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불교의 도교 이해 고찰 - 『홍명집(弘明集)』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aoism in Chinese Buddhism - Focused on Hong-ming-ji(弘明集))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중국불교의 도교 이해 고찰 - 『홍명집(弘明集)』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6호 / 53 ~ 82페이지
    · 저자명 : 손진

    초록

    본고는 『홍명집(弘明集)』을 통하여 위진남북조시대 중국불교의 도교에 대한 비판적 이해, 도교측의 반응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유가(儒家)에 대한 태도에 비하여, 불교는 도교(道敎)에 대한 우위성을 주장하였다. 『홍명집』에서 도교에 대한 비판은 주로 내용면에서 주로 신선술(神仙術), 장생(長生)사상, 도교의례에 집중하였고, 도교 경전과 교리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여유를 볼 수 있다. 『홍명집』에 나타난 도교 이해의 사상적인 면에서는 노장사상 또는 현학을 위주로 찾을 수 있었다.
    한편 도교측은 불교로부터 다양한 비판을 받으면서도 특히 가장 빈약한 교리 부분에서 불교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교리체계와 의식 등을 구축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그와 동시에 교단 내부에서 다양한 개혁운동을 하였다. 이와 같은 도교의 변화는 『위서(魏書)』 「석노지(釋老志)」,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의 ‘도교서(道敎序)’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도교측은 수백 년에 걸쳐서 번잡한 여러 계통의 제도 정리와 교리의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홍명집』에 나타난 불교측의 도교 이해는 이와 같이 당시의 도교에 많은 자극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한 문헌자료와 비판논리 및 비판의 문체(文體) 등 후대의 호법자들에게 지남서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이후 불교는 도교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면서 동시에 도교 비판의 내용과 방법도 점점 정형화하였다. 『홍명집』은 그와 같이 오랜 기간 이루어진 불교와 도교의 교섭의 역사 속에서 호법자(護法者)에 대한 기록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Hong-ming-ji(弘明集 Collection on the Propagation and Clarification of Buddhism) to consider the Buddhist criticism of Taoism in the Middle Ages of China, Taoist reac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later period. Throughout Hong-ming-ji, as Dharma protection mainly aimed at Confucianism(儒家) that advocated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lmost every Buddhist activity or teaching was clearly intended to overcome 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unlike such an attitude toward Confucianism, Buddhist arguments against Taoism focused on the superiority of Buddhism over Taoism. Besides, most of those arguments were concentrated in shénxiān shù(神仙術), Taoist rituals, Taoist books and doctrines seemed to be tolerated to a certain extent. As regards the thought of Hong-ming-ji, Buddhism competed with Lao-Zhuang thoughts(老莊思想) or the Xuanxue(玄學, literally “Dark Learning”). Despite various Buddhist critiques, Taoist attempted to improve its poor doctrine system and establish rituals by actively accepting Buddhist idea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various reform movements within the Taoist order. Such a historical shift of Taoism is reflected in Wei Shu(魏書, the Book of Wei), Shilao zhi (釋老志 Treatise on Buddhism and Taoism), Sui Shu (隋書), and the Preface to Taoistic Canons(道敎序) of Jingji zhi(經籍志 Bibliographical Treatise in the History of the Sui). Moreover, the Taoist order also tried to systematize complicated organization and doctrines, which had been inherited for hundreds of years.
    As mentioned above, the criticism of Taoism in Hong-ming-ji(弘明集) greatly stimulated the contemporary Taoism. Moreover, abundant literature data, critical arguments and writing style(文體) made Hong-ming-ji a guidebook for later Dharma protectors(護法者).
    In the Middle ages of China, Buddhism came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aoism and also began to show a standard pattern in criticizing Taoism and the methodology. In such a long history of Buddhism’s interaction with Taoism, Hong-ming-ji was a database for Dharma protectors.
    Finally, there are a few questions concerning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Taoism in Hong-ming-ji. First, Hong-ming-ji is a Dharma protective collection of treaties, which was compiled in early 6th century. The majority of those treaties are literary works(文章) of Southern dynasties(南朝). However, Hong-ming-ji contains few mentions about Taoist texts like Shangqing jing(上淸經 Scriptures of Highest Clarity) and Lingbao jing(靈寶經系 Scriptures of Numinous Treasure), both of which were completed one century earlier and influential in the south of the Yangzi river. Second, Hong-ming-ji does not introduce any divinity like Yuanshi Tianzu (元始天尊) nor era names like ‘chiming(赤明 Vermilion Brilliance)’ and ‘kaihuang (開皇 Opening Luminary)’. On the other hand, Wei Shu(魏書, the Book of Wei), Shilao zhi(釋老志 Treatise on Buddhism and Taoism) and Guang-hong-ming-ji(廣弘明集 Expanded Collection on the Propagation and Clarification), all of which were based on writings of Northern dynasties, show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Taoism of Southern dynasties. It is still unclear how Northern dynasties(北朝) obtained the in formation of Southern dynasties(南朝). This matter will be discussed in a further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