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여인 (Koryo Women Shown in Epitaph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02
30P 미리보기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여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38호 / 37 ~ 66페이지
    · 저자명 : 김병인, 이현정

    초록

    기존의 고려시대 여성관련 연구에서 묘지명의 내용은 단편적으로 인용되는 정도에 머물러 왔다. 이에 필자는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시대 묘지명의 형식과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하여 묘지명에 드러난 여성관을 살펴보고, 그러한 관념 하에서 살아간 여성의 구체적 삶의 양상을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남성과 여성 묘지명의 구성과 내용을 비교·검토하여 묘지명에 드러난 여성관을 살펴본 결과, 남성 묘지명의 경우 남성 개인의 공적을 강조하고 있으며, 부인에 대한 내용은 비중이 크지 않았다. 반면 여성 묘지명에는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남편이나 자식들을 출세시키는데 헌신한 모습 등이 주로 기술되었다. 그리고 남성 묘지명에 기술된 부인 관련 내용보다 여성 묘지명에 기술된 남편 관련 기록의 비중이 더 컸다. 이는 고려시대 묘지명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존재를 더 부각시켜 기술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성 묘지명의 기술 내용은 주로 정절, 효, 남편내조, 자녀교육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정절의 경우 불교에서는 생전의 정절을 이야기하는 반면, 유교는 사후의 정절까지도 강조하는 등 개념의 차이를 보였다. 고려시대 여성 묘지명에서 상당수가 사후의 정절까지 강조한 것으로 보아 불교보다는 유교적 여성관이 강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Ⅲ장에서는 ‘女工’과 ‘婦德’을 통해 여성의 생활모습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묘지명을 갖고 있는 여성들은 길쌈을 통해 경제적인 기반을 갖추어 가정 살림을 꾸렸으며, 부모를 봉양하고 남편과 자식의 출세를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묘지명 분석을 통하여 얻은 특이한 점은 고려시대 여성들이 불교보다는 유교적 지향 속에서 생활하였으며 그 범주 내에서 평가받았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Existing studies related to Koryo women have quoted partly descriptions in epitaphs. This study is to compile and analyze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epitaphs in the Koryo Dynasty in detail to understand the social view of womanhood and women's practical life at that time.
    Chapter Ⅱ consists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epitaphs on men and women. Epitaphs on men tend to emphasize their personal contributions during their life, with less mentioning their wife, while those of women tend to deal with women's dedicated effort to their husband and children centering around household affair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records on their husband in women's epitaphs are much more than those in men's, accordingly which indicates that the epitaphs in the Kyoro Dynasty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men in comparison with women.
    The contents of women in epitaphs can be classified as four types; Fidelity, Filial duty, Assisting husband and Education of children. Fidelity was understood differently in the concept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Fidelity in Buddhism means that during women's life, but fidelity in Confucianism includes that after women's death.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epitaphs on women emphasized the fidelity after death, which means that they reflected Confucian idea on the view of womanhood rather than Buddhistic one. Such a fact clearly shows that the Koryo Dynasty promoted Confucian idea in its national policy for women and the epitaphs on women are also a proof of the Confucian background.
    Chapter Ⅲ studies daily life of women in the Koryo Dynasty in the respect of "women's labour" and "womanly virtu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women who had epitaphs supported their household economy by weaving by hand, respected parents-in-law, and sacrificed themselves to their husband and children.
    This study on epitaphs in the Koryo Dynasty has meaningful value as a historic material in that it shows social conditions in a certain area at that time. This analysis of epitaphs related to women indicates that the cases studied have Confucian idea, which can surely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women in the Koryo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