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淸代와 江戶시대의 소상팔경도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n the Ming-Qing and Edo Period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01
42P 미리보기
明淸代와 江戶시대의 소상팔경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34호 / 73 ~ 114페이지
    · 저자명 : 한정희

    초록

    瀟湘八景은 매우 오래된 회화의 주제로 동아시아 삼국에서 다수의 그림들이 제작되었다. 동아시아에서 소상팔경도가 유행한 시기는 중국은 남송, 한국은 조선 전반, 그리고 일본은 무로마치 시대로 시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특정 시기에 유행한 소상팔경도는 그 뒤에는 점차 관심에서 멀어지면서 작품 수도 적어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전성기가 끝난 뒤에 그려진 소상팔경도가 중국과 일본에서 어떻게 변모하며 전개되었는가와 이러한 작품들은 회화사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과 한국에서 소상팔경도가 다시 명맥을 유지하게 된 것은 중국 명대에 文徵明이라는 매우 창의적이고 영향력이 있는 문인화가가 새로운 전범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문징명이 시도했던 새로운 소상팔경은 이전과 달리 문인화풍으로 간결하게 그리는 화책 형태로 등장하였다. 그의 소상팔경은 실제 경치의 재현이 아니라 회화적인 회화로서 명대의 회화 특히 오파화가들이 추구하였던 소주 근처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친근한 주변의 경치를 그리는 것이었다. 문징명은 심주의 구성과 필법을 따랐지만 자신의 새로운 해석에 의해 보다 더 간결하고 활용하기 쉬운 형태로 산수들을 변형시켰다.
    또 명대에는 네 작가가 힘을 합쳐 하나의 화첩을 만들기도 하였는데, 각각 2점씩을 그려 모은 것이다. 이것도 이전에 없던 것으로 모두 8점이었기 때문에 분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청대에는 방작이 성행하면서 소상팔경도 역시 방작의 형태로 그려졌다.
    한편 일본에서는 에도 초기의 狩野探幽와 후기의 池大雅가 침체에 들어간 이 오래된 주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狩野探幽는 하나하나의 소상 경치를 밀도 있게 그렸지만 이를 다른 주제의 그림들과 종합하여 그려 雜畵卷을 만들고, 또 縮圖를 통하여 새로운 산수의 조형미를 찾아내고자 노력하였다. 南畵의 대가인 池大雅는 에도 시대에 多作을 했던 화가로 학문은 깊은 편이 아니었지만 창의력이 넘치는 그림들을 다수 제작하였다. 소상팔경이라는 오래된 주제에서도 그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그리지 않고 심하게 변형을 가하였다.
    일본에서는 특이한 점은 소상팔경도 역시 상당히 장식적이라는 것이다. 室町시대에 활동한 制光의 작품에서는 산들이 둥글둥글하게 그려져 이전의 야마토에(大和繪)를 보는 것 같다. 원근 처리도 도안적이며 실경의 분위기는 찾아보기 어렵다. 형태상에서 보자면 일본에서는 소상팔경도가 병풍으로 된 것이 많고 또 벽면이나 후스마에(襖繪)로 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중국과 일본의 작가들은 자신들의 상황에 맞게 이 진부하기까지 한 주제에 변화를 주면서 생명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China, the tradition of depicting eight scenic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reached its artistic peak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during Southern Song period (960-1279), in Korea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1392- ca. 1550), and in Japan during the Muromachi period (1392-1573).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after these suggested time periods, the artistic vitality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as lost, thus little scholarly attention was given to later development of this pictorial theme. Thus, this research will examine how after its so called artistic apex, the tradition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developed differently in China and Japan, and how artists sparked trans-generational and trans-cultural conversations with their audience by interpreting this theme of antiquity in new aesthetics and pictorial vocabularies.
    Unlike Song period works, which tended to focus on the realistic depiction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en Zheng-ming (1470-1559), a Ming literati painter wonderfully interpreted this traditional theme in simple literati taste, and these works were formatted in small albums, rather than hanging scrolls. Wen’s approach to this theme is similar to Wu school painters who often found their themes for painting in the lush gardens and environs of Suzhou and rendered it in simple and plain brushworks.
    During Wen’s time, it was popular that in making one album, four painters collaborated together. Since the number eight is an even number, it was simple for each painter to be in charge of depicting two views. During the Qing period,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ere painted in style of old masters.
    In Japan, Kano Tanyu(1602-1648) and Ike no Taiga (1723-1776) invigorated this theme of antiquity. Kano Tanyu rendered the details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n an extremely meticulous manner in handscrolls, which often accompany other pictorial images. Ike no Taiga, one of the most celebrated Nanga (Southern School Painting) masters in the Edo period dramatically changed the conventional composition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ainters’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lays in its extreme decorativeness. Round hilly mountains in the work by Seiko of the Muromachi period echoes the decorativeness of Yamato-e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