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명학파(西明學派)라는 창: 마음의 거울 또는 앎의 장애물 - 원측 연구의 몇몇 경향들에 대한 비판적 성찰 - (The Window of “Seomyeong (Ximing) School”: Mirror to the Minds of the Contemporary Koreans or Obstacles in Facing Reality -Reflections on some tendencies of researches on Woncheuk-)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08
45P 미리보기
서명학파(西明學派)라는 창: 마음의 거울 또는 앎의 장애물 - 원측 연구의 몇몇 경향들에 대한 비판적 성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0호 / 321 ~ 365페이지
    · 저자명 : 장규언

    초록

    잘 알려진 대로 ‘서명학파(西明學派)’라는 개념은 오랫동안 원측(圓測, 613~696)과 흔히 그의 학설을 계승한 것으로 이해되어온 도증(道證), 태현(太賢) 등을 바라보는 창이었지만 필자는 그것이 원측과 신라 유식학자들을 비추는 맑고 투명한 거울이 될 수 없다고 본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필자는 우선 ‘서명학파’라는 개념이 누구에 의해 어떤 이유에서 만들어졌으며 또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추적하면서 그 이면의 전제들이 무엇인지 간략하게 살펴본 뒤, 이어서 그 전제들의 논리적 모순을 실증적으로 지적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그것으로 인해 가려지게 되는 모습들에 대해 떠올려 보았다.
    하다니 료타이(羽溪了諦)와 후카우라 세이분(深浦正文)에 의해 구축된 ‘서명학파’라는 개념틀은 몇 가지 해석학적 전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는 현장(玄奘, 600(또는 602)~664)과 규기(窺基, 632~682) 학설의 완전한 동일시이며, 둘째는 현장과 원측에 대한 대립적 인식이며, 셋째는 규기와 원측, 규기와 도증이 학설상 ‘근본적으로’ 대립했다는 인식이며, 넷째는 규기-혜소(慧沼, 650~714)-지주(智周, 668~723)의 ‘중원의’ 법상종(法相宗) 정통파 ‘자은학파’는 이설에 적대적인 반면 원측과 이른바 ‘신라계’ ‘서명학파’는 이설과의 조화적 정신을 추구하는 온건한 해석학적 경향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모종의 민족성의 차이를 염두에 둔 듯한 양분법이다. 이러한 인식은 ‘법상종’의 창시자로서 현장을 두고 규기-혜소-지주의 계보를 확정지은 훗날 일본 법상종의 ‘교파’ 관념을 ‘학파’ 시대에까지 소급해서 적용했다는 점에서 일본 불교의 종파주의적 고정관념과 관련되어 있어 보인다.
    이에 대해 한국 연구자들의 연구 경향은 민족주의 배경 아래에서 하다니가 발견한 ‘자은학파’ 규기와 대립했던 ‘서명학파’ 원측을 위대한 민족의 불교 사상가로 재발견하고 찬양하는데 중점이 놓여 있었다. 일본 연구자들에게 이파라는 다소 부정적 인식이 전제되었던 ‘서명학파’라는 개념은 배타적인 ‘중국 유식학파’ ‘자은파’에 대적할 만한 뚜렷한 흐름을 가진, 종파의 차이를 극복하려는 열린 ‘한국 유식학파’로 재평가되고 원측은 단순한 유식사상가가 아니라 위대한 대승사상가로 찬양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는 중국 불교에 대해 한국 불교의 독자성을 찾으려는 한국인들의 집단 무의식이 자리잡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서명학파’를 구성하는 해석학적 전제들을 모두 지지되기 어렵다. 첫째 현장과 규기 학설의 완전한 동일시는 현장이 규기에게만 가르침을 전했다는 매우 단순한 발상이며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둘째 현장과 원측에 대한 대립적 인식 역시 원측이 자기 해석의 최종 권위로 현장과 호법을 들고 있는 사실과 상충된다. 셋째 규기와 원측, 규기와 도증이 학설상 ‘근본적으로’ 대립했다는 인식 역시 도증이 『성유식론(成唯識論)』 해석의 권위로 원측과 함께 규기를 매우 존중했다는 전승과 배치된다. 넷째 ‘중원의’ 법상종 정통파 ‘자은학파’와 ‘신라계’ ‘서명학파’의 양분법은 비(非)규기계 법상종 사상가들 중에 우연히 신라 출신이 많은 점을 확대 해석한 일반화의 오류에 불과하다. 더불어 이 ‘서명학파’의 창은 법상종 사상가 또는 신유식 사상가 원측, 법상종 내의 일군의 ‘비규기계’ 사상가들과 그 일원으로서의 원측, 동아시아 유식사상가 원측의 모습을 비추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서명학파’라는 창은 종파주의적 이분법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으며 또 식민지사관과 중화주의에 짓눌린 한국인들의 상처와 민족적 자존심을 비추는 거울이었으며, 동시에 바로 그 때문에 원측 및 신라 유식사상가들과의 진실된 대면을 막고 주저하게 만드는 앎의 장애물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As is well known, the so-called “Seomyeong (Ximing) School” (西明學派) has been for a long time believed to be a clear window into the realities of Woncheuk (圓測 613-696, Ch. Yuance) as well as Dojeong (道證), Taehyeon (太賢), etc., who are reputed to be his Korean successors. But I think this window can’t be “the clear and bright mirror” that reflects reality as is. To illuminate my opinion, first I trace this notion back to who had created it, why it was created, how it had been developed by both Japanese founders and its Korean continuers, and what the hermeneutical premises beneath it were. Second, I point out the logical contradictions of those premises. Finally, I list some real pictures on Woncheuk and the so-called “Faxiang Order (法相宗, the Yogācāra School in East Asia)” covered by the traditional notion of “Seomyeong School.” Established by Hadani Lyotai (羽溪了諦) and Huka’ura Seibun (深浦正文), the notion of “Seomyeong School” contains some hermeneutical premises as follow. The first is the complete identification of the views of Xuanzang (玄奘, 600 [or 602]~664) with that of Kuiji (632~682, 窺基), one of his disciples. The second is that Xuanzang and Woncheuk had been rivals. The third is that both Kuiji vs. Woncheuk and Kuiji vs. Dojeong were fundamentally hostile toward each other. The fourth is the dichotomy between the orthodoxy of Central China (中原) as represented by Kuiji, Huizhao (慧沼, 650~714), and Zhizhou (智周, 668~723) and the heterodox of Silla (新羅) based on the modern notion of nationalities, which the former takes a stronger stance than other opinions or schools while the latter shows a more moderate view. I believe this recognition might be effected by sectarian prejudices of Japanese “Faxiang Order” that had regarded Xuanzang as its founder and had made the orthodoxical lineage from Xuanzang to Zhizhou.
    Relative to the sectarian dichotomy of the founders of the Japanese “Seomyeong School,” Korean successors of the notion are more focused on rediscovering and appreciating Woncheuk, the founder of “Seomyeong School,” as a great Korean Buddhist thinker. Accordingly, the notion of “Seomyeong School” with a quite negative nuance in those two Japanese was reevaluated in such a positive way that it was the “Korean Yogācāra School” featured by hermeneutical tendencies that made effort to overcome sectarian differentiations, contrary to “Chinese Ja’eun (Ci’en) School (慈恩學派)” with a closed attitude. I believe this kind of hermeneutical tendencies might be based on contemporary Koreans’ collective unconsciousness or sentiment of nationality.
    But I believe those hermeneutical premises which comprised the notion of “Seomyeong School” are difficult to be validated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premise of identification of Xuanzang with Kuiji in the doctrinal respect is just based on the innocent belief that Xuanzang transmitted his doctrine exclusively to Kuiji, which definitely does not correspond to historical facts. The Second premise that Xuanzang and Woncheuk had been rivals also do not correspond to historical realities. The third premise of both Kuiji vs. Woncheuk and Kuiji vs. Dojeong being fundamentally hostile toward each other also contradicts the tradition that Dojeong also respected both Kuiji and Woncheuk as two of the most authoritative interpreters of Chengweishilun (成唯識論). The fourth premise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orthodoxy of Central China and the heterodoxy of Silla is just the fallacy of generalization in that it might come from overinterpretation of the frequent appearance of Silla monks belonging to non-Kuijian lineage thinkers. Additionally, I would point out that the window of “Seomyeong School” could not contain the multiple aspects of Woncheuk as one of the thinkers belonging to the “Faxiang Order,” one of the non-Kuijian lineage thinkers inside the Order, and one of East Asian Buddhist thinkers.
    Finally, from the abovementioned, we can conclude that the window of “Seomyeong School” is shadowed by the dichotomy based on sectarian prejudice of the founders of the Japanese “Seomyeong School,” a mirror which also reflects the minds of contemporary Koreans who has been oppressed by both Japanese colonists’ view of Korean history and the Chinese ego-centric view of her neighbouring countries. But for these very reasons, it also functioned as obstacles in facing the realities surrounding Woncheuk and his contemporary Korean thinkers in the Yogācāra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