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詠史詩의 신라멸망기 ‘鮑石亭宴’ 史話 수용 양상과 의미 (‘Poseokjeongyeon(鮑石亭宴)’ historical story acceptance aspect and meaning of ‘Yeongsasi’ (the poem that the history is recited) in Silla fal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08.12
34P 미리보기
詠史詩의 신라멸망기 ‘鮑石亭宴’ 史話 수용 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29호 / 381 ~ 41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숙

    초록

    영사시는 역사를 읊은 시로서 중국에서부터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신라시대부터 영사시가 있었다.
    ‘포석정연’은 신라 멸망기인 경애왕 4년(927)에 경애왕이 왕비, 궁녀, 친척들과 포석정에서 잔치한 것이다. 이것은 경애왕이 왕비, 궁녀들과 잔치를 즐기던 중 갑자기 견훤이 군사를 이끌고 침입하여 경애왕을 자살하게 하고 경순왕을 추대한 역사적 대사건이다. 이 사실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통감』, 『동사강목』에 실려 있는데, 고려와 신라시대의 여러 문인들이 이를 수용하여 영사시를 지었다. 그 가운데서도 이인로의 「포석정」, 김종직의 「포석정」 김시습의 「포석정」, 조위의 「포석정」, 서거정의 「포정감회」, 이익의 「포석정」, 이광사의 「포석정」, 이영익의 「포석정」, 이학규의 「포석정」, 이복휴의 「포석연」은 대표적이고 중요한 작품이다. 이 작품들의 공통성은 경애왕이 왕비와 궁녀를 거느리고 포석정에서 잔치를 벌이다가 견훤의 침입으로 화를 당한 내용을 수용하여 시를 지은 것이다. 차이점은 전체적인 공통성 위에 작가마다 개인의 정회를 읊어 서로 다른 시적 형상을 한 것이다. 조선 전기 문인들의 작품은 작가들이 직접 포석정을 찾아가서 보고 느낀 정회를 읊었다. 이 작품들은 전해지고 있는 역사를 수용하여 당시를 회고한 것으로, 경애왕의 실정을 비판하여 후인들에게 경계심을 주고 있다. 조선 후기 문인들의 작품은 영사악부이다. 이것은 기록으로 전하는 역사를 수용하여 장단구 형식으로 지은 작품이다. 이것은 역사에 대한 작가의 의논을 중점적으로 형상하여 경애왕의 실정을 비판하여 후인들에게 경계심를 주고 있다. 영사시를 지은 작가들은 역사의식이 강하며 역사에 대한 비판정신도 높다. 영사시는 작가의 당대는 물론 후대에까지 감계를 준다.

    영어초록

    ‘Yeongsasi(詠史詩)’ is the poem that the history is recited, has the long tradition from China and there were Yeonsasis in Silla.
    ‘Poseokjeongyeon’ is the banquet that ‘King Gyungae(景哀王)’ hold at the ‘PoseokJeong(鮑石亭)’ with the Queen, the court ladies, the relatives in the Silla's fall, 927(the fourth year of King Kyungae). This is the historical big event that ‘Gyeonhwon(甄萱)’ had ‘King Gyeongsun’ as the king on get ‘King Gyungae’ suicide after he suddenly invaded with the soldiers while ‘King Gyungae’ enjoyed the banquet with the Queen and the court ladies. The 「Samguksagi」 has this fact. The several literary men made these ‘Yeongsasi’ on accepting this. The 「Poseokjeong」 of Lee, In-ro(李仁老), the 「Poseokjeong」 of Kim, Jong-jik(金宗直), the 「Poseokjeong」 of Kim, si-seup(金時習), the 「Poseokjeong」 of Jo, wi(曺偉), the 「Poseokjeongkamhwoi」 of Seo, Geo-jeong(徐居正), the 「Poseokjeong」 of Lee, ik(李瀷), the 「Poseokjeong」 of Lee, Kwang-sa(李匡師), the 「Poseokjeong」 of Lee, Young-ik(李令翊), the 「Poseokjeong」 of Lee, Hak-kyu(李學逵) and the 「Poseokyeon」 of Lee, Bok-hyu (李福休) are the typical and important works. The common point of these works is the poem accepting the content that ‘King Gyungae’ meet the disaster by Gyeonhwon's invasion while he holds the banquet at the ‘PoseokJeong’ with the Queen, the court ladies. The different point is that each writers made the different poetic images with their own dear memories. The works of the literary men early in Joseon include the dear memories that they directly visit ‘PoseokJeong’ and saw and felt.
    These works looked back that time on accepting the history that has come down and warn the future generations by criticizing the King Gyungae's actual circumstance. The works of the literary men late in Joseon are the ‘Yeongsaakbu(詠史樂府)’. They are the ones that were made by the long and short phrases on accepting the history that has come down by the records. They concentrate on forming the consultation of the writers about the history and warn the future generations by criticizing the King Gyungae's actual circumstance. The writers who made the Yeongsasis have the strong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high critical mind about the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