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 初期 迎詔勅 관련 儀註의 성립과 朝明關係 (The Establishment of the Protocol Associated with the Rescripts for Welcoming Diplomat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 Joseon-Ming Relationship)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2.11
38P 미리보기
朝鮮 初期 迎詔勅 관련 儀註의 성립과 朝明關係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40호 / 123 ~ 160페이지
    · 저자명 : 유바다

    초록

    근대 국제법 체계가 관철되기 이전, 동아시아세계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중화적 질서로 이루어져 있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삼국시대 이래 오랫동안 중국과 朝貢冊封을 매개로 관계를 맺어왔다. 대대로 중국에서는 이 관계를 규정하는 ‘禮制’를 반포하였으며 한국도 이를 수용하여 중국과의 관계를 모색해 나갔다. 결국 한국에서 성리학적 화이론에 입각한 조선왕조가 성립되면서 이 관계는 절정을 이루게 되었다.
    조선은 1392년 건국 이래 조선 나름대로의 예제를 지속적으로 정비하여 마침내 1474년 『國朝五禮儀』를 완성할 수 있었다. 당시 중국 대륙을 장악하고 있었던 明에 대한 事大 의례는 대표적으로 望闕禮, 迎詔勅 儀禮를 들 수 있는데, 이 의례들은 모두 嘉禮에 편성되었다. 특히 明의 사신과 조칙을 맞이하는 迎詔勅 儀禮는 통상 중국에서는 賓禮로 취급하였는데 조선에서는 嘉禮로 정립하였다. 이는 조선이 明을 단순한 외국으로 간주하지 않고, 조선 스스로 明 중심의 중화적 질서체제 내에 수용되고자 하였던 것을 뜻한다.
    그러나 조선은 迎詔勅 儀禮를 다룬 儀註를 통하여 明 중심의 질서를 수용하면서도 대내적으로는 국왕 및 왕조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詔書에 관한 의례와 勅書에 관한 의례를 분리하여 詔書에 대해서는 明에서 규정한 예제, 즉 『明集禮』의 방식을 따르면서도 勅書에 대해서는 그 절차를 훨씬 간소하게 꾸렸다. 고압적인 배례 중의 하나였던 叩頭도 1회에 그쳤다. 『高麗史』 禮志 단계에서는 叩頭가 3회 있었는데 이를 줄여 국왕의 대내적 위신을 최대한 높이려 한 것이다.
    明의 입장에서 보면 이와 같은 조선의 자구 노력은 事大 義理를 거스를 수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國朝五禮儀』 성립을 전후로 조선에 온 明 사진들은 종종 조선의 迎詔勅 의식이 明禮를 따르지 않은 점을 지적하였다. 심지어 明 이전 遼, 金, 元 등 정복 왕조나 사용하던 五拜三叩頭를 요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은 결국 五拜三叩頭를 사용하지 않고 『國朝五禮儀』 완성을 통하여 독자적인 迎詔勅 관련 의주를 마련하였다. 이는 즉, 전근대 韓中 관계가 비록 조공책봉체제로 묶여 있었을지라도, 사대 관계의 내용은 언제나 달라질 수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영어초록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system of modern international laws, the East Asian world consisted in a sinocentric order with China as the pivot. Korea, also unexceptionally, made some relation with China since the Age of the Three Nations by means of tribute and investiture. China promulgated courtesy systems for generations, which clarified the relation, and Korea also accepted them to attempt at a good relation with China. After all, this relation climaxed with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Neo-Confucian Sinocentrism.
    Since her foundation in 1392, Joseon constantly improved her own systems of courtesy, and finally complete Gukjo-Oryeui(國朝五禮儀) in 1474. The toadyist courtesy system for Ming, which governed Continental China at that time, included the greeting-toward-the-palace procedure(望闕禮) and the protocol for the rescripts for welcoming diplomats(迎詔勅 儀禮), all of which were involved in celebrative procedures(嘉禮). In particular, the protocol for the rescripts for welcoming diplomats were usually regarded as part of guest treatment procedures(賓禮), but Joseon established it as part of celebrative procedures as it was for the welcoming of Ming's envoys and rescripts. This means that Joseon did not simply regard Ming as a foreign country, but were willing to be accommodated in the orderly reign of Ming. However, accepting the Ming-based order in terms of the protocol for the rescripts for welcoming diplomats, Joseon domestically tried to exalt her King and her royal court. Rescripts(詔勅) is distinguished between Joseo(詔書) and Chikseo(勅書). Though following the procedures in Ming-Jiprye(明集禮), a book containing Ming's defined courtesies, for Joseo, Joseon created a much more concise version of Chikseo. Even Godu(叩頭), a overbearing procedure of courtesy, was included only once. By reducing the number of Godu, which was included three times in the stage of Yeji(禮志) in the History of Goryeo(高麗史), Joseon tried to maximally increase her King's domestic status.
    On the side of Ming, such efforts made by Joseon would possibly violate the fidelity of toadyism. Thus, some of Ming's envoys who had visit Joseon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Gukjo-Oryeui often criticized Joseon for not following Ming's examples in the protocol of the rescripts for welcoming deplomats. They required even Obae-Samgodu(五拜三叩頭), which had been used by conquering dynasties before Ming like Liao(遼), Jin(金), Yuan(元) etc.. However, Joseon after all did not use Obae-Samgodu, but completed Gukjo-Oryeui to establish her own independent protocol related with the rescripts for welcoming deplomats. This means that the contents of the pre-modern toadyist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could be varied though their relation was tied in the tribute-investitur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