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서학서 연구의 몇 문제에 대하여 (On a few questions about the study of 17th and 18th century’s Western Learning Book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17·18세기 서학서 연구의 몇 문제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67권 / 73 ~ 99페이지
    · 저자명 : 김철범

    초록

    17·18세기는 동아시아에 서학이 형성되고 발전하였던 시기이다. 유럽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으로 진출하면서 계기가 마련되었고, 중국 지식인들의 관심과 상호교섭을 통해 발전하였다. 그 결실이 서학서이다. 서학서 안에는 기독교 신학과 서구 철학 등의 사상적 영역과 천문·수학·역사·지리 등의 자연과학적 영역이 두루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당시 “天學”이라고 불렀던 서학은 자연학을 형이상적인 신학이나 철학과 별개의 학문으로 인식한 것이 아니라, 자연학을 통해 신의 섭리를 인식할 수 있다는 통합적인 학문체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럼에도 청나라 시기 『사고전서』 편찬자의 서학에 대한 비평관과 이와 연장선상에 있었던 19세기말 동도서기론에 의해 서학은 이른바 “西敎”와 “西器”로 분리되고 말았다. 문제는 오늘날 서학을 연구하는 우리들도 이런 시각을 고수해 왔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조선지식계와 서학의 사상적 교섭은 접어둔 채 자연과학의 수용에 주된 관심을 두었고, 이로 인해 조선 지식계와 서학의 영향 관계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함께 서학서에 대한 書誌的 검토의 오류를 짚어보았다. 일반적으로 17·18세기 서학서가 모두 서양 선교사들의 저작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선교사와 중국 지식인의 공동저술도 있고, 중국 지식인의 저술도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사실이 17·18세기 서학과 동양 지식계의 관계를 단순히 “전달과 수용”으로 설명해 왔던 논리에 대해 당시 서구 지식을 수용하고 변용하고자 했던 동양 지식인들의 주체적 역할을 정당하게 평가하는 단초를 열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 한편 17·18세기 서학서 연구에 새로운 활기가 살아나기를 기대하며, 향후 서학서 번역에 관한 소박한 제언도 덧붙여 보았다.

    영어초록

    The 17th and 8th centuries is when Western studies were formed and developed in East Asia. As European Jesuit missionaries entered China, an opportunity was provided, and it developed through the interest and mutual negotiations of Chinese intellectuals. The result is Western leaning books. This books includes ideological areas such as Christian theology and Western philosophy, as well as natural science areas such as astronomy, mathematics, history, and geography. However, the Western Learning which was called "Celestial Learning[天學]" at the time, did not recognize natural science as a separate discipline from ideal theology or philosophy, but had an integrated academic system that could recognize God's providence through natural science. Nevertheless, in the Qing Dynasty, the so-called "Western Religion[西敎]" and "Western Tools[西器]" were separated by the 『Siku Quanshu(四庫全書)』editor's critique of the Western Learning and the theory of Western tool in Eastern though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an extension of it. The problem is that those who study the Western Learning today have adhered to this perspective. Therefore, the main focus was on the acceptance of natural science, leaving aside the ideological negotiations between the Joseon intellectual community and the Western Learning. And it seems that there was a limit to proper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intellectual community and the Western Learning. This study attempts to raise a problem from this perspective.
    In addition, the errors that occurred in the bibliographic review of the Western Learning books were also pointed out. In general, this book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re known as the works of Western missionaries.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joint writings between missionaries and Chinese intellectuals, as well as writings by Chinese intellectuals. This fact will open the door for the legitimate evaluation of the subjective role of Eastern intellectuals who sought to accept and transform Western knowledge at the time for logic that had simply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studies and Eastern knowledg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s "transmission and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I hope that new vitality will be revived in the study of Western Learning books in the 17th and 8th centuries, and I added simple suggestions for translating book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