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末淸初 江南 지역 콩깻묵[豆餠]의 利用과 보급 - 飼料와 肥料의 이용을 중심으로- (The Use and dissemination of Soybean cake[豆餠] of Jiangnan area in late Ming Dynasty and the early Qing Dynasty: Focusing on the use of feed and fertilizer)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06
42P 미리보기
明末淸初 江南 지역 콩깻묵[豆餠]의 利用과 보급 - 飼料와 肥料의 이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84호 / 171 ~ 212페이지
    · 저자명 : 최덕경

    초록

    豆油를 짜고 남은 부산물인 豆餠이 명말청초의 강남경제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음을 살폈다. 이와 같이 두병의 영향력이 컸다는 것은 그 필요성이 증대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또 두유생산이 확대되었다는 것이며, 이에 따라 豆油의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각종 음식물을 튀기고 볶아서 가공하고 조리하는 문화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오늘날 중국요리에서 식용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은 두유의 생산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녔음을 의미한다.
    豆餠의 量이 확대된 것은 우선 豆油생산과 관련된다. 두병은 초기에는 식품으로도 이용되었지만, 주로 가축의 飼料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두유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 속에서 이것이 식물의 작용을 활성화시킨다는 교훈을 얻게 되면서 작물의 肥料나 肥力을 높이는 용도로까지 사용하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두유를 짜고 남은 찌꺼기까지 자원으로 사용했다는 점은 糞尿와 마찬가지이다. 이는 모든 자연의 부산물은 다시 자연의 자원으로 되돌려준다는 三才觀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다.
    두병이 명말청초에 강남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이용된 것은 사회경제적인 여건이 성숙하였기 때문이었다. 우선 豆餠은 기존의 밑거름과는 달리 작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速效性이 있었음을 발견하게 되면서 덧거름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특히 강남지역의 경우 水田의 발달과 더불어 잠상업이 발달했으며, 그 외에도 水旱田에서 다양한 상업작물을 재배하고 있었다. 그때까지 밑거름으로 가장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비료는 바로 「逐月事宜」에서 보이는 강가의 罱泥나 퇴비였었다. 그리고 덧거름으로는 당송대 이후부터 분뇨가 많이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명말청초가 되어 고용노동자의 怠業과 노동조건이 까다로워지면서 노동력의 확보와 이용이 곤란해져 인력을 동원한 비료생산이 결코 용이하지 않았다. 게다가 磨路같은 퇴비나 糞尿 등은 제조 및 腐熟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외부에서 구입할 때도 취급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많은 운송비와 인력이 소모되었다. 그리고 직접 水旱田에 시비할 때도 적지 않은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점차 사회경제적 여건이 변하게 되었고, 더 이상 기존과 같이 많은 노동력을 투자하여 踏糞을 생산하거나 외지에서 분뇨를 입수하기가 쉽지 않아 비료에 대한 인식이 바뀐 듯하다. 병비가 짧은 시간에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바로 이러한 여건변화를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 생산력을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 점에서 豆餠은 명말청초 사회경제의 산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처음에 두병은 화북의 산동, 하남 및 강소성 등지에서 가축의 사료나 棉田의 비료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강남지역에 면화재배가 확대되고, 水田과 잠상업의 비중이 커지면서 두병이 점차 강남지역으로까지 유입되었던 것이다. 주지하듯이 豆餠은 우선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냄새가 없어 수송이나 취급이 편리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질소성분이 많아 肥效性이 높아 적은 양을 시비하고도 큰 효과를 거두었으며, 보관하기도 간편하였다. 이런 점에서 두병은 변화하는 강남지역 농촌의 비료로 적합하였다. 그 결과 현금을 지불하고서라도 비료를 구입하였던 것이다.
    특히 豆餠은 물기가 많은 토지의 온도를 높여 작물의 생장을 촉진했기 때문에, 水田은 물론이고 각종 蓮, 芡 등의 습지작물이나 사탕수수의 재배에도 효과적이었다. 때문에 비록 다른 지역에 가서 화폐로 구입할지라도, 전체적으로 볼 때 결코 손해 보는 것은 아니었다. 餠肥는 작물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많은 水․旱田작물의 基肥와 追肥로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명대 중기이전에는 거의 볼 수 없었다. 『四時纂要』에서 보이듯 唐宋代에는 추비로 분뇨가 주로 이용되었으나 명청시대가 되면서 두병이 새롭게 등장했던 것이다.
    이처럼 명대 중기이후 金肥가 현실화된 것은 무엇보다 江南지역의 개발로 인한 水田의 확대와 잠상업의 발달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인구증가로 인해 토지 보유면적은 10畝 단위로 줄어들었지만, 다양한 상품작물에 눈을 돌리면서 강남지역에 알맞은 속효성 追肥가 필요했고, 그 역할을 효율적으로 대신한 것이 바로 豆餠이었던 것이다.
    豆餠의 용도가 늘어나면서 기존의 豆油생산지였던 산동, 강소 등지의 공급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淸初부터는 滿洲지역의 두병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淸 중기 海禁令이 풀리면서 본격적으로 沙船을 이용하여 만주지역에서 생산된 두병을 강남지역으로 운송하였다. 이것은 강남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더불어 두병의 용도가 다양해지고 그 수요 또한 증대되면서 만주지역에서 생산된 두병이 자연스럽게 강남지역으로 수입된 것이다.
    사실 淸初까지 豆餠은 豆油의 생산지인 山東, 河南 또는 江蘇, 安徽 등지에서 많이 생산되었으며, 이는 木棉의 비료로 사용되었다. 특히 산동지역의 경우, 搾油業의 발전과 함께 花生의 광범위한 재배가 이루어져, 豆油와 花生油를 대량으로 外省에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때 강남지역에서는 점차 목면의 재배가 활발해지면서 착유의 부산물인 豆餠에 주목하고, 두병을 수입하게 된 것이다.
    처음 만주의 豆油도 산동의 移民에 의해 제조되었다는 견해가 있었다. 이것은 만주의 두병이 山東人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 그런데 만주에서 豆餠이 언제부터 제조되었는지가 분명하지 않다. 또 만주의 두병이 海運을 통해 강남으로 유입된 역사를 살펴보자면 매우 복잡한데, 이것은 加藤繁의 연구에서 이미 자세하게 밝히고 있다.
    淸初 만주의 關內外의 무역은 육로와 해로의 두 노선이 있었다. 육로는 대부분 山海關을 거치고, 해로는 牛莊을 중심으로 요동반도의 각 항구를 거치는데, 이중에서도 해로무역이 아주 왕성했다. 그러나 康熙원년(1662) 遷界令이 선포되면서 해로무역은 기본적으로 중단되었다. 때문에 해금령이 해제되기까지 강남지역 두병은 주로 산동, 강소 등지에서 대운하를 통해 유입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상해를 중심으로 沙船의 활동이 본격화된 것은 강희 23년 해금령이 해제되면서부터였다. 그러나 건륭 12년에 山東의 凶荒을 구제하기 위해 봉천의 쌀로서 구제하자는 논의가 있었지만, 성사되지 못한 것을 보면 만주의 곡물 移出이 아직 용이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건륭 14년이 되면 盛京將軍 阿蘭太의 주청에 의해, 이전에 육로 반출만 허락했던 米, 豆를 각 州縣에 판매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여러 海口에 입항한 상선이 回航할 때가 되면, 大船은 황두 200석을, 小船은 황두 100석을 가지고 가는 것으로 확대하였다. 그리고 건륭 37년에는 황두, 豆餠 각 1石마다 稅銀 1分 1厘를 과세하는 것으로 이 제한마저 철폐되었다. 이에 따라 商船은 자유롭게 黃豆, 豆餠을 販運할 수 있게 되면서 공물 해상이출의 금지는 저절로 해소되었다. 그 결과 乾嘉 때에는 上海, 乍浦의 두 항구에 5천여척의 선박이 정박하고, 소주의 船廠에는 해마다 천여 척이 건조되었다고 한다.
    당시 만주에서의 移出品은 黃豆, 豆餠, 芝麻, 江米 이외에 棉花, 麻類, 山繭, 山紬, 襍糧 등이고, 移入品은 緞子, 紬子, 白布, 茶葉, 砂糖과 다수의 藥品 잡질류였다. 하지만 南貨의 경우 배가 비어있는 경우가 많았고, 건륭 말 이후 북쪽에서 남쪽으로 회항하는 배에는 關東의 黃豆, 豆餠이 大宗을 이루었다는 것은 沙船 운행의 목적이 바로 豆餠을 구입하기 위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두병이 청초 이후 강남지역에 유입되면서 가축의 사료와 각종 농작물의 비료로 활용되어 부업생산과 농업생산력의 제고에 큰 작용을 했었다. 그 후 20세기까지 東北지역의 대두와 두병은 江浙, 閩廣지역을 넘어 한국과 일본은 물론 유럽에까지 수출되어 東아시아 자본주의 형성에도 일정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ason that soybean cake had been intensively used from the late Ming Dynasty to the early Qing Dynasty is the maturity of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Since it was found that, unlike the conventional base manure, soybean cake facilitated the growth of farm products, it has been used a lot as a kind of base manure. In the case of Jiangnan region, rice fields and silk-raising had developed, and various kinds of farm products for sales had been cultivated. At that time, a fertilizer most easily obtained as base manure was river mud and compost in Jiangnam region. And, for additional manure, excrement had been used a lot since the era of TangSong. However,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early Qing Dynasty, a work stoppage of employees occurred and labor conditions become complicated, and consequently it was hard to produce fertilizers through labor force. Besides, it took a great deal of time to manufacture and decompose compost like Molu and excrement, and when they were purchased outside, it was inconvenient to treat them, and transportation and labor cost a lot. Also, when rice and dry paddies were fertilized, a lot of labor force was required. A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gradually changed, it was hard to manufacture compost in the conventional way of investing a lot of labor force and to obtain excrement from outside. As a result, the recognition of fertilizers seemed to chang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son that soybean cake drew a lot of attention in a short time is that it helped to increase productivity through the efficient acceptance of the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In the aspect, soybean cake was found to be a social and economic outcome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early Qing Dynasty.
    Soybean cake is small and light, and has no smell so that it is easy to transport and treat them. Above all, since it is rich in nitrogen and is effective as a fertilizer, a small amount of fertilization with soybean cake was able to produce a large effect, and it was easy to keep them. Therefore, soybean cake was suitable as a fertilizer in the changing Jiangnan rural area. In particular, since it served as a rol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y soil and thereby to facilitate the growth of farm products, it was effective to cultivate swamp products, such as lotus flowers and euryale ferox, and sugar canes. For the reason, although it was purchased by money in other regions, obtaining soybean cake was never any loss. With the increase in demands of farm products, soybean cake had been used a lot as base and additional manure. But prior to the middle Ming Dynasty, such a phenomenon was hardly f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