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後期 漢詩 硏究를 위한 몇 가지 提言 (Some Proposals for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朝鮮後期 漢詩 硏究를 위한 몇 가지 提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41권 / 9 ~ 34페이지
    · 저자명 : 윤재환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 한시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라는 주제로 작성된 글이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조선후기 한시 연구의 전체적인 경향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길을 제시하는 거대 담론을 위해 서술된 것이 아니라,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연구 경향에 대해 반추해 보고자 하는 생각에서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번역의 문제나 작품 이해, 사상과 인물의 가치 평가, 문학사적 의미 부여와 같이 지금까지 한시 연구사 검토에서 일반적으로 거론되어 왔던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조선후기 한시 연구의 새로운 경향에 대한 필자 나름의 반성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하였다.
    현재 조선후기 한시문학의 연구 영역은 이전 어떤 시기보다 확대되어 있다. 탈민족주의․탈국가주의를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 권역이라는 문화권역의 설정과 문화론적인 연구 방법의 수용은 이전 시기까지 몇 가지 표어 속에서 진행되어 온 연구 방향을 수정하여 전체 속의 부분으로 우리 스스로를 바라보는 객관적 시각을 견지하게 하였으며, 다채롭고 다양한 작가군을 발굴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와 함께 확대된 연구 영역이 조선후기 한시의 본질을 交錯하게 만들고, 糊塗하게 만들 가능성과 위험성 역시 부정하기 어렵다. 현재 사회에서 조선후기 한시의 연구 영역 확장을 부정하는 것은 해서도 안 되는 것이지만, 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렇지만, 연구 영역의 확장이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영역의 확장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본질의 構築이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보다 논리화․객관화․세분화 되어가는 조선후기 한시 연구 경향은 전대 연구를 반성적으로 되돌아보면서 지금까지 무관심하게 보았던 많은 사항에 대한 고민을 불러 오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용어의 錯亂에 관한 것과 보편과 특수의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 착란, 傳統, 繼承, 傳承, 影響과 創新의 구분에 관한 것이다. 이와 문제들에 대해 조선후기 한시 연구자들이 단순하고 직선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별다른 고민 없이 대상을 바라볼 경우 조선후기 한시의 실상은 심각하게 왜곡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글에서 언급한 조선후기 한시 연구의 문제점들이 새롭거나 특별한 것이라고 할 수도 없고, 언급하지 않은 문제들이 별다른 의미를 지니지 않는 것이라고도 할 수 없다. 그것보다 이 글에서 제시한 문제들은 전통적인 논쟁에서 조금 벗어나 현재 연구자들이 부딪히기 시작한 문제들로, 아직까지 해결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을 찾지 못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내재적 문제의 해결조차 쉽지 않은데, 동아시아로 확장된 연구 영역과 문화로 확대된 연구 경향 속에서 발생한 이러한 문제들은 사실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기도 한다. 어떻게 본다면 영역의 확장을 통한 가치와 의미 증대가 수반한 경계의 해체와 혼란, 계통 수립을 통한 명징성의 추구가 몰고 온 개념의 착란은 다른 누구도 해결해 줄 수 없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만큼 조선후기 한시 연구자들이 연구를 시작하던 그 당시로 돌아가 ‘무엇을’ 그리고 ‘왜’라고 스스로에게 한 번이라도 더 되물어 본다면 당장 해결할 수는 없을지 모르지만 최소한 이 문제들의 확대와 심화는 막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조선후기 한시 연구자들의 분발과 세심한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보인다.

    영어초록

    Although this paper is written with the theme of some proposals for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it is not for the mass-discourse reviewing overall tendency of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suggesting new ways, but for ruminating on the newly arising recent research tendency. Indeed, this paper does not try to mention the generally discussed matters such as matters of translation, understanding individual poems, evaluation on thoughts and poets, and meanings in history of literature, but to focus on the reflections on the new tendency of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current boundary of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is more expanded than that of any previous time. Setting up the east Asian cultural area based on de-ethnocentrism and de-nationalism and methodological adoption of culture theory have us modify the previous way of research under some slogans toward maintaining an objective perspective recognizing ourselves as a part of the whole, discover diverse groups of poets, and proceed researches on them.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the expansion of research boundary with them can made the substance of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entangled and misled is hard to be denied. In present, the denial of the expansion of the boundary of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should not be done and also could not be done. However, in order to verify the meaning of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boundary, the substantiality that is not shakable even within the expansion of boundary must be constructed by priority.
    With them, the tendency of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becomes logical, objective, and fragmented; and such a tendency reflectively reviews previous researches and brings up thinks about many things that have not attracted attentions. Representing them are derangements of terms, derangements between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derived from lack of understanding, and mis-distinction among tradition, succession, transmission, influence, and innovation. Regarding such matters, if researchers of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look at objects without much think depending on simple and linear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shall be seriously distorted.
    Neither that the matters of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mentioned in this paper are original or special, nor that matters not mentioned are meaningless can be said. Rather, it can be said that the matter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slightly out of the traditional discourses and currently appeared in front of researchers and that the method to resolve them has not been found yet. While the solution for the internal matters is not easy, the matters which arise from the research boundary expanded to east Asia and from the research tendency extended to culture seems to have actually little possibility to solve. In some ways, the deconstruction of borders and disorder which are derived from the increase of value and meaning through the territorial extension and the derangements of concepts which the pursuit of clarity through systematic establishment brings up can be considered as something that nobody can resolve. Nonetheless, going back to the starting point of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re-asking ourselves ‘what’ and ‘why’ once more, we may, though we may completely solve the problems, at least stop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these matters. It seems that it is the time for researchers of Sino-Korean 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to exert and to endeavor carefu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