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民間傳說을 통해 본 明末淸初의 四川社會와 張獻忠 -傳說의 歷史學的 接近- (The characteristic of Sichuan society and the portrait of Zhangxianzhong in Sichuan legend)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12
49P 미리보기
民間傳說을 통해 본 明末淸初의 四川社會와 張獻忠 -傳說의 歷史學的 接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69호 / 309 ~ 357페이지
    · 저자명 : 이준갑

    초록

    본고는 『四川張獻忠傳說選』에 수록된 張憲忠 傳說 103편을 역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본 것이다. 張憲忠 傳說의 내용을 역사학 연구의 기초 자료인 문헌자료와 비교해 보면 ① 양자가 일치하는 것 ② 전설이 문헌자료의 내용을 보완하는 것 ③ 전설이 문헌자료에는 없는 새로운 것 ④ 전설 내용이 문헌자료와는 상반된 것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이 유형들을 장헌충 전설의 주제와 연결시켜 볼 때 ① 유형에 속하는 전설로는 張憲忠 生涯 전설 가운데 사망 전설, 성장 전설의 일부, 戰鬪 전설 가운데 淸軍과 大順軍과의 전투 전설 그리고 明軍, 自衛集團과의 전투 전설 일부가 있다. ② 유형에 속하는 전설로는 戰鬪 전설 가운데 明軍, 自衛集團과의 전투 전설 일부, 懲惡 전설인 打富와 除惡傳說 일부가 있다. ③ 유형에 속한 전설로는 張憲忠 生涯 전설 가운데 출생 전설, 성장 전설 일부, 由來전설인 節氣와 地名 傳說, 戰鬪 전설 가운데 明軍, 自衛集團과의 전투 전설 일부, 勸善 전설인 恩人報答, 住民保護 傳說, 懲惡 전설인 打富와 除惡 傳說 일부가 있다. ④ 유형에 속하는 전설로는 戰鬪 전설 중 自衛集團과의 전투 전설 일부가 있다. 수량으로 따지면 전체 전설 103편 가운데 약 70편 가량이 ②, ③, ④ 유형에 속한다.
    이처럼 장헌충 전설은 명말청초의 사천사회와 장헌충에 대해 문헌자료가 제공해주지 못하는 새로운 내용을 풍부하게 전해주고 있다. 하지만 문학 자료인 장헌충 전설을 역사학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가지 측면에서 조심할 필요가 있다. 첫째는 사실성의 문제이다. 전설들은 문헌자료에 기록되고 분명하게 역사적 사실로 입증된 내용들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도 있지만 民草들이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하되 사실을 적당히 가공하여 이야기의 재미와 극적 요소를 강화시킨 것도 있다. 둘째는 세계관의 문제이다. 張獻忠傳說 속에서는 富者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거의 없다. 전설 속에 등장하는 부자들은 너나 할 것 없이 가난한 자들을 압박하고 착취하는데 血眼이 된 존재로 그려진다. 그러다가 장헌충에게 죽임을 당하고 부정하게 모은 재물을 뺏기는데 민초들은 빼앗긴 재물을 장헌충을 통해 돌려받는다. 현실에서 존재하는 ‘착한’ 富者들의 존재는 외면한다. 지배층인 官僚나 紳士, 地主에 대한 시각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일방적인 시각은 전설을 재미있고 선명하게 전개하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복잡다단한 현실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 데는 장애가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장헌충 전설 자체는 명말 청초의 사천사회와 장헌충에 관한 중요한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장헌충 전설은 지역적으로 사천전체가 아니라 사천의 일부 지방 특히 서북부인 梓潼縣·西充縣에 집중적으로 유포되어 있다는 점이다. 太廟(大廟) 건설과 보수과정에서 張憲忠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은 梓潼縣에서는 그의 행적을 지지하면서, 張憲忠 死亡地인 西充縣에서는 抗淸 투쟁에서 희생된 그를 기리면서 많은 전설을 만들고 유포시켰다. 반면 大西政權의 도읍지였던 成都 주변의 사천 서부 일대에 유포된 전설은 극소수이다. 이 지역에서는 오히려 屠殺者 張憲忠을 筆誅하는 문헌기록을 주로 남겼다.
    둘째, 張憲忠 전설은 장헌충 세력 대 反 장헌충 세력의 대결 구도라는 관점으로 명말청초 동란기의 사천사회를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전설은 反 장헌충 세력의 중추인 明의 官僚와 軍隊는 부패했고, 地主와 紳士는 民草들의 삶을 고달프게 만든 惡한 무리라고 낙인을 찍고 있다. 이는 紳士層이 기록한 문헌자료에서 전하는 바, 장헌충 세력은 惡이고 反 장헌충 세력은 善이라는 가치판단을 民草들이 뒤집은 것이다.
    셋째, 전설에서 만들어진 장헌충에 대한 개별적인 이미지들은 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면서 替天行道의 구현자라는 종합적인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는 점이다. 전설에 나타난 개별적인 이미지들을 종합하면 張獻忠은 옥황대제가 파견한 使者로서 세상에서 하늘을 대신하여 懲惡揚善, 打富濟貧이라는 天命을 수행하는 替天行道의 구현자이다. 替天行道 과정에서 희생되는 자들은 평소 民草를 괴롭히던 惡人들이므로 그들을 죽이는 것은 정의로운 행위이다. 신사나 관료들이 장헌충을 비난하는 가장 강력한 근거인 대규모 인명살해를 전설에서는 懲惡揚善, 打富濟貧 과정에서 발생하는 행위로 정당화한 것이다. 이리하여 장헌충은 지배층이 기록한 문헌자료에서 낙인찍힌 屠殺者의 이미지를 벗고 오히려 替天行道의 具現者로 부활하였다. 이런 관점은 도둑 무리가 群雄으로 활약하면서 ‘救困扶危’, ‘殺富濟貧’하여 替天行道 한다는 『水滸傳』의 계보를 이은 것이다. 하지만 장헌충이 수행한 天命(懲惡揚善, 打富濟貧)은 힘을 앞세우는 覇道的 속성이 강했고 그로 인해 大西政權이나 張憲忠은 秦帝國이나 項羽처럼 단명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장헌충을 지배자들이 屠殺者로 표현하든 民草들이 替天行道의 具現者로 표현하든 이것은 각각의 관점에서 기록하고 싶거나 기억하고 싶은 것만을 토대로 재구성한 반쪽 이미지들에 불과하다. 필자는 역사연구자의 입장에서 당연히 문헌기록의 사실성을 더 높이 평가한다. 그러나 문학적 허구인 전설도 세세한 내용면에서는 사실성이 떨어지지만 그 줄거리는 시대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장헌충에게 屠殺者와 替天行道의 具現者라는 이중의 성격이 병존한다고 판단한다. 이런 야누스적 모습은 누구에게나 있다. 다만 장헌충에게는 두 측면이 각각 극단적으로 강조되다보니 양립하기 어려운 것처럼 비쳐질 따름이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have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Sichuan society and the portrait of Zhangxianzhong(張憲忠) in Sichuan legend, especially the latter.
    Zhangxianzhong had been depicted as a slaughterer, evil man in Sichuan during Ming-Qing transition times. It was certain that Zhangxianzhong massacred Sichuan people at that time. Zhangxianzhong's such negative portrait was made by the gentries, the ruling class of Ming-Qing dynasties. They hated Zhangxianzhong very much because of he had killed them and plundered them of their property. So they exaggerated his faults and did not mention about his good conducts at all.
    But Zhangxianzhong's portrait of Sichuan legend in Ming-Qing transition times was very different. He had been depicted as a righteous hero who killed evil landlords and carried out heavenly way. Moreover Sichuan people had built his holy statue and performed memorial service for him every year after his death. The service had been interrupted by local magistrate. Because he regarded Zhangxianzhong as a traitor to Qing dynasty.
    The two portrait of Zhangxianzhong were so much different that we can not choose but to be moderate. Zhangxianzhong is not only a slaughterer but also a righteous man like Jan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