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탁금지법상 몇 가지 문제점과 대안 (Several Issues of a Problem and Alternatives on the Law of Prohibition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nd the Acceptanc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02
25P 미리보기
청탁금지법상 몇 가지 문제점과 대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가법연구 / 13권 / 1호 / 49 ~ 73페이지
    · 저자명 : 김동복

    초록

    우리나라의 부패인식지수(CPI)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4개국 중 27위로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그 동안 부패방지와 척결을 위하여 법과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노력을 하여 왔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실효성도 거두지 못했던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따라 부패행위에 대한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공직부패방지를 위한 종합대책으로서 부정청탁 및 금품등의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하 청탁금지법이라고 함) 2015. 3. 3. 제정되어 2016. 9. 28. 시행되었다.
    그러나 청탁금지법은 충분한 사회적 공론을 거치지 못하고 시간에 쫒기는 듯한 졸속법안이라는 평가와 더불어 부정청탁의 개념이 모호한 점, 사립학교 및 언론사 관련자 등을 법 적용대상에 포함시킨 점 등에 대한 위헌적 요소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고, 이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청탁금지법 제2조 제1호 마목 등 위헌확인 사건에서 합헌결정을 하였다.
    헌법재판소의 위 기각결정으로 인하여 청탁금지법은 차질없이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외부강의 등 사례금 제한 등 헌법소원을 제기하지 않은 부분 등에 관하여 몇 가지 법적 쟁점과 미비점이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청탁금지법에 관한 몇 가지 쟁점에 대한 발전적 방안의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청탁의 개념에 관하여 우선 명확한 개념을 신설해야 한다. 다음으로 부정한 청탁’과 ‘정당한 청탁’의 판별기준으로서 ‘사회상규’보다는 ‘청탁의 목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다.
    둘째, 청탁금지법의 적용대상자인 공직자 등에 사립학교 관련자와 언론사 관련자를 제외하고 대신에 공익성이 강한 금융기관 임직원을 포함시키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보며 이러한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마땅하다.
    셋째, 청탁금지법 시행령상의 가액의 따라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금품수수의 구체적인 가액범위는 음식물 5만원, 선물 10만원, 경조사비 15만원으로 상향조정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넷째, 공직자 소속 행정청 또는 소속기관장이 직접 과태료를 부과․징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청탁금지법을 개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Korean corruption perception index remains in the lower rank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e 27th of all the 34 countries. It is well-known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an effort to prevent and root out illegality and corruption by providing law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without getting effectiveness or finding a basic solution.
    As a result, the Law of the Prohibition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nd the Acceptanc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LPIS) was enacted on March 3, 2015, and put into force from September 28, 2016.
    However, evaluated as a rough-and-ready rule without passing through public opinions much enough, this law has been criticized for its unconstitutional factors, such as lacking in a clear conception of improper solicitation and including the persons concerned in private schools and media.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law was constitutional in “the case related to confirming whether or not Ma-List, Act 1, Article 2 of LPIS is unconstitutional.” That decision of dismissal has enforced LPIS without fail, but the law still has several legally controversial issues and imperfections referring to the parts against which a petition was not filed yet—for instance, limiting the reward as of outside lectures.
    The core contents of the development plan of several issues related to LP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e should establish clear concepts about improper solicitation. It is reasonable that the distinction standard between just and unjust solicitation be based on the purpose of the request rather than social rules.
    Second, the subject to be applied by LPIS should arguably include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of financial companies instead of the parties of private schools and media. The law should be revised in this direction.
    Third, it is proper that the particular price range of material benefits, exceptionally allowed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LPIS, should be raised toward 50,000 won in food and drink, 100,000 won in gifts, and 150,000 won in tribute.
    Fourth, the administrative agency or chief supervising the public officials should have the authority to charge and collect a fine direc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