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라북도 장수군의 동리명 형성과 변천 - 옛 장수현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Village Names in Jangsu-gun of Jeollabuk-do - Focused on the old Jangsu-hye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06
36P 미리보기
전라북도 장수군의 동리명 형성과 변천 - 옛 장수현 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38권 / 113 ~ 148페이지
    · 저자명 : 박병철

    초록

    전라북도의 동부 내륙에 위치한 장수군은 1읍 6면으로 편성되어 있다. 이 중 장계면, 계북면, 계남면 등 3개면은 예전에 장계현에 속했었고, 번암면은 남원부에 속했었다. 그리고 장수읍, 천천면은 장수현에 속했으며 산서면의 동부는 장수현, 서부는 남원부 관할이었다. 본고에서는 옛 장수현 관할 지역을 위주로 한 장수읍, 천천면, 산서면 등 3개 읍․면의 동리명을 탐구하였다.
    역사문헌자료에 올라있는 동리명과 전래 속지명 등을 검토한 결과 오늘날 사용하는 동리명은 두 부류가 있다. 원초형이 고유어였던 동리명을 한역한 것과 명명 당초부터 한자를 활용하여 부여된 동리명이 그것이다. 원초형이 고유어였던 동리명을 漢譯한 것들은 音譯에 의한 것과 義譯에 의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역에 의해 생성된 한역지명이 대부분이며 음역의 경우도 일부 존재하나 주로 전부요소에 나타난다.
    원초형인 고유어지명의 어원을 고려하지 않고 보다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 同音 내지는 類似音의 한자로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변화가 일어난 동리명이 있다. 현용 ‘大成里’는 원초형인 고유어지명 ‘큰됫골’을 한역한 ‘大升里’에서 ‘升’을 유사음 ‘成’으로 교체하여 형성된 명칭이다. 원초형 ‘넙산이’를 의역하여 생성된 ‘廣山’도 ‘光山’으로 교체되면서 본래의 뜻과는 거리가 먼 동리명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과 함께 등장한 통합동리명은 ㉠통합 이전의 우세 동리명을 계승한 경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새롭게 명명한 경우, ㉢기존의 동리명 2개를 선택하여 절취, 합성한 경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의 방식이 일반적이나 본고에서 검토한 동리명의 경우 1/4 정도에 불과하다. 반면에 절반 정도가 ㉠, 1/4 정도가 ㉡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Located in the eastern inland of Jeollabuk-do, Jangsu-gun consists of one eup and six myeons. Among them, three myeons, Janggye-myeon, Gyebuk-myeon, and Gyenam-myeon, used to belong to Janggye-hyeon, and Beonam-myeon belonged to Namwon-bu. In addition, Jangsu-eup and Cheoncheon-myeon belonged to Jangsu-hyeon, while the eastern part of Sanseo-myeon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Jangsu-hyeon and the western part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Namwon-bu.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illage names of three villages(Jangsu-eup, Cheoncheon-myeon, and Sanseo-myeon) under the jurisdiction of Jangsu-hyeon.
    Upon the examination of the village names and traditional toponyms listed in historical documents, it is conclude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village names used today. The first type is the Sino-Korean names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native Korean ones and the second type is the Sino-Korean names without any corresponding native Korean ones. The first type can be subdivided into names formed by meaning-based translation and sound-based translation. The village names formed by meaning-based translation is prevalent while sound-based translation is normally applied to front-part of few village names.
    There are village names that have undergone a change as they have been replaced by homophonic Sino-Korean words, which have more positive meanings, without considering the etymology of the native Korean ones. For example, ‘大成里’ is formed by replacing ‘升’ with the similar sound ‘成’ in ‘大升里’, a Sino-Korean translation of the original native village name ‘Keundeotgol’. '廣山', which is a meaning-based Sino-Korean translation of 'Neopsani', is also replaced with '光山', thus became a village name far removed from its original meaning.
    The village names adopted in the process of the rearrange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1914 are classified into cases ㉠ in which the prevailing village names prior to the rearrangement are inherited, ㉡ newly named by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 where two existing village names were selected, cut, and synthesized. Method ㉢ is common, but in the case of village names reviewed in this paper, only about a quarter corresponds to ㉢. On the other hand, about half of them correspond to ㉠ and about a quarter correspond to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