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와 그 기능에 대한 몇 가지 오해 - 교육에서 언어의 기능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isconceptions on Language and the Functions ―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Language in Education)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08.08
19P 미리보기
언어와 그 기능에 대한 몇 가지 오해 - 교육에서 언어의 기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26호 / 41 ~ 59페이지
    · 저자명 : 박종덕

    초록

    이 글에서는 언어 또는 언어의 기능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세 가지의 비언어학적 주장을 소개하고, 그러한 것들이 교육에 미치는 역기능을 경계하였다. 세 가지의 비언어학적 주장은 아래와 같다.

    (1) “언어는 의사소통의 도구이다.”
    (2) “언어가 사고를 결정한다.”
    (3) “언어마다 각각의 세계관을 갖고 있다.”

    위 세 가지 명제는 언어학적으로 항진 명제(恒眞命題)가 아니어서 이들을 원용하여 교육에 접목하는 일은 주의를 요한다.

    영어초록

    If false proposition is recognized as TRUE, secondary academic distortion can occur since academic distortion always brings the distortion of education. From a linguist’s perspective, clear distortion in which false proposition is recognized as TRUE is observed in some contentions that are related with language or the functions. It appears that some of the distortions cause the distortion of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has found out three non-linguistic facts among the said language or linguistic function-related contentions and analyzed their reverse impact on education. The result has turned out as follows:

    First, it’s not true that language is available as means of communication in all circumstances. Sometimes, in fact, language is used irrelevant to communication. Nevertheless, those who see language as means of communication only tend to think of it as a tool for better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or intention. As a result, they fail to realize the fact that current society and social culture are unwittingly taken for granted and blindly socialized by language. Therefore, unfavorable educational situations have occurred.
    Second, a hypothesis that languagehas an impact on thought or vice versa in language and thought relations is not completely proven yet. However, an expectation on the hypothesis of linguistic determinism is still large in education. Since the expression which is the surface structure of language and the result of the expression have only been focused, therefore, the causes of linguistic expressions have been ignored. That’s why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in education has been taken lightly.

    Third, the hypothesis of the linguistic world view by W. v Humboldt has been under harsh criticism in linguistics. However, the linguistic world view plays a role of turning current trends of educational society that has set the principles of intuition as the basis of teaching method since 17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focus of education has returned to the once-rejected Verbalismus, emphasizing ‘language-centered teaching method’ that aims to attain the clear basis of knowledge from language. As a result, an effort to improve linguistic competence has been made at home and in school. From the linguistic perspective, however, this kind of change is just another academic distortion.

    Even though the hypothesis of the linguistic world view by W. v Humboldt greatly changed the concept of education, it’s not tautology. Therefore, the academic attitude that assumes the hypothesis of world view as TRUE proposition can’t escape from the fetters of intentional fallacy. In linguistics, for examples, the following three propositions are not tautology:

    (1) “Language is means of communication”
    (2) “Language determines thought”
    (3) “Each language has its own linguistic world view”

    Nevertheless, it’s non-educational behavior to accept them in education with no critical re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