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ㆍ淸代 福建 宗族의 成長과 地域神 ― 詔安縣 沈氏宗族을 중심으로 ― (The Growth of Clan and Regional Deity in Fujian during Ming-Qing Period — Centered on the Shen Clan of Zhaoan County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04
37P 미리보기
明ㆍ淸代 福建 宗族의 成長과 地域神 ― 詔安縣 沈氏宗族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명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명청사연구 / 47호 / 1 ~ 37페이지
    · 저자명 : 원정식

    초록

    이 글은 복건성 조안현의 최대 성씨인 심씨종족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태시조 무덕후 숭배 현상을 검토함으로써 종족 성장과 종족의 태시조 신앙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조안심씨는 楸公觀音山房、東沈房、岐山房、桔林房과 枝公太平房의5개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평산방이 포함된 것은 20세기 후반이 아닐까 생각된다. 추공계 4개 파로 정리된 것은 15세기 초로 추정되는 데, 15세기 중반에 불탄 족보와 15세기 후반에 새로 편찬된 성화보에서 이 4개 파 13호를 명시하였기 때문이다. 16세기 후반은 조안심씨종족이 지역사회에서 위상을 확보하는 시기이고 그 대표자가 심부이다. 심부는 진사로서 도로 건설, 교량 건설, 종교시설 건축 등 지역사회 활동이 활발하였고, 더불어 종법 정리와 확산, ‘聃季 → 한의 英昌 → 남송 太乙郞’이란 종족의 계보 확립 등 종족 형성에 중요한 활동을 하였다. 무덕후 심세기가 본격적으로 족보에 등장한 것은 18세기이고 그 주체는 상대적으로 늦게 출발한 동심방이다. 동심방은 무덕후를 태시조로 삼고 ‘심영창 → 심세기 → 심추’로 이어지는 계보를 제시하였다. 후발주자인 동심방은 당시 숭배되고 있는 진원광 신앙 속에서 개장공신의 일원인 심세기를 태시조를 삼음으로써 유력 종족임을 과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무덕후는 무장으로서 장주 개척에 이바지한 바가 큰 점을 부각시키는 한편 백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한 공로를 부각시켜 문신으로서의 면모까지 보완하였다. 무덕후를 직접 조상으로 인정하지 않던 觀音山房、岐山房、桔林房이 무덕후를 받아들이는 시기는 늦어서 19세기로 추정된다. 많은 인구와 다양한 방파로 인해 분열성이 강한 조안심씨종족이 결집을 위해서는 계보적 불확실성을 가진 심세기→심추의 관계보다는 믿음의 대상으로 부각된 ‘무덕후’란 상징을 선호하는 족원들에 호응하여 무덕후를 태시조로 확정함으로써 종족 결집의 동력을 이끌었다. 무덕후의 순안활동은 그 구체적 표현이다. 각 향촌을 돌면서 몇 개월 진행되는 대규모 순안 의례는 글 한줄 모르는 족원이라도 보고 듣고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일체감을 갖고 결집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Currently, the Zhaoan Shen clan consists of five branches, including the Guanyinshan, Dongshen, Qíshān, Julin Branches from Lord Qui Lineage as well as the Taiping branch from Lord Zhi Lineage, while the Taiping branch is believed to belong to the clan in the late 20th century. It is presumed that the forming of the 4 branches from Lord Qui Lineage happened in the early 15th century, because the preface of the Chenghua family’s genealogy log cleary states the 4 branches and their 13 families when the genealogy log was republished after it had been lost in fire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In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the Zhaoan Shen clan secured its status in the community, and its representative was Shen Fu. As a iinshi, Shen Fu actively participated in local activities such as roads, bridges, or religious facility constructions, and thus he played a vital role in forming of the genealogy of the clan, including organizing and spreading of lineage or verifying of the lineal oder of Danji (Zhou) → Yingchang (Later Han) → Taiyilang (Qui in Southern Song). Among the things happened in those days, it is noteworthy that anti-Yuan activities of Shen Zizhen and his brother during the Song-Yuan transition period and region-saving activities of Shen Zhou in the Deng Maoqi rebellion (1448∼1449) during the mid Ming period were listed in the Zhangzhou Regional History published in the first year of the Wanli era (1573). It is also notable that the statue of Shen Shiji was enshrined in the Zhenjunmiao Tomb (Cijigong palace at that time) after the 6 Generals Shrine had fire, and began to be worshiped.
    It was in the 18th century that the story about the Wudehou (Martial Virtue Lord) named Shen Shiji emerged on the genealogy. In its center lies the Dongshen branch, whose formation was relatively late than other branches. The Dongshen branch held Martial Virtue Lord as the clan progenitor and claimed the lineal order of Shen Yingchang → Shen Shiji → Shen Qiu. It is assumed that the Dongshen branch, as a late mover, tried to show that they were a powerful clan by claiming their clan progenitor to be Shen Shiji, one of Kaizhang Gongchen (meritoriously serviced officers in developing Zhangzhou) in the cult of Chen Yuanguang who was widely worshiped at that time. Especially, they highlighted Wudehou not only as a military general by giving stress on his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Zhangzhou, but also as a civil officer by pointing his contributions in conducting various civil works for common people. It is not clear when the Guanyinshan, Qishan, and Julin Branches, which had not recognized Wudehou as their direct ancestor, came to accept him, but it is presumed to be in the 18th or the 19th century. To unit the Zhaoan Shen clan which had tendency to split into various factions owing to the large number of its population, it was needed to accept hearts of clan members who favored the symbol of “Wudehou” than uncertain lineal order of Shen Shiji → Shen Qiu, which led to choosing Wudehou as the clan progenitor, creating the motive to unit the clan. The check-touring activity of Wudehou is a specific expression of it. The massive check-touring rituals of visiting around each local village for a few months create the sense of unity even to illiterate clan members through their seeing, hearing, and participating i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명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