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 광고의 단계별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s’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1.12
28P 미리보기
모바일 광고의 단계별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2권 / 4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남기화, 여정성

    초록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 수용자로서 소비자 관점에서 모바일 광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모바일 광고에 대한 단계별 수용과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광고 노출 여부를 통제하는 단계, 광고 노출 후 접속 여부를선택하는 단계, 광고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로 구분되는 모바일 광고 수용과정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1,008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자기기입식 설문과 실험설계를 통해 모바일 광고 수용과정을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모바일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모바일 광고의 상호작용성, 개인맞춤성, 혜택제공성과 같은 효용요인에 대한 인식이 낮고 모바일 광고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 성가심, 요금 발생과 같은 비용요인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들이 모바일 광고에 대해 내게 필요하거나 내 상황에 맞는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못 접속하면 통화료가 발생하거나 부당한 요금이 청구될 우려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광고를 수용하는 과정에서는 광고 정보의 개인맞춤성과 광고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그리고 광고 노출 보상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광고 노출에 대한 사전동의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광고 노출에 대한 사전동의 의향이 높을수록, 광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광고 접속의향이 높아지고, 광고 정보처리동기에 따라 접속의향에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광고 정보처리동기와 능력에 따라 정보처리 경로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소비자가 모바일 광고를 수용하는 데 있어서 노출통제, 접속선택, 정보처리로구분되는 단계별 수용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의 수용과정을 단순화한 선행연구와 달리 소비자의 능동적인 광고 수용 관점에서 노출통제단계, 접속선택 단계, 정보처리 단계로 구분된 단계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모바일 광고 수용과정을 이해하기 위한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Due to the proliferation of smart phones, the opening of content market and so on, the interest in mobile advertising has been increasing. Contrast to traditional media advertising,mobile advertising provides customized information and economic benefits to consumers. But mobile advertising can cause damage to consumers because it should be applied to personal information and consumers can purchase immediately through mobile advertis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uild the environment that consumers can use mobile advertising as source of information without concern about damage. To achieve this, a study on consumers'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must prece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nalyze the consumer awareness of mobile advertising from utility and cost point of view, 2) to set and verify the theoretical model for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In this study, mobile advertising is defined as the usage of interactive mobile media(such as smart phones and feature phones) to transmit advertising message to consumers in form of time and location sensitive, personalized information with the overall goal to promote goods and services through mobile network.
    A survey was carried out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experimental design involving 1,008 consumers aged between 14 and 49. In order to maintain the same character of experimental group, it was designed 24 experiments consisting of 42 members.
    To verify the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the research model is divided into 3 steps;the exposure control step, the access selection step,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ep.
    The analysis of the consumer awareness of mobile advertising is as following.
    The awareness of cost was higher than that of utility. Among the awareness of utility, the interaction(3.06) and the receiving benefits(3.04) were relatively high but the personalization (2.67) was lowest. Among the awareness of cost, the incurring fee(5.81) was highest. Followed by the awareness of privacy invasion(5.43) and irritation(5.41).
    It means that consumers perceive mobile advertising as annoying things, not useful things.
    Because they think that information of mobile advertising is not personalized and mobile advertising has the risk to incur charge by its access.
    The analysis of the consumers'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is as following.
    In the exposure control step,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on was and the more the attitude toward incentive for advertising exposure were affirmativ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prior consent for advertising exposure was. The access selection step as second step was divided into two process, from the intention of prior consent for advertising exposure to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and from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to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The higher the intention of prior consent was,the higher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was. If the utility of advertising was high, the attitude toward incentive were affirmative, and the irritation from advertising was low,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was affirmative. And the more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was affirmativ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was. The awareness of incurring fee also affected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ep, the information processing route was affect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tive, its ability, and the type of advertising cues.
    To sum these results up, the higher the intention of prior consent for advertising exposure was and the more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was affirmativ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was. I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tive was high, the intention of access toward advertising was hi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route was divided according to information processing motive and its ability. These results said, as this study was supposed,that consumers went through progressive acceptance process divided into exposure control step, access selection step, and information processing step.
    This study is important that it contribute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progressive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in point of consumers as the advertising audience.
    For future studies,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to design the experiment exposed to advertising via mobile media and to include various types of mobile advertising and the mobile media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