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不作爲違法 確認訴訟에 관한 몇 가지 問題 (A Study on Some Issues regarding the Action for Confirming Illegality of Nonfeasanc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12
37P 미리보기
不作爲違法 確認訴訟에 관한 몇 가지 問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행정판례연구 / 15권 / 2호 / 317 ~ 353페이지
    · 저자명 : 장상균

    초록

    대상판결은 인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진임용의 대상자로 결정되고 임용권자가 그 사실을 대내외에 공표까지 한 경우 당해 지방공무원은 승진임용에 관한 법률상의 이익을 가진 자로서 승진임용을 신청할 권리가 인정될 수 있다는 원심의 결론을 용인하였다. 이는 최근의 주류적 판례와 마찬가지로 신청권을 넓게 인정하여 권리구제의 범위를 확대하려는 태도를 보인 것이어서 타당하다. 그리고 대상판결은 부작위위법 확인의 소의 제소기간의 문제에 대하여 대법원이 처음으로 견해를 밝힌 것으로서 의미가 있다. 특히 종래 무효확인의 소에 취소청구의 소를 추가적으로 병합한 경우 제소기간 준수의 소급효를 인정하던 입장의 연장선상에서, 부작위위법 확인소송이 취소소송의 보충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을 중시하여 부작위위법 확인소송에서 취소소송으로 교환적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부작위위법 확인소송이 추가된 경우 최초 부작위위법 확인소송의 제소시점까지 제소기간 준수의 소급효를 인정하였다. 이와 같이 소급효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해석한다고 하더라도, 특별히 소송절차의 안정성을 해치는 결과가 초래되는 것도 아니고 당사자의 권리구제를 두텁게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타당한 결론이다.
    부작위위법 확인소송은 행정청이 작위의무에 반하여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는 경우 현행 행정소송법상 인정되고 있는 유일한 권리구제 수단이지만 부작위에 대하여 위법하다는 사실만을 확인할 뿐 적극적으로 일정한 행위를 명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부작위에 대한 권리구제 수단으로서는 가장 소극적인 형태라는 한계가 있다. 실질적으로 거부처분을 받아 그 취소소송으로 나아가기 위한 도구적 내지 과도적 소송형태에 불과하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신청권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권리구제를 위하여, 행정소송법에 의무이행소송제도를 도입하는 입법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concerned court decision sustained the lower court's ruling that a local public service should be endorsed with the right to apply for promotion as a beneficiary of the interest of the law in such a case where the person was determined and published after a deliberation of the relevant personnel committee to be advanced. As with the recent precedents of the main stream, this decision showed an attitude to expand the scope of relief by way of widely recognizing the right to apply.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opined for the first time on the issue of the filing period in an action for confirming illegality of nonfeasance in this case. As a extension of the previous ruling which recognized the retroactive compliance of filing period in a case where an action for cancelling administrative measure was added to an action for confirming nullity of that measure, this decision recognized the retroactive compliance of filing period in a case where an action for confirming illegality of nonfeasance is added to an action for cancelling administrative measure to which an initial action for confirming illegality of nonfeasance was converted, under important consideration of the complementary nature of an action for confirming illegality of nonfeasance to an action for cancelling administrative measure. This opinion is reasonable, because it does not result in endangering the stability of proceedings, further it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rights of the applicants.
    When an administrative authority does not take any active measure contrary to its obligation, an action for confirming illegality of nonfeasance is the only remedy allowed under the curr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But there is a limit as for a remedy, because the court only verifies the illegality of the nonfeasance and is not empowered to order a certain active measure directly. In fact, such an action may be evaluated as a transitional form of litigation to advance toward an action for cancelling administrative measure right after receiving such an administrative measure from the authority. For the purpose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an effective remedy, introduction of a new form of action such as an action for compelling active administrative measure by making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s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