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과 명‧청시기의 토지 매매문서 비교 연구 (Comparative research on the real-estate documents of Chosun dynasty(Korea) and Ming/Ching(China) dynast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12
37P 미리보기
조선과 명‧청시기의 토지 매매문서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17호 / 189 ~ 225페이지
    · 저자명 : 전경목

    초록

    전통시기에 한국과 중국은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커다란 영향을 끼쳐왔다. 정치‧경제‧사회의 여러 측면은 말할 것도 없고 양 국민의 일상생활에까지 절대적인 영향을 주고받았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조선과 중국의 명‧청 시기에 민간에 널리 사용되었던 토지매매문서의 형식을 비교하여 양국 문서의 특징을 살펴보고 나아가 양국 사회와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조선의 전답문권의 구성 요소는 ① 문기 작성일, ② 매득자買得者 성명, ③ 문기 기두식起頭式, ④ 방매放賣 이유, ⑤ 매물賣物의 소종래所從來, ⑥ 매물의 소재지, ⑦ 매물의 면적, ⑧ 매물의 가격, ⑨ 방매 절차, ⑩ 책임문언責任文言, ⑪ 문서 작성 관련자의 서압署押이었다. 이에 비해 중국 명‧청 시기의 매지계賣地契는 ① 방매자放賣者 인적 사항(거주지와 성명), ② 매물의 소종래所從來, ③ 매물의 위치와 번지 및 사지四至, ④ 방매 사유, ⑤ 중개인 선정, ⑥ 매득자買得者 인적 사항, ⑦ 가격 결정 절차, ⑧ 방매 절차, ⑨ 책임문언責任文言, ⑩ 문서 작성 사유事由, ⑪ 문서 작성 연월일, ⑫ 문서작성관련자 서압署押, ⑬ 기타(매물이 많을 경우, 종류 및 면적 등을 부록으로 기록)가 구성 요소였다.
    조선의 전답문권과 중국의 매지계를 비교했을 때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중개인의 존재여부이다. 중국에서는 토지를 방매할 때 우선 중개인을 선정하였다. 그러면 그가 방매자를 대신하여 매득자를 물색하고 가격을 방매자와 매득인 간에 합의하여 결정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중개인이 없었다. 또 토지를 방매할 때의 절차가 양국이 달랐다. 중국에서는 토지를 팔 때 먼저 친척 중에 이를 사들일 사람이 있는지를 묻고, 없을 경우에는 이웃사람에게 문의하였으며, 그들도 의사가 없을 때 비로소 타인에게 방매할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은 이러한 절차를 전혀 거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중국은 조선과 비교하여 혈연과 지연 공동체적인 성격이 훨씬 강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조선은 중국에 비해 토지소유권이 훨씬 배타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하였던 문서의 비교를 통해 양국의 사회와 문화를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려는 연구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premodern times, Korea and China remained in a very close relationship and gave a huge amount of influence to each other. The reciprocal influence even reached everyday issues beyond the territory of the formal politics and economy. In this research we will compare the documented form of the real-estate contracts of Chosun dynasty(Korea) and Ming/Ching(China) dynasty,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documents and what these two countries have in common and what's so different regarding their society and culture.
    Chosun's Cheondapmungwon(the property contract document) consists of these 11 elements; 1. the date of the document. 2. the name of the buyer. 3. the formal opening of the document. 4. The reason of the sale. 5. the history of the property. 6. the location of the property. 7. the extent of the property. 8. the price of the property. 9. the procedure of the sale. 10. the responsibility clarifications. 11. the signature of the document's author. Ming/Ching's Maejigye(the property contract document) consists of these 13 elements; 1. the name and the address of the seller. 2. the history of the property. 3. the address of the property(including specific reference to the property's boundary). 4. the reason of the sale. 5. the specification of the realtor. 6. the name and the address of the buyer. 7. the procedure of the bargaining. 8. the procedure of the sale. 9. the responsibility clarifications. 10. the reason of the documentation. 11. the date of the document writing. 12. the signature of the document's author. 13. further informations(in case the property concerned is more than one, to append the sorts and extents of propertie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Chosun's Cheondapmungwon and China's Maejigye is the existence of the realtor. In China, the procedure of the contract starts from appointing the realtor, and the price was also negotiated among the seller, the buyer, and the realtor. But, in Chosun, the realtor hasn't existed. Furthermore, Chinese only could sell his/her own property to the stranger, if no one in his/her family or later in his/her neighborhood wanted to buy the property. In Chosun, however, such limitation to the sale to the strangers hasn't existed. We can infer from the facts above that China was more of a blood-tied society than Chosun was. In contrary to that, Chosun had the more exclusive ownership over the property.
    The research on the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 between China and Korea from the documents they have used has just begun. We expect more researchers research on such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