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주제안제도의 문제점과 기능화를 위한 몇 가지 단상 (Problems of the Shareholder Proposal Right and Some Ideas for Functionalization)

6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2.08
62P 미리보기
주주제안제도의 문제점과 기능화를 위한 몇 가지 단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상사법연구 / 41권 / 2호 / 451 ~ 512페이지
    · 저자명 : 권종호

    초록

    주주제안권은 주주주도의 열린 주주총회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는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주제안제도가 제 역할을 다하고 있다는 징표는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그 이유에 관해 ①지분요건의 적절성, ②거절사유의 타당성, ③제도남용의 가능성, ④제도운영의 합리성이라는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주제안권의 제도적 특징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근 주주제안이 증가추세에 있다고는 하나 외국에 비해 그 수가 적고 가결율도 낮다. ①비율기준에만 의존하고 있는 엄격한 지분요건과 ②회사안건을 주주안건보다 먼저 부의하는 ʻʻ우선상정ʼʼ과 주주제안을 몇 개의 안건으로 쪼개어 부의하는 ʻʻ변형상정ʼʼ의 범람에 기인하는 측면이 크다.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지분요건에 금액기준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고, 우선상정과 변형상정의 경우에는 주주의 의사확인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고, 주주제안의 내용을 왜곡하고 적법한 주주제안을 무력화시킬 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권리남용법리와 위임법리에 따라 엄격히 규제하여야 할 것이다.
    (2) 현행상법에 의하면 ①상장회사의 경우 임기중인 임원의 해임제안은 허용되지 않으며, ②주주가 제안할 수 있는 안건수에 대한 제한이 없다. 그리고 ③제안이유에 관해서는 소집통지나 공고에 기재되지 않으며 제안이유에 관한 설명은 주주총회 현장에서만 허용된다. 우리나라 주주제안권은 소집통지에 안건만 추가하는 안건추가형이므로 비용문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고 위임장권유제도와의 충돌가능성도 적다. 따라서 선거제안을 인정하더라도 문제의 소지가 적고, 주주제안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비용의 증가로 비화될 가능성도 적다. 그런 점에서 ①은 타당성을 결하고, ②는 적절하다. 특히 제안주주 한 명당 제안의 수가 평균 4건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그리고 제안이유를 소집통지 등을 통해 사전에 주주에게 공지하는 취지는 주주가 의결권행사를 위하여 충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점을 고려하면 ③의 문제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3) 그 외에 ① 의제제안의 부당거절의 경우 주주제안의 의제내용이 다른 의제에 대해 전제관계에 있고, 전제로 되는 의제제안의 부당거절이 없었다면 다른 의제의 결의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그 결의는 취소사유가 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② 부결된 주주제안을 다루기 위한 임시총회소집 청구의 허부의 문제는 주주제안권(거절사유의 잠탈)과 관련지어 판단할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권리남용의 법리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주주나 회사의 이익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예컨대 오로지 임원을 괴롭히거나 사익추구만을 목적으로 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허용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shareholder proposal right is a system that is a very important tool in realizing an open shareholder-led general meeting. Nevertheless, there are few signs that the shareholder proposal system is fulfilling its role and func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s by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hareholder proposal right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① appropriateness of share requirements, ② validity of grounds for rejection, ③ possibility of abuse of the system, and ④ rationality of system operation.
    The summary is as follows.
    Although shareholder proposals have been on the rise recently, the number of proposals is small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the approval rate is low. This is largely attributable to ① the strict shareholding requirements that depend only on the ratio standard, ② the so-called ʻʻpriority proposalʼʼ, which puts the company agenda ahead of the shareholdersʼ agenda, and the ʻʻtransformation proposalʼʼ, which divides the shareholder proposal into several agendas.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add an amount standard to the share requirement, and in the case of priority proposal and transformation proposal, the possibility of abuse is high as it takes advantage of the fact that shareholder proposal rights are exercised six weeks before the date of the general meeting and notice of convocation is sent two weeks before the date of the general meeting. 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transformation proposal,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ntention of the shareholders. If the transformation proposal is made for the purpose of distorting the content of the shareholder proposal and nullifying the legitimate shareholder proposal, it should be strictly regulated according to the law of abuse of rights and the law of delegation.
    In particular, if the shareholder's agenda is an alternative proposal that is incompatible with the company's agenda,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hareholder's agenda will be automatically discarded if it is accepted without any restriction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bjective standards for the order of proceedings or resolu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commercial law, ① in the case of a listed company, the dismissal proposal of director who are in office are not permitted, and ② there is no limit on the number of proposals that shareholders can make. And ③ the reason for proposal is not stated in the notice of convening or public notice, and explanation of the reason for proposal is permitted only at the site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Since the shareholder proposal right in Korea is an agenda addition type that only adds an agenda to the convocation notice, it is relatively free from cost issues and has little chance of conflict with the proxy recommendation system. Therefore, even if the election proposal is accepted, it is less likely to cause problems, and even if the number of shareholder proposals increases, it is unlikely that it will escalate into an increase in costs. In that sense, ① lacks validity, and ② is appropriate. This is especially true considering that the average number of shareholder proposals per shareholder is only four. Also,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notifying shareholders of the reason for proposal in advance through a convocation notice, etc. is to enable shareholders to make sufficient preparations for exercising their voting rights, the problem of ③ must be impro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