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돈황사본 『金光明最勝王經』에 관한 서지적 고찰 - 현대출판물에서 오류와 재편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Parts from the Copy of Sovereign Kings of the Light Sūtra in the Dunhuang Manuscript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08
29P 미리보기
돈황사본 『金光明最勝王經』에 관한 서지적 고찰 - 현대출판물에서 오류와 재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0호 / 187 ~ 215페이지
    · 저자명 : 원혜영

    초록

    이 논문은 돈황 문헌(Dunhuang Manuscripts)에서 『金光明最勝王經』에 관련된 사본들의 특징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金光明最勝王經』은 호국적인 성향이 강한 『金光明經』류 중의 하나이며 義淨에 의해서 번역된 것이다. 『金光明最勝王經』일부에서는 임금이 친히 만든 서문이 포함된 필사본도 존재한다. 고려대장경과 돈황문헌에서 일치하는 부분, 삭제된 부분, 중복된 부분 등을 구별해 낼 수도 있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의 비교에 따라 필사한 사람의 의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돈황 사본에서 『金光明最勝王經』은 북경본이 585개, 러시아(俄藏)본 173개, 스타인(Stein)본 300개, 펠리오(Pelliot)본 34개가 있다. 북경본이 53%, 俄藏16%, 스타인27%, 펠리오 3%가 있다. 돈황 문헌에서 발견된 古本은 지금 활발하게 연구 진행 중에 있다. 내용과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비교연구는 고려대장경의 풍부하고 완벽한 底本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현대출판물은 돈황의 방대한 문헌의 정리 작업을 거의 일차적으로 완료한 상태이며, 각각의 사본들에 대한 밀접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초반의 현대출판물들의 업적은 돈황문헌에 기여한 바가 크다. 하지만 진본인 필사본만큼이나 현대출판물들의 유통은 널리 펴졌으며, 그 출판물들에 의존하여 돈황사본들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실정이다. 여기서는 그 전부를 거론할 수는 없겠지만, 『金光明最勝王經』에 관련하여 현대출판물들에서 기입되어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오류들과 현대출판물이 진짜 필사본보다 조사 연구에서 뛰어난 업적을 소유했다고 보아진 러시아 소장 관련 출판물을 소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py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ūtra in the Dunhuang Manuscripts.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ūtra is a part of "Sūtra of Golden Light" that has a very strong patriotic characteristic. The translation was by Eui Jung.
    In parts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ūtra, there exists a manuscript that the King himself wrot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parts equivalent to, deleted from, and repetitive to the Tripitaka Koreanan period and the Dunhuang Manuscripts. Moreover, the intentions of the maunuscriptor also can be inferred from comparison to the latter two texts. There are 585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173 of Russian version, 300 of Stein version, and 34 of Pelliot versions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ūtra (K.0127, T.0655); thus, 53% are from Beijing, 16%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27% and 3% respectively.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original version found in the Dunhuang Manuscripts are currently active. The reason is because of its diverse quantity. In the perspective of content and bibliography, the comparative studies highly depend on diversity and completeness of the foundation texts of the Tripitaka Koreanan. The publication of the private copy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ūtra is special in that it allows partial and brief understanding of the text. Parts are review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it with Taishô Tripitak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