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관료 지식인의 양명학관 연구(3) - 지천 최명길(遲川 崔鳴吉)의 양명학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ureaucrat - Intellectual’s Viewpoint of Yang - 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3) - focused on Choi Myeong - gil’s Viewpoint of Yang - ming Studies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6.04
41P 미리보기
조선조 관료 지식인의 양명학관 연구(3) - 지천 최명길(遲川 崔鳴吉)의 양명학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2호 / 229 ~ 269페이지
    · 저자명 : 한정길

    초록

    이 글은 최명길의 학문과 사업에 나타난 양명학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양명학이 조선사상사와 정치사에서 어떤 역할과 기능을 했는지를 밝히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명길은 젊은 시절에 장유와 함께 양명학을 익혔다. 그들이 양명학을 익힐 수 있었던 데에는 당시 이항복이나 신흠 등과 같은 일부 사대부들에 의해 조성된 개방적인 학문 분위기가 그 배경이 되고 있다.
    최명길은 양명학의 심성설(心性說)을 ‘마음의 본체를 곧바로 가리키는’ 기묘한 이론으로서 공맹의 대도(大道)에 합치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런데 최명길은 나이 50세에 마음공부의 새로운 체험을 통하여 주자학이 옳고 육왕학이 잘못되었음을 자각하였다고 진술한다. 이것은 양명학으로부터 주자학으로의 전회(轉回)라고 할만하다. 그러나 그 체험의 실질 내용은 주자학보다는 양명학에 가깝다.
    최명길 학문의 양명학적 특성은 그의 마음에 관한 이해에 잘 나타난다. 최명길에게서 마음은 자기 마음의 참과 거짓을 자각하는 도덕판단의 주체요, 순수한 천리의 마음으로서 도덕판단의 준칙으로 이해되고 있다. 심(心)과 리(理)의 관계에 대한 이해에서도 최명길은 양명학의 노선을 따른다. 그는 ‘심과 리의 분리’를 주자학의 문제점으로 인식한다. 이것은 주자학에 대한 왕수인의 문제의식에 공감한 것이라고 하겠다.
    최명길의 ‘격물(格物)’ 해석은 주자학이나 양명학과도 다른 그만의 독특한 점이 있다. 최명길이 주자학의 격물론을 비판한 점은 양명학과 공유하는 부분이다. 그런데 최명길의 격물론은 양명학의 그것과도 다르다. 그는 격물을 ‘일의 마땅한 이치를 헤아리는 것’으로 풀이한다. 그리고 왕수인이 격물을 정심(正心)으로 풀이한 것을 비판한다.
    최명길의 경세사상에서도 그의 양명학적 특성이 나타난다. 일체의 행위 준거를 자기 마음에서 찾는다는 점과, 명분보다 실질을 중시한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최명길은 양명학을 수용함으로 해서 주자학을 상대화시킬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주체성과 실질을 중시하는 양명학의 정신을 통하여 당시의 난국을 타개할 수 있었다. 양명학의 경세사상이 반영된 최명길의 정치행위는 양명학이 조선의 정치사에서 보국안민(保國安民)의 사상으로 기능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feature of Yang-ming studies that was mentioned in the academics and achievements of Choi Myeong-gil(崔鳴吉) and to find out the role and function of Yang-ming studies in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s in Joseon Dynasty.
    Choi Myeong-gil learned Yang-ming studies along with Jang Yu(張維) when he was young. The reason why they were able to learn Yang-ming studies was due to the free-hearted academic atmosphere formed by Scholar-officials such as Lee Hang-bok(李恒福) and Shin Heem(申欽).
    Choi Myeong-gil understood the theory of human mind and nature of Yang-ming studies as a profound theory that directly point out the core of one's mind and coincide to the great way of Confucius and Mencius. However, at the age of 50, Choi Myeong-gil stated his awareness that Zhu-zi Studies is right and Lu-wang studies is wrong through new experience of his mind and nature. This can be said to be a turning point from Yang-ming studies to Zhu-zi studies. However, the actual content of his experience is close to Yang-ming studies rather than Zhu-zi studies.
    The feature of Yang-ming studies of Choi Myeong-gil is easily revealed in the understanding of his mind. The mind to Choi Myeong-gil is the subject of ethical judgement that realizes the truth and false of one's mind. And it is understood as the principle of ethical judgement completely identical with the Principle of Nature(天理).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of mind and principle, Choi Myeong-gil follows the authentic path of Yang-ming studies. He acknowledges the 'separation of mind and principle' as the problems of Zhu-zi studies. This would be his comprehension of the critical mind of Wang shou-ren(王守仁) in toward Zhu-zi studies.
    The interpretation of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 of Choi Myeong-gil has his own distinctive features that is distinguished from Zhu-zi studies or Yang-ming studies. The criticism of Choi Myeong-gil against the theory of investigation of things in Zhu-zi studies' is shared with the Yang-ming studies. However, the theory of investigation of things of Choi Myeong-gil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Yang-ming studies. He analyze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s ‘finding out the reasonable principle of human affairs’. Also, he deprecated Wang shou-ren's analysis of investigation of things as the effort to rectify the mind(正心).
    Within the doctrine of statecraft of Choi Myeong-gil, his feature of Yang-ming studies were stated. To sum up, he sought the criterion of evaluation of actions only through one’s mind, and laid stress more on actual result of politics than upholding plausible cause of philosophy.
    Choi Myeong-gil accepted Yang-ming studies and relativize Zhu-zi studies. Also, through the spirit of Yang-ming studies that centers on subjectivity and actuality, they were able to overcome urgent problems of national crisis. It showed that the political conducts of Choi Myeong-gil reflected the governing thought of Yang-ming studies was able to function as ‘the thoughts of protecting the country and caring the people’ in the political history of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