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투명 재료에 의한 유동적 공간의 표현 특성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lowing Space by Translucent Material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06
12P 미리보기
반투명 재료에 의한 유동적 공간의 표현 특성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4호 / 263 ~ 274페이지
    · 저자명 : 조능혜,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현대사회는 탈 산업시대를 벗어나 정보화 사회(informational society)로 진입하고 신소재, 신기술, 새로운 디자인 컨셉의 등장으로 정보화와 인터넷기술의 발달로 사람들의 심미적 인식과 행위방식이 변화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전통적인 행동 공간 모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람들과 소통하고 안내하는 유동적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시대의 발전에 맞는 새로운 공간 형식이다. 유동적 공간의 형성은 구조 및 재료와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반투명 재료는 물리적 특성을 반영 할 뿐만 아니라 미학적 가치도 제공한다. 오늘날 사람들에게 공간에서 시각적 영향뿐만 아니라 유동적이고 열린 공간체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동적 공간과 반투명 재료를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통한 도출한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실재된 사례를 조사 통하여 그의 요소들이 유동적 공간에 활용될 수 있는 제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기능적 욕구와 감각적 경험을 충족시키고, 사람들의 공간과의 소통을 촉진하는 유동적 공간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유동적 공간과 반투명 재료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한 반투명 재료와 유동적 공간의 정의와 유형을 분석하고 정리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유동적 공간의 특성과 반투명 재료의 특성을 바탕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반투명 재료에 의한 유동적 공간의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재정립한다. 이를 토대로 사례 분석을 통해 다각도로 종합 분석하였다. (결과) 유동적 공간과 반투명 재료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반투명 재료에 의한 유동적 공간 나타나는 물리적 연속성, 가변성, 투과성, 다양성, 감각적 유동성, 유도성, 심미성, 모호성의 8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8가지 디자인 요소 중 감각적 유도성과 심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각적 유동성>감각적 모호성, 물리적 연속성과 투과성>물리적 가변성으로 나타냈고 물리적 다양성이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결론) 정보화 시대에 사람들의 심미적 관념과 행위방식의 변화로 인해 유동적 공간이 새로운 공간형태가 되었다. 유동적 공간의 형성은 재료와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반투명 재료에 의한 유동공간의 디자인은 공간의 기능적 욕구와 감각적 체험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더욱 탐구하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사람과 공간의 용합을 촉진하면서 동시에 자유롭고 유동적인 공간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층적인 정신적 즐거움과 심리적 공감을 얻는 역할을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entering the 21st century, modern society has gradually broken away from the post-industrial era and entered the information society. With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and new design concepts, people's aesthetic concepts have chang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stead of the closed space model, people need a new space form that can meet the needs of space, th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conform to contemporary developments. The formation of flowing space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ranslucent materials, which not only embodies physical characteristics but also provides aesthetic value for flowing space. Therefore, today's people need a flexible and open spatial system, as well as visual effects in space. This study focuses on the flowing space and translucent materials, analyzing the elements of translucent materials in the flowing space. By analyzing the actual semi-transparent design of the flowing space, these elements are reasonably used in the subsequent space design to enhance the overall sense of space flow and better meet people's functional needs, as well as the sensory experience of space. (Method) In this study, flowing space and translucent materials are taken as research objects; their definitions, types and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nd sorted out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wing space and translucent materials, the design elements of translucent materials in flowing space are obtained and sorted out. Before that, we made a comprehensive analysis from multiple angles through case analysis. (Results) Our initial research on the flowing space and translucent materials concluded tha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ranslucent materials in flowing space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continuity, variability, light transmission, diversity, sensory mobility, guidance, aesthetics and fuzziness. Based on the obtained characteristics, the example i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sensory guidance and aesthetics are the highest among the eight design elements, Second, the fluidity of senses is higher than the fuzziness of senses; the continuity and transparency of physics are higher than the variability of physics, and the diversity of physics is the weakest. (Conclusions) The change in people's aesthetic idea and behavior mode in the information age makes the flowing space a new space form. The formation of the flowing space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ranslucent material; it uses a translucent material design, which can not only mee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flowing space and sensory experience but also effectively motivate people to further explore an interest; it promotes the fusion of people and space, as well as provides people with a free, the space of flow experience, In this way, people can obtain multi-level psychological reso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