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색채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s of the Mobile Applicatio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2.08
8P 미리보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색채 사용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미디어학 / 15권 / 3호 / 191 ~ 198페이지
    · 저자명 : 장청건, 최지혜

    초록

    세계의 모바일 시장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변화를 보이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부가적인 서비스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온라인상의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콘텐츠의 자유로운 유통환경이 실현되어 모바일 내의 새로운 시장이 생겨져 형성되고 시장 범위가 글로벌하게 확장되었다. 어플리케이션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기업은 대중에게 다가가기 쉬워졌고 효과적인 홍보와 수익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사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성격을 위주로 구매와 다운로드하여 왔지만 점차 동일한 기능과 성격을 가진 어플리케이션들이 생겨남에 따라 사용자들의 시선을 끌어내고 구매를 자극하는 요소를 작은 아이콘에 담아야 할 필요성이 생겨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요소들 중 시각적 영향력을 가장 크게 발휘하는 '색채'를 중심으로 하여 연구하였으며 색채가 가진 시지각 효과, 특징, 기능을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의 감성과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 내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구매를 자극하고 수익과 직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색채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기 위해 사진의 카테고리를 조사 범위로 선정하였고, 각각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서 사용된 색상, 명도, 채도, 톤의 분포를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진 카테고리가 가진 성격과 기능에 대한 이미지, 느낌, 상징 등에 대한 고려가 없이 색채디자인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이드라인은 색채가 가진 효과와 기능을 바탕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좀 더 과학적이고 활용성이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또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 할 때 디자인너들이 본 연구의 가이드라인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영어초록

    With the appearance of smart phone in the world mobile market changes in technologies in various sectors are being shown. Necessary information is acquired in real time by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and various information through application, and communities on-line are being activated. With increased use of such an application the free distribution environment of contents has been realized, which has caused to form a new market in the mobile whose scope has been globally expanded. The companies have been easier to reach to the masses through the media called application which has been used as a means of effective promotion and revenue. Up to now the users have purchased and downloaded with the center of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 but due to the gradual appearance of application with the sam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the necessity to keep in a small icon the element to contract the eyes of users and to stimulate their purchase is occurring. In this study with the center of ‘color’ to most greatly exert the visual influence of the elements it was studied, which was designed to satisfy the emotion and needs of user based on the visual perceptual effects, features, functions held by colors, to derive the correct communication, to effectively approach the user, to stimulate the purchase, and eventually to be directly linked with revenue. In order to examine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colors applied in the smartphone applications currently, the category of the photos is selected as the scope of examination. And the distributions of the color, the brightness, the chroma and the tone that is used in the icons of each application are studi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y are designed without considering the image, the feeling and the symbol of the category of the photos. Therefore, the proposed guideline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the material that is more scientifical and more effective because this was developed based on the effectiveness and the function of the color.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not only satisfy but also approach effectively the users' needs, when the designers design the applications based on our guidel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미디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