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근대 石城 축성자료의 축조 분담과 명활산성작성비 (Construction Allocations in Pre-Modern Stone Castle Building Data and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4.08
48P 미리보기
전근대 石城 축성자료의 축조 분담과 명활산성작성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29호 / 1 ~ 48페이지
    · 저자명 : 이미란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石城 축성자료를 분석하여 축조 분담 기준과 공역조직의 관계를 찾아보고, 그 특징을 신라의 <경주명활산성작성비>와 비교하였다.
    조선시대의 축성 분담은 전체 축성 구간에서 지형의 분기점을 대단위(道)로 나눈 뒤 역역징발 단위인 군현 단위로 중단위 공역조직을 구성하였다. 중단위 공역조직이 분담받은 축조량은 최소 13보에서 최대 47보가량이고 그 안에 소단위로 세분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질적인 축성 단위는 감역관을 둔 중단위였고 각자성석도 주로 중단위에서 새겼다.
    <명활산성작성비>에서 최소 14보에서 42보의 축조구간을 분담받았는데, 그 내부에 다시 소단위를 두어서 공사량을 세분했다.
    이처럼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석축성의 실질적인 축조 분담은 지방지배체제 하의 역역단위로 주로 중단위였고 상황에 따라서 소단위로 세분하기도 했다. 신라의 축성 기록 중에서 전체 둘레[周]가 강조된 다른 축성공사도 확인할 수 있는 축성 운영방식으로, 한반도에서 금석문에 새겨 축조 책임을 밝히는 石城의 축조 운영방식의 시원은 신라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ion sharing criteria of the stoney fortress construction and the airspace organization by analyzing the data on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fort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compared its characteristics with Silla's <Myeonghwal Fortress Jakseong-bi(明活山城作城碑)> to find the criteria for construction shari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divis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capital city's first axis was divided into large-scale sections(道), and then two characters (1,200 vessels) of Cheonjamun were divided into mid-range units, and 50尺 (25步) to 100尺 (16步) were divided into small-scale units. The actual unit of construction was the mid-range unit with a inspectors(監役官), and each castle stone was carved in both medium and small units. In Sejong period, after dividing it into large-scale units, Gunhyeon(郡縣), which is a unit of Labor Mobilization System(役制), was divided into mid-range units, and each castle stone was engraved, and there were also sub-units of about 130尺 (21步) to 78 尺 (13步) inside it.
    During the contraction of Geumosanseong Fortress(金烏山城), a defense ba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umber of 役夫 in the county and county was alloc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but the actual distance of division of the airspace organization was not known. The Dongnaebuseong contraction project in the Yeongjo period was divided into 4 large-scale units and 60 middle-level units (牌), and the construction distance around 47 步 was shared by the middle-level airspace organization.
    By dividing the construction section of at least 14 to 42 步 in the <Myeonghwal Fortress Jakseong-bi> the airspace organization is estimated to be mid-level, and the construction volume was subdivided by placing a sub-unit inside it.
    As such, from ancient times to the Joseon Dynasty, the actual division of construction of Stoney Fortress was mainly in the middle level, and it was subdivided into sub-uni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this way, it was confirmed that Silla had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operation method of Stoney Fortress, which was divided into the entire construction section and had an airspace organization below the middle level to build it, and that each stone was responsible for the constr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