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라남도 고흥지역 몇 지명의 유래와 어원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and etymology of some place names in Goheung, Jeollanam-d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06
32P 미리보기
전라남도 고흥지역 몇 지명의 유래와 어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38권 / 283 ~ 314페이지
    · 저자명 : 조강봉

    초록

    본고는 전라남도 고흥(高興) 지역의 몇 지명의 유래와 어원에 관한 연구다. 고흥(高興)은 고이부곡(高伊部曲)에서 유래된 지명인데 『고려사』에 고이(高伊)는 고양이의 방언이라 했으나 고흥지역은 전국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은 고장임을 감안할 때 고인돌의 개석을 떠받치는 ‘고이다’의 어간 ‘고이’를 ‘高伊’로 표기한 데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과역(過驛)은 양강역(楊江驛)을 지난 곳이라는 의미에서 불린 지명으로 보았고, 점암(占巖)은 이 지역에 고인돌이 점점이 놓여 있음을 소재로 點岩으로 표기할 것을 占岩으로 표기한 지명으로 보았다. 두원(豆原)은 백제(百濟) 시대의 두힐현(豆肹縣)이 시대에 따라 개칭된 지명 중 조선시대의 지명인데 ‘豆肹’이 ‘*두흘·둘ㅎ’의 음차표기라면 ‘豆原’의 ‘豆’도 수사 ‘둘·두’를 음차 표기로 보았다. 포두면(浦頭面)은 ‘개머리’의 훈차표기로 보았으며, 상백(上栢), 하백(下栢)의 ‘栢’은 성(城)의 옛말 ‘잣’에 어원을 둔 어사로 보았으며, 발포(鉢浦)의 ‘鉢’은 벽(壁), 성(城)으로 대역되었던 ‘ᄇᆞᄅᆞᆷ’의 어근 ‘*ᄇᆞᆯ’의 음차 표기로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origin and etymology of several geographical names in Goheung-gun, Jeollanam-do.
    ① Goheung(高興) was originally a prefecture where Goibugok(高伊部曲) was promoted. Therefore, it was presumed that the place name was a combination of ‘高’ in Goibugok (高伊部曲) and ‘興’ meaning to rise. The Goheung(高興) area has the largest number of dolmens in the country. In Handong-ri(寒東里), which was the prison of Goibugok(高伊部曲), there are no remains related to cats. A dolmen is a tomb with a large, wide covering stone placed on top of a tomb and a small stone placed underneath it. Therefore, ‘goi’(高伊) was presumed to be a phonetic transcription of the stem ‘goi’(고이) of the Korean word ‘Goida’(고이다).
    ② Gwayeok-myeon(過驛面) is where Yanggang(楊江) Station passed. Therefore, it is a place name called in the sense of “the place where you passed the station.” ③ Jeomam-myeon(占岩面) is a place where dolmens are rarely placed, so it should be called 點岩. However, it is presumed that 點岩 was changed to 占岩.
    ④ Duwon-myeon(豆原面) was Duhil-hyeon(豆肹縣) in the Baekje(豆肹縣) period, Duwon-hyeon(薑原縣) in the Silla(新羅) period, and Duwon-hyeon(荳原縣) in the Goryeo(高麗) period. was changed during the Joseon(朝鮮) Dynast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Duyuan(豆原) is derived from "Duhil"(豆肹), and that "Duhil"(豆肹) i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ith the same sound as the old word for two, ‘*du-heul(*두흘)".
    ⑤ Podu-myeon(浦頭面) becomes the head of a foreshore, so it is called foreshore forepar.
    ⑥ ‘栢’ in Sangbaek(上栢) and Habaek(下栢) means ‘pine nut’. ‘jat’(잣), which means pine nut, has the same sound as jat(잣), an old word for castle. There is Dokchiseong(禿峙城) near the villages of Sangbaek(上栢) and Habaek(下栢). Therefore, Sangbaek(上栢) and Habaek(下栢) consider the old word for castle(城) jat(잣) to be 栢 as a place name.
    ⑦ Balpo(鉢浦) is a place name derived from a castle. Therefore, '鉢' (foot) is a character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ith the same sound as the root 'ᄇᆞᆯ' of the old word 'ᄇᆞᄅᆞᆷ', which was used to mean wall(壁) and castle(城). And Po (浦) is used in the sense of pogu(浦口).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