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한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일하는 일곱 명의 노동자 이야기 (A Narrative Study on the Labor Experiences of Non-regular school workers: The story of seven workers at a vocational high schoo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4.08
32P 미리보기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한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일하는 일곱 명의 노동자 이야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30권 / 4호 / 521 ~ 552페이지
    · 저자명 : 견명인, 이현주, 홍은영

    초록

    이 연구는 2022년 개정교육과정에서 노동과 관련된 많은 내용이 삭제된 데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한국의 공식적교육과정에서는 노동을 다루지 않거나 매우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현실에서 출발하여 그렇다면 ‘학교에서는노동이 어떻게 다뤄지고 있을까?’라는 문제의식으로 시작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일하는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이직접적으로 학생들을 가르치지는 않지만, 학생들과 매일 상호작용을 하는 존재로서 학생들의 노동과 관련한 인식과태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들의 노동 경험을 분석하는 것은, 교육이 노동을 등한시하는현실 비판의 심층적 측면을 비춰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교육학 논의에서 주목받지못했던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을 질적으로 탐구하여 이해하고, 교육(학)적 맥락에서 함의를 발견하고자한 내러티브 연구이다. 이에 따라 한 고등학교에서 일하는 교육공무직 노동자 7명을 심층 면담한 결과, 이 연구에참여한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은 한편으로는 교육을 위해 일한다는 자부심을 지님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위계화된노동 분업으로 인해 자본주의 체제의 노동자라면 누구나 겪는 ‘소외’를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주변화된노동자로서 무시와 차별, 그리고 시혜라는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타자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이 노동자들이자기 노동에 부여하고 있는 의미들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노동은 총체적인 사회적 관계에 철저히 종속되어 있음을알 수 있었다. 한편, 이들의 이야기는 자신들이 겪는 소외와 타자화가 이 세계의 ‘물화’에 기인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자본주의 사회의 사회적 총체성은 존재하는 모든 것을 사물화하여 그 안에 들어 있는 인간의 노동과인간을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로 만들어 버리는데, 이들은 자신들을 이 사회의 ‘유령’이라고 표현함으로써 이러한사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학)이 노동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총체성을인식하게 하는 교육적 계기들을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지에 대한 과제를 제기하며, 둘째, 학교에서 일하는 노동자들, 그리고 그들과 같은 노동자로 살아갈 대다수 학생의 목소리를 교육에 더 많이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labor experiences of non-regular education public service workers to understand their labor experiences in school and its pedagogical implication in education context. A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for Public Education in Korea has been limited in its inclusion of the value of labor and the laborer’s right in achievement objectives, even removed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Public Education in 2022.
    Motivated by this issue, this study argues that although education service workers have been neglected in pedagogical discussions, they interact with students daily and significantly shape students' hidden curriculum.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ir labor experiences can provide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neglect of labor in education. This narrative inquir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non-regular workers in a high school to uncover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se workers were experiencing the "marginalization", common to all workers in the capitalist system due to the hierarchical division of labor, leading them to face ‘otheriza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ir labor is thoroughly subordinated to the ‘The Total Social Relations’ of capitalism.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y experience originates from the ‘reification’ where ‘the social totality of capitalist society’ objectifies everything in existence, rendering human labor and human beings invisible, as shown that the non-regular workers in this study describe themselves as "ghos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hallenge of creat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become aware of the social totality of the labor system and suggest the need to incorporate more of the voices of the workers in schools into education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