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금석문을 활용한 신라사의 몇 가지 보완 (Some complementary of Silla history using of the Chinese epigraph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12
31P 미리보기
중국 금석문을 활용한 신라사의 몇 가지 보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5호 / 179 ~ 209페이지
    · 저자명 : 권덕영

    초록

    중국 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유익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그것은 국내 금석문에 비해 관련 자료의 양이 적을뿐더러 포괄하는 내용 또한 다양하지 못하다. 특히 중국 금석문은 신라의 대당외교와 전쟁, 문화교류와 인적왕래 같은 한중교류사에 한정되고, 국내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나당교류사를 중심으로 신라사의 일부를 보완하였다.
    우선 「당평백제비」를 활용하여 나당연합군의 구성과 운용에 대한 몇 가지 사실을 보완하였고, 「곽행절묘지」를 통하여 大同江口에서 벌어진 나당간 해전의 실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만년궁명비」를 이용하여 金仁問의 입당 행적을 추적하였고, 중국의 여러 묘지명을 분석하여 당 사절의 신라 내왕을 보다 구체적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곤유산무염선원비」를 통해 재당 신라인의 활동을 보정하였고, 「혜각선사비」를 통하여 최치원이 언급한 신라의 西化 구법승 ‘常山 慧覺’의 실체를 확인하였다.
    신라 관련 중국 금석문은 고구려와 백제 관련 자료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매우 빈약하다. 본고에서는 얼마 되지 않는 신라 관련 중국 금석문을 통해 나름의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가 신라를 넘어 백제와 고구려 관련 중국 금석문까지 넓혀진다면, 한국고대사는 더욱 풍성해질 것이다.

    영어초록

    The Chinese epigraphy has been used for the study of Silla history. Although there are not many quantities of related data, they have an important value in complementing Silla’s foreign affairs, wars, cultural exchanges and human traffics with T’ang China. In this paper, I supplemented some of Silla history with the use of Chinese epigraphy.
    I supplemented some facts about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allied troops of Silla and T’ang using the Tangpyeongbaekjebi(당평백제비), and confirm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naval battle at the Daedong River estuary through the Gwak-haengjeol memorial inscription(곽행절묘지)". And we traced the diplomatic activities of Kim-Inmoon(김인문) using Manyeongungbi(만년궁명비), reconstructed the T’ang embassy visiting to the Silla in detail by analyzing the various epitaphs in China.
    In addition, I supplemented the activities of the Silla residents in T’ang China through the Gonyusan muyeomseonwonbi(곤유산무염선원비), and confirmed the reality of Sangsan Hyegag(상산 혜각) who had died in China through the Hyegagseonsabi(혜각선사비).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