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 後期 醫書에 나타난 醫德論 (A Study on Medical Ethics Shown in Medical Books Written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8.07
32P 미리보기
明 後期 醫書에 나타난 醫德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53호 / 377 ~ 408페이지
    · 저자명 : 김대기

    초록

    이 글은 중국 명대 후기에 간행된 여러 醫書에서 醫德論이 확산되는 현상에 주목하여, 醫療史적 맥락에서 그 현상의 배경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명 후기의 이러한 현상은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하나는 송대 이후 신유학 즉 성리학과 양명학의 영향으로 儒學者는 물론이거니와 醫學者들 내부에서도 유학적 의료윤리에 대한 인식이 널리 확산되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이른바 중국역사에서 자본주의 맹아기라고 불리는 이 시기, 인구증가·상품경제의 발달·유통망의 발달 등 전반적으로 경제의 규모가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이와 궤를 같이하여 의료수요의 증가·의료인의 증가·의약업의 발달·의서 출판업의 성장 등 의료 시장도 확대되었다. 그러나 의료 시장의 규모가 확대된 데 비하여 의사들의 전문성 저하, 빈부격차에 의한 의료혜택의 불평등, 의료윤리 분야 등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명 중기 이후부터 국가의 기강은 이완된 상태로서 관방의료제도는 이미 유명무실했다. 그 공백을 민간의료 영역에서 담당하는 실정이었기에 당시 의료환경의 변화 속에 노정된 각종 문제를 국가가 나서서 해결하리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결국 민간의 儒醫들이 나서서 의서를 편찬하고, 그 안에 당시의 각종 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였던 것이다. 李梴의 『醫學入門』(1575)을 필두로 龔廷賢의 『萬病回春』(1587년)·『古今醫鑑』(1589), 陳實功의 『外科正宗』(1617년)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들 의서에 제시된 의료윤리 덕목은 크게 의사들이 갖추어야할 ‘醫家 윤리 덕목’과 환자 및 보호자가 갖추어야할 ‘病家 윤리 덕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의서에 등장하는 내용을 ‘의가 윤리 덕목’은 9개 항목, ‘병가 윤리 덕목’은 ‘6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총 11개 항으로 정리하였다.
    명 후기 의학자들은 당시 의료환경 속에서 의덕론(의료윤리)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의서에 반영함으로서 자신들의 문제의식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사회적으로 확산시키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그들은 이러한 知行合一적인 의료 실천을 통하여 명 후기사회가 봉착한 각종 의료 문제를 해결하고, 그럼으로써 자신들의 마음(心) 속에 존재하던 양명학적 이상을 구현하고자 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phenomenon that a number of medical books written during the latter part of China’s Ming Dynasty actively discussed medical ethics. It also examined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is phenomenon in the context of medical history. This phenomenon occurring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can be approached from two viewpoints. First, the effects of Neo-Confucianism since the Song Dynasty spread the awareness of Confucianism-oriented medical ethics among not only Confucian scholars, but also medical scientists. Another phenomenon is that the overall size of economy expanded during this period which is referred to as the embryo of capitalism in China’s history. In line with this trend, the healthcare consumer market also expanded including increases in medical demand and the number of medical men, the development of medical and pharmaceutical businesses, and the growth of medical books publishing business. By comparison with the expansion of the healthcare market, however, a number of problems surfaced during the period, including doctors’ lowered expertise, unfair medical benefits due to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poor medical ethics.
    Since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the country’s discipline had already become slack and its public medical system had become nominal. As a result, the private sector had to fill the vacuum. Eventually, private doctors came forward to compile medical books in which they specified measures to resolve various medical problems of the period. Starting with Li Chan (李梴)’s Introduction to Medical Learning (Yi xue ru men 醫學入門, 1575), books such as Gong Tingxian’s Returning to Spring after the Myriad Illnesses (Wan bing Hui chun 萬病回春, 1587) and Mirror of Medicine, Ancient and Contemporary (Gu jin Yi jian 古今醫鑑, 1589), and Chen Shigong’s Orthodox Lineage of External Medicine (Wai Ke Zheng Zong 外科正宗, 1617) reflected this move. The virtues of medical ethics suggested in these books can be divided into nine virtues required for doctors and six virtues required for patients and caregivers. The analysis results for these virtues were outlined into 11 items.
    Doctors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largely recognized the need for medical ethics in the medical environment of the time. They also intended to spread their awareness of problems with medical ethics and socially sprea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by reflecting them in medical books. Eventually, they endeavored to resolve various problems that Chinese society faced in the late Ming Dynasty through medical practices based on the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