 가장 많은 박스 내 글자 수와 선지 글자 수의 합을 기준으로 중・고급 문항의 본문과 선지를 모바일 화면으로 구현한다면 PBT 문항의 외적 규모를 약 24%를 줄여야 한다. 그리고 중・고급 PBT 문항에서 박스 내 글자 수가 가장 많은 문항은 407자로 모바일 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본문의 글자 수인 266자를 초과하므로 해당 문항을 모바일 화면으로 전환할 때는 가독성에 영향을 미쳐 외적 규모를 약 34% 정도 줄여야 함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애플리케이션 텍스트 규모 분석에서 ‘세종학당문법학습 초급’의 화면당 글자 수는 61자에서 가장 많은 글자 수는 105자까지 설정되어 있었다. ‘세종학당문법학습 중급’의 경우 132자에서 가장 많은 글자 수는 270자까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문항의 난이도와 관계없이 단순한 글자 수의 수치만 보더라도 초급과 중급에서의 외적 규모가 확연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바일 화면 내 텍스트 가용 범위가 400자인 것을 고려한다면 현재 개발된 한국어 애플리케이션 문항의 경우 초급과 중・고급 문항의 글자 수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독성과 글자 수를 고려한 모바일 평가 문항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mobile-based Korean language evalu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s for the composition of items in the mobile screen considering the readability of learners. To this end, we intend to investigate the available range of text on mobile screens, the external size of PBT items, and the text size in currently used language evaluation-related applications.
    In Korean education, studies on the necessity of online education and educational method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but the number is small compared to offline studies. In particular, studies on online- based Korean evaluation are scarce enough to say that there are almost no studies. In this study, the text size of the mobile screen and the external size of the PBT items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text composition of the current online tes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a universally used mobile screen size of 6.1 inche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exts displayed differ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for each device model.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orizontal screen than a vertical screen, the number of texts is higher, but considering that the font size, questions, and lines in the mobile screen should all be displayed, it was judged that the vertical screen was more suitable for the learner's readability than the horizontal screen. Next, the external scale of the PBT-based item types and the average and overall average values ​​for each type were derived. Therefore, it was based on the advice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at the number of characters on the mobile screen considering readability is 400 characters and the text box can be used on about 2/3 of the entire mobile screen.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beginner PBT questions were converted to the mobile screen, it did not affect the readability deterior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termediate/advanced PBT items, if the body and lines of the intermediate/advanced questions are implemented on a mobile screen based on the sum of the number of characters and the leading letters in the most boxes, the external size of the PBT questions should be reduced by about 24%. And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PBT questions, the question with the most number of characters in the box is 407 characters, which exceeds the 266 characters of the tex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mobile screen. It was derived that it should be reduced by about %. Lastly, in the analysis of the text size of the Korean application, the number of characters per screen of ‘King Sejong Institute Grammar Learning Beginner’ was set from 61 characters to 105 characters for the largest number of characters. In the case of ‘King Sejong Institute Grammar Learning Intermedi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number of characters was set from 132 characters to 270 characters.
    Through th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external scale of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students, regardless of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s, even if they looked at the number of simple letter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text available range in the mobile screen derived from this study is 400 characters, in the case of the currently developed Korean application question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questions was small. Therefore, it seems that mobile evaluation questions considering readability and number of characters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성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