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後期 全北地域 紀年銘 佛像 硏究 (A Study on The Year-Recorded Buddhist Statues in Jeonbuk Area in Late Joseon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12
36P 미리보기
朝鮮後期 全北地域 紀年銘 佛像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44호 / 167 ~ 202페이지
    · 저자명 : 최윤숙

    초록

    조선후기 전북지역에서는 전쟁 이후 폐허가 된 주요 사찰과 불교문화재를 복구하는 일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시기 전북지역에서 조성된 기년명 불상은 현재 75점이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을 인문지리적인 환경에 의해 구분한 후 지역적인 맥락 속에서 조선후기 전북지역 불상의 조성 현황과 제작 양상 그리고 불상양식의 변천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 전북지역의 불상은 17세기(66점, 88%)에 대부분 조성되었으며, 불상 조성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양란 이후 인조대(24점)와 효종대(20점)이고, 조성된 불상의 평균 크기가 가장 큰 시기는 1640년대(인조대)로 확인되었다. 특히 인조대에는 서부평야지역에 위치한 김제 귀신사와 완주 송광사에서 대형의 소조불상이 조성되고 있어 주목된다.
    둘째, 불상의 지역별 분포 양상을 살펴본 결과 서부평야지역에서 동부산간지역의 4.3배가 넘는 불상이 조성되었다. 한편 불교건축은 서부평야지역에서 동부산간지역의 4.6배가 넘는 분포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왕실과 관청 지원 사찰이 위치한 서부평야지역의 김제, 완주, 고창 지역이 조선후기 전북지역 불교신앙의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조선후기 전북지역에서 조성된 기년명 불상은 삼존불이 가장 많이 조성되었고 다음으로 삼세불 > 독존불 > 독존보살 > 삼신불 순으로 조성되었다. 삼존불 중에서는 석가삼존불이 주로 제작되었으며, 삼세불 중에서는 석가삼세불상이 다수 제작되었고, 독존상으로는 아미타불과 지장보살이 많은 수가 조성되었다. 특히 전북지역 삼신불은 삼신삼세불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다른 지역 불상과 다른 독특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조선후기 전북지역 불상양식의 변천양상을 3단계로 설정할 수 있었다. 1기인 1620년대 후반에 전북지역 불상의 특징적인 양식이 성립하며, 1-2기인 1650년대 중반 이후 개별 조각승의 독특한 불상양식이 완성되면서 전북지역 불상양식도 정형화되고 있다. 이후 2기까지 전북지역 불상양식에 큰 변화가 없으나 3기에 접어들면서 불상 조형에 긴장감과 조형성이 떨어지고 있다. 전북지역 기년명 불상은 같은 조각승의 작품이라고 해도 다른 지역 불상에 비해 대체적으로 턱이 둥근 장방형의 얼굴과 당당하면서도 부드러운 신체 표현, 그리고 양감을 표현하되 과하지 않아 환미감이 느껴진다. 한편 조각승의 개인양식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전북지역 불상양식은 조각승의 개인양식이 지역양식을 이끌며 시대양식을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선후기 전북지역에서 조성된 기년명 불상은 불상의 변화양상을 잘 보여주며, 지역의 인문지리적인 특성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조성된 불상은 지역 불교조각 연구의 기준작이 되는 중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Late Joseon Dynasty, main temples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destroyed during a war were actively restored in Jeonbuk area. Among the year-recorded Buddhist status made in Jeonbuk area at that time, 75 statues remain until now. In this studyJ,e onbuk area was classified depending on anthropogeographical environment and the production types and modal features of Buddhist statues, and changing process of the types of Buddhist statues in Jeonbuk area in late Joseon Dynasty were reviewed in the regional context. The result is arrang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Buddhist statues in Jeonbuk area in lat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in the 17th Century(66 statues equivalent to 88%). Production of Buddhist statues was the most active in King Injo times(24 statues) and King Hyojong times(20 statues) after two wars and large Buddhist statues were produced in 1640’s(King Injo times). Especially, during King Injo times, large Buddhist statues were produced in Guisinsa Temple in Gimje and Songgwangsa Temple in Wanju in western plain areas.
    Second, when regional distribution of Buddhist statues was reviewed, 4.3 times the statues were produced in western plain areas compared with eastern mountainous areas. Meanwhile, Buddhist architecture is distributed in western plain areas equivalent to more than 4.6 times the Buddhist architecture in eastern mountainous area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Gimje, Wanju, and Gochang in western plain areas were the central place of Buddhism in Jeonbuk area because they had royal families, government offices, and temples.
    Third, depending on the year-recorded Buddhist statues produced in Jeonbuk area late in Joseon Dynasty, they were produced in the order of triple Buddhist statues, triple-world Buddhist statues, single Buddhist statues, single Buddhist saint statues, and triple-body Buddhist statues. Buddha takes the main stream of triple Buddhist statues, Buddha triple-world Buddhist statues took the main stream of triple-world Buddhist statues, and Amitabha and Ksitigarbha were mainly produced as single Buddhist statues. Especially, triple-body Buddhist statues in Jeonbuk area have the character of triple-body & triple-world Buddhist statues and have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e Buddhist statues in other areas.
    Fourth, the types of changes in Buddhist statues which were made in Jeonbuk area in late Joseon Dynasty could be set in three steps. The typical type of the Buddhist statues in Jeonbuk area was made late in 1620’s that belong to Step 1 and was formalized late in 1650’s with completion of the typical types of Buddhist statues by individual monk sculptors. And then, the types of Buddhist statues showed peak levels without significant change until Step 2 but, since Step 3, the feeling of tension and formativeness was reduced in Buddhist statues. The yearrecorded Buddhist statues in Jeonbuk area show globular beauty with rectangular faces with round jaws, steady but soft bodies, and adequate voluminous expression in general compared with the Buddhist statues in other areas.
    Meanwhile, personal types of monk sculptors show some differences by times and area.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Buddhist statues in Jeonbuk area were led by personal types of monk sculptors and led the types of those times. The types of Buddhist statue production show the specific features of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are highly valuable to be used as the data to understand the types of Buddhism and produc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in Jeonbuk area late in Joseon Dynasty.
    Thus, the Year-Recorded Buddhist Statues composed the late Joseon period in Jeonbuk Province shows well the changes of Buddhist Statues and faithfully reflects academic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So Buddhist Statues composed in this area as important can be data by which the work can be seen the era of Buddhist sculpture study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