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成聖后御筆]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of the Empress Myungsung's Lette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2.08
28P 미리보기
[明成聖后御筆]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4호 / 61 ~ 88페이지
    · 저자명 : 이기대

    초록

    이 논문은 明成皇后가 1894년 閔應植과 閔丙承 父子에게 보낸 10통의 한글 편지를 모은 [明成聖后御筆]의 문헌적 특징과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명성성후어필]은 그동안 자료의 소재가 명확하지 않았지만, 최근에 경매를 통해 공개되면서 본격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편지의 내용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 번째, 편지에는 왕실 인물의 건강과 심리적 문제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다. 당시의 급박한 정국의 변화로 인해 고종과 세자 모두 불안해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고, 명성황후 본인도 극도의 긴장감으로 인해 매우 힘들어 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두 번째, 일본의 경복궁 점령과 대원군의 재집권으로 인한 민씨 일족의 축출과정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다. 특히 전남 고금도로 유배된 민응식이 풀려나도록 돕기 위해, 명성황후는 대원군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는 모습이 상세하게 드러난다.
    세 번째, 청일전쟁에 대한 명성황후의 인식을 찾아 볼 수 있다. 명성황후는 청일전쟁의 과정에서 청나라의 승리를 기대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일본의 감시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다. 하지만 청나라가 일본에 패배하게 되자, 이로 인한 실망감을 편지에 적고 있다.
    이와 같이 [명성성후어필]은 기존의 공식적 기록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1894년 당시의 명성황후의 인식과 활동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lection of the Empress Myungsung’s letters in terms of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tent. This collection included 10 Korean letters the empress sent to Min Eung-Sik and his son Min Byung-Seung in 1894. In the past, the whereabouts of this collection had not been clear, but it’s possible to make a full-fledged research in this collection since it was lately made public at auction. In this study, the letters of the collection were investigated in three aspects.
    First, the letters described the health and psychological problems with the royal family. The fact that King Kojong and his crown prince felt anxious about rapid-changing contemporary political circumstances was found in the letters, and the empress herself had a very hard time due to extreme tension.
    Second, the letters described the occupation of Kyungbok Palace by Japan, Prince Regent Daewon-gun’s return to power and the subsequent expulsion of the Min family from the political world. Specifically, the Empress Myungsung’s efforts to be on good terms with the prince regent to set free Min Eung-Sik who was exiled to Gogeumdo, South Jeolla Province, were depicted in detail.
    Third, the letters showed the Empress’s view of the Sino-Japanese war. She expected China to win the war in order to free herself from Japanese surveillance. But China lost the war, and she wrote down her despair about that.
    Thus, the Collection of the Empress Myungsung’s Letters was of importance in that it makes it possible to confirm her awareness and activities in 1894, which can hardly be found in existing arch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