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5세기 속격 ㅅ의 음가 변화의 몇 가지 의문점 -속격 ㅅ 표기 용례 검토를 통하여 (Several Issues on the Sound Changes of the genitive ㅅ in the 15th Centu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09
30P 미리보기
15세기 속격 ㅅ의 음가 변화의 몇 가지 의문점 -속격 ㅅ 표기 용례 검토를 통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204호 / 57 ~ 86페이지
    · 저자명 : 김정인

    초록

    15세기 속격 ㅅ은 〔s〕에서 〔ʔ〕으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종래 논의는 이러한 변화를 음절말 ㅅ의 불파화에 따른 음운론적 변화로 전제한다. 그런데 속격 ㅅ의 변화 양상은 일반적인 음운 변화와는 다른 듯하다. ①정음 창제 초기의 이표기 일부는 그 실현이 불가능한 환경에까지 출현한다. ②후행요소 두음 앞에 표기되는 ‘ㅅ’형 역시 개신형인데 ‘ㅆ’이 ‘ㅼ, ㅽ, ㅺ’ 등에 비해 매우 높은 비율로 출현한다. ③창제 초기 문헌에서 유성음 사이의 속격 ㅅ은 미표기형이 출현하지 않는다. ④이표기가 ‘ㅅ’으로 통합된 후에도 ‘ㅅ’은 여전히 선행요소 말음 뒤에 표기된다. 속격 ㅅ의 표기 방식이 전과 동일한 것은 속격 ㅅ의 음가가 변화하고 내재적 문법이 약화된 상태에서 개연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일찍이 속격 ㅅ의 변화에 비음운론적 기제의 개입 가능성을 고려한 논의(이승재1987)가 있다는 점에 더하여 전술한 내용을 참고한다면 비음운론적 기제의 개입 가능성과 관련한 논의가 향후 본격화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t is estimated that in the 15th century, the genitive 〔s〕 in the Middle Korean underwent a change to 〔ʔ〕. The conventional argument assumes that this change is a phonological shift resulting from the unreleasing of word-final ㅅ. However, the pattern of change in the genitive ㅅ seems somewhat different from typical phonological changes. Firstly, some of the unconventional writing found primarily in the initial phase of Hunminjeongeum attempted to represent the sound change in an exaggerated manner, even in environments where its realization was impossible. Secondly, the innovative form related to the sound change of genitive ㅅ was represented by ‘ㅅ’ placed next to the initial sound of the following syllable, but in reality, ‘ㅆ’ appears at a much higher rate compared to ‘ㅼ’, ‘ㅽ’, ‘ㅺ’. Thirdly, in the literature of in the initial development phase of Hunminjeongeum, the genitive ㅅ between sonorants does not show any unmarked forms, unlike its behavior behind obstruents. Finally, even after this unconventional writing was later unified as ‘ㅅ,’ its position remained the same, occurring after the coda of preceding syllable.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non-phonological mechanism in the change of the genitive ㅅ, as discussed earlier (Lee 1987), further research on this matter is necessary, referring to the aforementioned poi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