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문(程門)의 ‘미발’설과 ‘구중’(求中) 공부-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에 대한 이천(伊川)의 비판을 중심으로- (On Cheng Yi-Chuan’s Critique on Centrality-Seeking(qiu-zhong) Meditation)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09.09
54P 미리보기
정문(程門)의 ‘미발’설과 ‘구중’(求中) 공부-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에 대한 이천(伊川)의 비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38호 / 1 ~ 54페이지
    · 저자명 : 이승환

    초록

    이 논문에서는 북송대에 이정(二程)의 문인들이 추구했던 ‘구중’(求中) 공부의 초기적 면모를 추적해서 재구성하는 한편 이에 대한 이천의 비판을 살펴봄으로써, 신유학의 수양론이 신비주의와 합리주의로 갈라서게 되는 분기점을 그 출발점에서부터 선명하게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이정 문인 중 특히 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이 추구했던 ‘구중’ 공부의 연원을 그들의 옛 스승인 장횡거의 수양론과 연관지어 고찰하는 한편, 이들의 사상을 다시 선종(禪宗)과의 영향관계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북송 당시에 널리 확산되어있던 유(儒)ㆍ불(佛) 합류의 시대적 사조를 지성사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이정의 문인들이 추구했던 ‘구중’ 공부는 다음 세 가지 특징을 지닌다. (1) 천지와 자아의 본성(性)을 ‘중’(中) 또는 ‘허’(虛)와 ‘정’(靜) 등의 소극적 개념으로 파악한다. (2) 중용 의 ‘미발’(未發) 개념을 의식의 지향활동이 정지한 ‘고요한 상태’(靜ㆍ寂) 또는 의식의 ‘공백 상태’(虛ㆍ空)로 이해하고, 정좌를 통하여 이러한 상태에 몰입하여 천지와 자아의 본성을 체인하고자 한다. (3) 분석적이고 경험적인 인지활동이나 사유능력에 별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구중’ 공부에 대한 이천의 비판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천지와 자아의 본성(性)을 ‘중’(中)으로 규정함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심성론적 무규정성(indefinability), 의식의 지향활동을 멈추고 고요함(虛ㆍ靜ㆍ寂)에 몰입함으로 말미암아 도출되는 수양론적 신비주의(mysticism), 그리고 분석적이고 경험적인 인지활동을 도외시함으로 말미암아 파생되는 인식론적 비합리주의(irrationalism) 등이 바로 그것이다.
    ‘구중’ 공부에 대한 이천의 비판은 도ㆍ불의 영향 하에 북송 사회를 풍미했던 반주지주의(反主知主義)적 수양론에 대한 일대 반격으로 간주될수 있으며, 이천의 반주지주의에 대한 비판은 곧 당시 사대부들의 의식구조를 초월성에 대한 동경에서 일상성으로 전환시키는 방향타가 됨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early stage of centralityseeking(
    qiu-zhong) meditation practiced by Cheng Yi-Chuan’s disciples such
    as Su ji-ming and Lü yü-shu in Northern Sung period on the one hand.
    and also to analyse those reasons why Cheng Yi-chuan so severely
    criticized the practice of centrality-seeking(qiu-zhong) meditation on the other
    hand. By looking closely at the structure of centrality-seeking(qiu-zhong)
    meditation and it’s critique, we can cleary understand the great turning
    point in Neo-Confucian theory of self-cultivation that diverts anti-intellectualism
    to intellectualism.
    The centrality-seeking(qiu-zhong) meditation practiced by Cheng Yi-Chuan’s
    disciples contains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such as (1) conceiving the
    Original Nature of the Cosmos and the Self as centrality(zhong), (2) conceiving
    the concept of ‘not-yet-arousal’(wei-fa) which appears in the Book of
    the Mean in terms of cessation of consciousness, and (3) disregarding the
    value of empirico-analytic thinking and knowledge.
    Cheng Yi-Chuan’s critique on centrality-seeking(qiu-zhong) meditation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1) The Nature of the Cosmos and the
    Self cannot be identified with centrality(zhong) itself, since the notion of
    centrality(zhong) is nothing but an adjective that describes the impartial
    state of the Nature. (2) The practitioners of centrality-seeking(qiu-zhong)
    meditation, by being absorbed into the pure state of pre-consciousness
    which is called centrality(zhong) on purpose, often fall into the cessation
    of consciousness which is almost like a state of deep sleep or hubernation.
    (3) The centrality-seeking(qiu-zhong) meditation, by disregarding the importance
    of empirico-anaytic thinking and knowledge, leads the practitioner into
    irrational and anti-intelligent state of mind.
    After all, Cheng Yi-Chuan’s critique on centrality-seeking(qiu-zhong) meditation
    can be regarded as a counterattack against the anti-intelligent stream
    of self-cultivation theory that prevailed among Nothern Sung literati society.
    This kind of counteraction can also be regarded as a turning point of history
    of self-cultivation theory that diverted the longing for transcendental realm
    to everyda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