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묘지명 銘詩의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Patterns of Inscribed Poems on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Dynast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03
47P 미리보기
고려시대 묘지명 銘詩의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50권 / 50호 / 5 ~ 51페이지
    · 저자명 : 김보경

    초록

    본고는 고려시대 묘지명에서 명 특히 압운이 된 명시를 중심으로 그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을 고찰했다. 찬자의 성격, 작자 의식, 형식과 주제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모두 네 시기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11세기이다. 50여 년간 6편의 명이 남아 있다. 이 시기는 묘지명 양식이 도입되어 고려에 정착, 현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두 번째는 12세기에 걸쳐 있다. 숙종~의종 초의 명은 50년간 30여 편이 남아 있다. 知制誥가 찬명에 참여하면서 명이 형식의 완정과 전아미를 더해 갔다. 의종 초~명종대에는 30여 년간 70편가량 지어졌다. 이 시기에는 명의 양적 확대와 단형화 현상이 보이며, 대체로 간결하고 진솔한 경향을 띤다.
    세 번째는 12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이다. 13세기 전반까지 50년간 50여 편이 있다. 이규보가 찬명을 주도하면서 명은 실용양식을 넘어 예술양식의 궤도로 올라서게 되었다. 이어진 시기에는 70년에 30여 편 지어졌다. 패턴화 양상이 보이지만 자찬 묘지명의 출현 등 양식적 실험이 시도되는 성과가 있었다. 네 번째는 14세기에 걸쳐 있다. 사대부의 성격을 공유하면서도 저마다의 개성을 드러내는 시기이다. 최해는 명의 개성화 방향을 제시했고, 이곡은 명의 관례에 충실한 편이었으며, 이제현은 명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이어진 시기에는 이색이 주도하면서 명을 사대부의 양식으로 가다듬는 역할을 했다.
    고려시대 묘지명 명시는 묘지명 양식의 도입과 함께 역사가 시작되어, 적응과 정착, 성숙과 다변화, 운용의 다양성과 양식적 실험, 양식 독점에 따른 동질성과 개성의 길항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성장과 변화를 거듭해 왔다. 그 과정에서 명시는 序와 관련을 맺으면서도 부속품의 위치에 머물지 않고 자신의 영역을 구축해 갔다. 그것은 실용적 성격을 기본으로 하되 한편으로는 예술적 성격을 확대하는 방향이다. 이 점에서 명시는 고려시대 묘지명 역사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한문학 역사의 특징적이고 핵심적인 굵은 줄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patterns of the inscriptions on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Dynasty, especially rhymed inscribed poems. The time when the poems were written was classified into four time periods based on the writers of inscribed poems,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the forms and themes of inscribed poems.
    The first is the 11th century. There remain 6 inscriptions that were written over 50 years in that period. This period shows the process where the style of the memorial inscription was introduced, settled and localized in Goryeo.
    The second spans over the 12th century. There remain about 30 inscriptions that were written over 50 years in the period of King Sukjong's reign to the early period of King Euijong’s reign. As Jijego(official transcriber of royal decrees and edicts) participated in writing inscriptions, inscriptions improved in the completeness and chicness of style. About 70 inscriptions were written over about 30 years in the early period of King Euijong’s reign to the period of King Myeongjong's reign. This period had a remarkable tendency towards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shortened forms of inscriptions along with a tendency of their being largely plain and simple.
    The third is the period from the late 12th century to the early 14th century. There remain about 50 inscriptions that were written over 50 years in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As Lee Gyu-bo took the lead in writing inscriptions, they were on the track of an artistic style beyond a practical style. In the ensuing period, about 30 inscriptions were written over about 70 years. They were patterned and also style experiments, such as self-written memorial inscriptions, were attempted.
    The fourth spans over the 14th century. It is a period when inscriptions shared the characteristics of scholar officials and revealed their own unique features. Choi Hae presented the direction of individualization of inscriptions; Lee Gok followed the practices of inscriptions faithfully; Lee Je-hyeon opened a new world of inscriptions. In the following period, Lee Saek took the lead in refining inscriptions into the style for scholar officials.
    The history of the inscribed poems on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dynasty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memorial inscriptions style, and continued to grow and change through the processes of adaptation and settlement, maturity and diversification, the diversity and style experiment of operation, and the antagonism of homogeneity and individuality due to the monopoly of style. In that process, the territory of the inscribed poem was established in the relationship with prefaces and without staying in the position of accessory or attachment. The territory was based on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oriented towards expanding artistic characteristics.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inscribed poem is a characteristic and central branch of not only the history of the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period but also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n this period.
    KeyWords:Goryeo Dynasty, Memorial Inscription, Inscribed Poems, Aesthetic Characteristics, Variation Patter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