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초 유희 『물명고』의 분류명 내원과 분류체계 연구 (A Study of the Origi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Yu Hui’s Thesaurus of Names of Things from Early 19th centur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12
47P 미리보기
19세기초 유희 『물명고』의 분류명 내원과 분류체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9호 / 225 ~ 271페이지
    · 저자명 : 김일권

    초록

    이 글은 19세기초 한글물명이 부기된 유희의 『물명고』(1824)를 대상으로 여기에 적용된 대중소의 3단계 물명 분류 체계와 분류명 구성의 특성을 고찰한 연구이다. 유희가 매우 특이한 분류명으로 사용한 4종의 대범주명이 지닌 사상적 배경을 고찰하여, 불교의 유정무정 지각론, 북송대 신유학의 『태극도설』에서 기반한 태극동정론과 오행질료론 및 한의학의 본초서가 전개시켜온 오행적 광물분류론이 복합된 것으로 파악하였고, 그 결과 동식물류는 지각의 관점인 정식(情識)의 유무에 따라 제1 유정류는 지각운동이 있는 동물류, 제2 무정류는 지각운동이 없는 식물류를 지칭하는 분류명으로 수립되었고, 광물류는 능동의 유무에 따라 제3 부동류는 불능동하는 고정성의 토석금 광물류, 제4 부정류는 정적이지 않는 유동성의 수화류를 분류하는 이름으로 수립한 것이라 추론하였다. 이들 전체는 동식광물의 ‘생활자연물’에 대한 물명 분류로 조망되고, 그래서 『물명고』는 ‘물명 자연물 세계’에 대한 탐구서 성격으로 규정되었다.
    다음 소분류명에서 동물류를 분류한 우충, 모충, 나충, 인충, 개충은 고대 진한시대에 성립된 오행사상적 동물분류설인 오충설(五蟲說)을 그대로 전승한 체제이고, 이때 털이 가는 세모(細毛)의 모충(毛蟲)은 초식동물류를, 털이 얕은 천모(淺毛)의 나충(臝蟲)은 육식과 야생동물류를 지칭하는 분류틀로 사용한 것이라 파악되었다. 나머지 우충(羽蟲)은 조류, 인충(鱗蟲)은 어류, 개충(介蟲)은 패류ㆍ갑각류를 분류하여, 전체적으로 『물명고』의 오충 소분류가 각각 조류, 초식동물, 육식동물, 어류, 패갑류의 분류틀이라 고찰되었다.
    여기에 빠진 곤충은 동물류 전체를 포괄하는 광의의 용법과 작은 벌레의 소충류(小蟲類)를 지칭하는 협의의 용법이 있고, 이중 『물명고』는 소충의 충치류를 포괄하는 분류명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남송초 정초의 『통지』(1116) 「곤충초목략」이 공자가 강조한 시명다식(詩名多識)의 물명(物名) 중요성에 의거하여 자연의 조수초목에 대한 분류와 물명 고찰을 적용한 것이어서 유희가 『물명고』를 편찬한 것과 동궤의 문제의식으로 크게 주목되었다. 또한 중간분류명으로 수중동물(鱗蟲, 介蟲)을 묶은 수족(水族)과 동물(毛蟲, 臝蟲)을 묶은 수족(獸族)을 사용한 문제도 아울러 고찰하였다.
    최종적으로 물명 자연물을 궁극 대상으로 삼은 『물명고』는 4류-7족-13부의 대중소 3단계 분류체계 아래 총 685항의 물명 표제항을 수록한 것으로 집계되었고, 그중 광물류가 1할 정도(81항, 12%)인 반면에, 나머지 9할(604항, 88%)이 동식물류에 집중된 분포여서, 『물명고』의 물명 연구에 본초서 계통과의 심화 비교가 크게 요청되었다. 또한 『물명고』가 선행된 『재물보』(1798)의 항목을 취사선택한 방식이어서 향후 양자의 비교연구를 통해 한글물명의 문제도 심화할 필요성이 크다 보았다.

    영어초록

    The basis of this study is Yu Hui’s Thesaurus of Names of Things (1824) which contains Hangeul inscription of names. This study explores the three-step classification system, organized into large-medium-small divisions, and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classifying names. Behind Yu Hui’s unique four group classification names there lies a complexity of ideas including the Buddhist theory of senses for sentient and non-sentient beings, the dual nature of stillness and movement of the Great Ultimate, and the Neo-Confucian theory of five substance from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the Great Ultimate of Sung China, and also the theory of five elements for minerals originally propagated by the books of medicinal herbs. It is inferred that the division of animals and plants was made based on the existence of senses. Animals with senses are located in the first group, and plants with no senses, in the second. Minerals depending on [im]mobility are located in two groups: the immobile earth, stone, and metal are in the third, and the mobile water and fire are in the forth. Grouping animals, plants and minerals in this way is viewed as classification of the ‘Livelihood in Nature’ and thus Thesaurus of Names of Things is designated as the book investigating the world of nature.
    Speaking of the small division for animal names it discovers the five elements theory in its five groupings, they are: animals with wings, with hair, without hair or wings, with scales, and with hard cover. This theory of five animal groups originates from the ancient Chin-Han dynasties. Also found was that thin-haired animals are listed as vegetarian, and short-haired ones, carnivorous. Animals with wings were listed as bird, with scales as fish, with hard cover as crustacean. Therefore, the small division consists of the five namely, bird, vegetarian, carnivorous, fish, and crustacean.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rest of animals Thesaurus of Names of Things cares for small things. Confucius’s emphasis on names of things shown in the Book of Odes provided the basis for Jeong Cho’s work “Concise Terms of Animals, Plants and Trees” in Comprehensive History of Institutions (1116). This idea was in the same vain used by Yu Hui for his own thesaurus. The middle division classification includes aquatic animals with scales or with hard cover, and animals with hair or without hair.
    Summing up, the natural objects that Thesaurus of Names of Things focused on 685 items under the large, medium, and small divisions. The proportion of minerals is one tenth compared to the nine tenth concentrated on animals and plants. This data indicates that there is great demand that this thesaurus be compared with the books of medicinal herbs. Moreover, comparative studies for Thesaurus of Names of Things and its reference book, Names of All Things and Products of Culture, will benefit from intensified research on Korean inscriptions of thing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