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明 遺民에 대한 기록 양상 -九義士를 중심으로 (Aspects of record on displaced people in the Ming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works of 'Guuisa(九義士)')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06
33P 미리보기
조선 후기 明 遺民에 대한 기록 양상 -九義士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4권 / 1호 / 231 ~ 263페이지
    · 저자명 : 사경화

    초록

    병자호란이 끝난 후 청나라에 인질로 끌려간 봉림대군은 역시 청나라의 포로로 끌려온 9명의 명나라 선비들과 심양에서 만나게 된다. 그는 이들 선비들이 품은 反淸復明 의지에 깊이 공감하고 이후 함께 조선으로 들어온다. 이 9명의 명나라 선비들을 ‘九義士’라고 부른다.
    九義士들은 봉림대군의 보살핌 아래 조선에 정착하였고 봉림대군이 즉위한 후에도 지속적인 교류를 하면서 북벌을 준비한다. 하지만 즉위 10년 만에 효종이 승하하면서 북벌론은 그 결실을 맺지 못하고 실체를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九義士의 존재 또한 묻히게 된다.
    한편, 숙종, 영조, 정조대를 거치며 北伐論의 자리를 尊周論이 대신하게 되는 과정 속에서 명나라 역사와 인물들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명나라의 역사서를 조선의 손으로 편찬하는가 하면, 명나라 인물들에 대한 다양한 기록 작업들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九義士의 존재가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고, 여러 문인들의 손에 의해 작품으로 탄생한다.
    가장 먼저 李德懋의 「磊磊落落書」에서 이들의 존재가 다시 세상에 드러난다. 그리고 연이어 成海應의 「皇明遺民傳」, 「八姓傳」, 국가차원에서 편찬된 『尊周彙編』에서도 九義士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이들 기록들은 조선이 중화문명을 계승임을 보여주고자 했던 것들로서 九義士들에 대한 내용 또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九義士의 후손인 王德九는 『皇朝遺民錄』을 통해 조상에 대한 구체적 기록을 남겨 이를 통해 조선사회에서 九義士가 가지는 의미를 밝히고 하였다. 그리고 화서학파의 대표적 학자인 金平黙은 위정척사의 입장에서 이들에 대한 傳을 지어 대명의리론을 강조하고 九義士들의 삶을 통해 당시 흔들리던 조선 사회에 경종을 울리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저술이 행해지는 추이를 살펴봄으로서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사상적 배경과 작가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영어초록

    After Byeongja Horan(丙子胡亂) ended, Bonglimdaegun(鳳林大君), who was taken hostage to the Qing Dynasty, was staying in Shenyang(瀋陽). And he meets with the nine Ming Dynasty scholars who were brought here as prisoners of the Qing Dynasty. All of them had a mind of "BanCheongBogMyeong(反淸復明)" and then came to Korea with Bonglimdaegun(鳳林大君) to realize their goal. These are called "Guuisa(九義士)".
    The Guuisa(九義士) were prepared for the Bugbeol(北伐) in earnest when Bonglimdaegun(鳳林大君) came to the throne. However, Bugbeol fails because Hyojong(孝宗) dies in the throne after 10 years. And the presence of Guuisa also becomes blurred.
    The presence of the Guuisa was again revealed in conjunction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Jonjulon(尊周論), and various records of these began to emerge during the Jeongjo(正祖) period. At first, "NoeLoeNagLagSeo(「磊磊落落書」)" compiled by Lee Duk-moo(李德懋); "HwangMyeongYuMinJeon(「皇明遺民傳」)" and "PalSungJeon(「八姓傳」)" compiled by Sung Hae-eung(成海應); "Jonjuhwipyeon(『尊周彙編』)" compiled in the country showed that Chosun inherited the Ming by recording the loyal servants and saints of Ming Dynasty. Next, Wang deog-gu(王德九), a descendant of Guuisa, wrote <HwangJoYuMinLog(『皇朝遺民錄』>. He recorded the activities of his ancestors in detail and revealed that the purpose of Guuisa's entry into Joseon was "BanCheongBogMyeong". And that the existence of Guuisa itself shows that Joseon inherited the Ming Dynasty. Finally, Kim Pyung-mook(金平黙) described <GuUiSaJeon(九義士傳)> from the standpoint of Wijeongcheogsa(衛正斥邪). He strengthened the Daemyeonguililon(對明義理論) and hoped that Guuisa's life would become a lesson in the chaotic Joseon society at the time.
    Through these records, we were able to look at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18th - 19th century intellectuals of Joseon and various artists' rituals. In addition, the fact that interest in Ming Dynasty people was born as a literary work contributed to diversification and enrichment of the character record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