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회(傷懷)의 풍경: 항성모(項聖謨, 1597-1658)와 명청(明淸) 전환기 (Traumascapes: Xiang Shengmo (1597-1658) and the Ming-Qing Transi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05
28P 미리보기
상회(傷懷)의 풍경: 항성모(項聖謨, 1597-1658)와 명청(明淸) 전환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7호 / 192 ~ 219페이지
    · 저자명 : 장진성

    초록

    가흥(嘉興)의 거부(巨富)였던 항성모(項聖謨, 1597-1658)는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가 세워진 ‘명청(明淸) 전환기’에 활동한 화가이다. 항성모는 1645년 청군의 가흥 침공으로 모든 것을 잃었으며 이후 피란 생활 속에 직업화가로 곤궁한 삶을살았다. 1644년 이자성(李自成, 1606-1645)의 군대가 자금성(紫禁城)을 포위하자 숭정제(崇禎帝, 재위 1628-1644)는 매산(煤山)에 올라 액사(縊死)하였다. 숭정제의 자살과 명나라의 멸망 소식을 들은 항성모는 〈주색자화상(朱色自畵像)〉 (1644년)을 그렸는데 이 그림에 나타난 붉은색은 명나라 황실의 성(姓)인 주(朱)를 상징하는 색채이다. 이 그림에는 항성모의 강렬한 유민(遺民) 의식과 망국에대한 충성심이 나타나 있다. 1645년에 가흥이 청군에 의해 함락되자 항성모는 어머니와 처자와 함께 급히 피신하여 유랑 생활을 하였다. 이후 그는 영락(零落)한 자신을 주제로 한 자화상과 산수화를 다수 남겼다. 1646년에 항성모가 그린 〈자화상〉에는 피란 생활 속에 그림을 팔아 생계를 이어가야 했던 그의 모습, 즉 직업화가로서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같은 해에 그린 〈홍수추산도(紅樹秋山圖)(1646 년), 〈대수도(大樹圖)〉(1649년), 〈대수풍호도(大樹風號圖)〉(1649년경)에는 홀로 산천을 떠도는 ‘운유(雲遊)’ 또는 ‘배회(徘徊)’하는 인물이 나타나 있다. 이 인물은 다름 아닌 항성모 자신이다. 그는 이 그림들을 통해 숭정제가 죽고 나라가 망한 ‘갑신지변(甲申之變)’, 을유년 가흥에서 일어난 청군의 만행, 동생 항가모의 자살, 어머니와 처자와 함께 간신히 가흥을 탈출했던 자신의 고통스러운 경험을 토로하였다. 특히 그는 이 작품들에 붉은색을 사용하여 명나라 황실에 대한 충성심과 아울러 강남 지역에서 벌어진 청군의 대학살로 인해 피로 얼룩진 세상의 비극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붉은색은 그가 가지고 있었던 명나라에 대한 충성심과 동시에 피[血]로 물든 산천에 대한 아픈 기억이었다. 가흥으로 돌아온 항성모는 〈송도선산도(松濤仙山圖)〉(1652년), 〈상우도(尙友圖)〉(1652년) 등을 통해 과거의 화려했던 시절을 회고하는 그림을 그렸다. 이 그림들에는 1644년 이전 부유하고 행복했던 항성모의 옛 시절에 대한 추억이 담겨있다. 그러나 그는 피에 대한 기억을 버리지 않았다. 그가 죽기 얼마 전에 그린 <산수도(山水圖)>(1658년)에는 여전히 바위 절벽이 붉은색으로 그려져 있다. 숭정제의 자살, 명나라의 멸망, 청군이 강남 지역에서 명나라 백성들에게 행한 대학살, 만주족 군대의 가흥 침공 등 일련의 사건들로 발생한 그의 정신적 상처[傷懷, trauma]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영어초록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fundamentally affected almost everyman's life.
    The post-1644 life of Xiang Shengmo (1597-1658), a cultural luminary and eminent painter of Jiaxing in Zhejiang province, was no exception. Xiang was a wealthy and privileged landowner and aesthete of great refinement and sensitivity whose comfortable and luxurious life was abruptly disrupted by the chaotic years of the Ming-Qing transition. The heyday of Xiang's elegant life came to an end when the grim news that the last Ming emperor had taken his life and rebel forces had occupied the capital city reached the city of Jiaxing. In deep sorrow and despair, Xiang painted Self-Portrait in Red Landscape, a remarkable self-portrait in 1644, shortly after the fall of the Ming, to express his unchanging loyalty to his dead ruler and country. Self-Portrait in Red Landscape shows the painter in a vermilion landscape. Xiang used red, in Chinese, zhu, to allude to the last name of the Ming imperial family. Red Trees and Autumn Mountains (1646) shows a figure aimlessly wandering in the dark forest like a helpless orphan who has no shelter to settle. The lone wanderer in the wilderness is a striking self-image of the painter. Tall Tree in Howling Wind, ca. 1649, is a haunting landscape showing a large oak tree at which a staff-bearing old man wearing a red robe is looking up. Instead of dying for the fallen dynasty, Xiang self-fashioned himself as a loyal leftover subject mourning the tragic end of the emperor and the bygone dynasty. In 1652, Xiang painted in collaboration with Xie Bin (1602-?), a student of the famous portraitist of the late Ming period Zeng Jing (1564-1647), A Carefree Immortal among Waves of Pines, showing Xiang as a lone stroller in the wilderness. Venerable Friends (1652), by Xiang and his friend Zhang Qi (active mid-seventeenth century), is filled with the former’s nostalgia for the happy years before 1644. In this way, Xiang attempted to rebuild in his mind and his paintings the world that he had lost. But, the lost world never returned to him.
    It only existed in his painful memories and reminiscences. Landscape (1658) is one of the last paintings by Xiang depicts the land of the Peach Blossom Spring with the magic grotto and blossoming peach trees in which he attempts to find a shelter in peace after the years of traumatic suffer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