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初 對 哈密 정책에 대한 一考察-복탁 사여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licies toward Hami during theEarly Ming Dynasty-Focused on the Boqtaq Bestowal-)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4.02
33P 미리보기
明初 對 哈密 정책에 대한 一考察-복탁 사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수록지 정보 : 몽골학 / 76호 / 171 ~ 203페이지
    · 저자명 : 최소영

    초록

    元末 하미 지역은 칭기스 칸의 아들 차가타이(Chagatai)의 후예들이 주둔하며 지배하였다. 14세기 후반 朱元璋의 明軍은 元의 수도 大都를 장악하고 서북쪽으로도 세력을 뻗어 하미와 그 주변 지역 공격에 성공하였고 “哈密之路가 뚫려 商旅가 오갈 수 있게” 된 것을 기뻐했다. 이곳은 계속해서 지배한 것은 차가타이의 후예들이었으나 명은 영향력을 키워 15세기 한 하미왕의 책봉 요청을 받아들이고 王號를 忠順王과 忠義王으로 바꾸어 버렸다. 그런데 주목할 것은 명이 충순왕과 충의왕에게 몽골 여성들의 冠인 복탁(boqtaq)을 하사했다는 점이다. 이 기록은 비록 그 수가 적지만 원대에 몽골 지배층이 황실 남성의 부인에게 그 지위를 높여주고자 복탁을 하사했던 관행을 따라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명이 자신들의 변경에 남아 있는 몽골 황실 구성원들에게 예전에 몽골이 했던 것과 같은 관행을 그대로 시행하고자 했던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소수의 사여가 하미에 집중된 것은 첫째, 하미가 명이 서역으로 왕래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통로 상에 있었는데 그곳을 몽골 후예가 다스리고 있었기 때문이며 둘째는 왕의 칭호를 받지는 못할지라도 그곳의 여성들이 사실상 실권을 가진 이들이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the late period of the Yuan Dynasty, the region of Hami (哈密) was dominated by the descendants of Chagatai, the son of Chinggis Khan. Although the Ming Dynasty could not directly rule over Hami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y were able to expand their influence there following the military attack. Hami was a major thoroughfare connecting the Central Plains (中原) and the Western Regions (西域). After the Ming Dynasty successfully attacked Hami, they were overjoyed that merchants and travelers could now move freely.
    The descendants of Chagatai continued to govern this region. The Ming Dynasty established a guard post in Hami, changing the royal titles of the Mongol princes in the area from Su Wang(肅王) to Zhongshun Wang(忠順王) and Zhongyi Wang(忠義王).
    Noteworthy is the fact that the Ming Dynasty granted Mongolian women's headgear, known as 'boqtaq,' to Prince Zhongshun and Prince Zhongyi. This demonstrates, first and foremost, that the Ming Dynasty valued the former Yuan Dynasty's royal descendants who ruled Hami (哈密), a strategic gateway to the Western Regions (西域).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Ming did not only bestow ceremonial items upon the men of Hami but also gave special items to the women indicates the remarkably high status of women in Hami.
    Therefore, we can discern that the Ming Dynasty sought to replicate the practices of the Mongol rulers by bestowing similar honors upon the remaining Mongol imperial members who adhered to their established n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몽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