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馬韓小國 優休牟涿國 표기와 조선 시대 富平都護府 注火串面 표기의 의미 유사성과 차별성에 대하여 (On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ranscriptions of Uhyumotakguk of Mahansoguk and Bupyeongdohobu Juhwagotmyeon of Joseon Dynast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2.08
46P 미리보기
馬韓小國 優休牟涿國 표기와 조선 시대 富平都護府 注火串面 표기의 의미 유사성과 차별성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결학회
    · 수록지 정보 : 구결연구 / 49호 / 37 ~ 82페이지
    · 저자명 : 이건식

    초록

    이 글은 ‘마한 소국 優休牟涿國, 고구려 시대 主夫吐郡, 통일신라 시대 長堤郡, 조선 시대 注火串面’ 등이 표현 의미상 유사성과 차별성을 가졌다는 관찰과 분석에 기반하여, 『三國志』 魏書 東夷傳 韓 조에서 여섯 번째로 기록된 優休牟涿國의 위치를 조선 시대 부평도호부로 비정하고 이병도(1938)의 견해와는 다르게 의미 구성소를 분석하였다.
    優休牟涿을 ‘優休, 牟, 涿’ 등으로 분절하여서, 優休는 ‘*우희/上’를 표기한 것으로 ‘으뜸’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독하고, ‘優休/*우희[上]’를 고구려 시대 主夫吐의 ‘主/님’, 통일신라 시대 長堤郡의 ‘長/으뜸[한자어]’ 등에 대응시켜 ‘優休/*우희, 主/님, 長/으뜸[한자어]’ 등이 모두 ‘으뜸’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三國遺事』 卷第四 義解 第五 元曉不覊 조에 나오는 ‘幢을 세속에서 毛라 한다/幢者俗云毛也’에 기반하여 牟가 ‘모ㅎ’ 정도를 표기하였으며 ‘높이가 있는 구조물’의 의미로 ‘둑’을 표현하였음을 밝혔다.
    『三國史記』 卷第四十四 列傳 第四 斯多含 조의 ‘가라어에서는 門을 梁이라 한다/加羅語謂門爲梁云’와 일본어 ‘と/門ㆍ戶’가 ‘출입하는 장소, 출입구, 물이 출입하는 장소, 물이 흐르는 곳’ 등의 의미를 가진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涿를 ‘물길’을 의미하는 ‘도/涿’로 해독하였다.
    ‘마한 소국 優休牟涿國, 고구려 시대 主夫吐郡, 통일신라 시대 長堤郡, 조선 시대 注火串面’ 등에는 모두 ‘으뜸, 벌판, 둑, 물길, 고지’ 등의 의미가 나타났음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優休牟涿은 ‘으뜸, 둑, 물길’ 등의 의미를 표현했고, 主夫吐는 ‘으뜸, 벌판, 둑’ 등의 의미를 표현했고, 長堤는 ‘으뜸, 둑’ 등의 의미를 표현했고, 注火串은 ‘으뜸, 벌판, 고지’ 등이나 ‘벌판, 물길, 고지’ 등의 의미를 표현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고려 초기 樹州의 樹와 고려 말기의 富平이 비유 의미 관계에 있음을 말하였다. 즉 ‘큰 나무’를 뜻하는 樹가 ‘풍성하다’의 비유 의미를 나타내어 富平과 의미가 통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풍성하다’라는 의미는 長堤로 표시된 ‘으뜸, 둑’의 의미에서 파생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 조에 나타난 마한 소국 기록 순서가 북에서 남으로 기술되었다는 관점에서 여덟 번째로 기록된 伯濟國과 여섯 번째로 기록된 優休牟涿國 간의 방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두 번째로 기록된 牟水國의 위치를 조선 시대 長湍都護府로 비정하였다. 牟水國의 위치를 조선 시대 장단도호부로 비정한 것은 徐居正이 「長湍府新營客館記」에서 조선 시대 장단도호부의 三韓 때 명칭이 隰川郡이라고 언급한 것에 근거한 것이다. 隰은 ‘비탈 아래의 습지’라는 의미이므로 ‘삼한 때 명칭인 隰川郡, 고구려 때 명칭인 長淺城縣, 통일신라 때 명칭인 長湍縣’ 등이 장단도호부의 지형적 특성인 ‘석벽, 급한 물살’ 등을 표현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牟水國의 牟는 ‘모/牟(높은 구조물)’로 ‘석벽’의 의미를 표현한 것이며 水는 ‘급한 물살’ 정도를 의미하는 후기 중세국어의 ‘쇠/소ㅎ’ 정도를 표기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semantic components based on observations and analyses. After reviewing them,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transcriptions of Uhyumotakguk(優休牟涿國) of Mahansoguk(馬韓小國), Jubutogun(主夫吐郡) of the Goguryeo(高句麗) era, Jangjegun(長堤郡) of Unified Silla(新羅) period, and Juhwagotmyeon(注火串面) of Joseon(朝鮮) Dynasty.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at of Yi Byeong-do(1938) by comparing the location of Uhyumotakguk(優休牟涿國) which was recorded as the sixth place in the Han Jo of 『Samgukji(三國志)』 Wiseo(魏書) Dongijeon(東夷傳) with Bupyeongdohobu(富平都護府) Juhwagotmyeon(注火串面) of Joseon(朝鮮) Dynas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Uhyumotak(優休牟涿) was segmented into ‘uhyu,’ ‘mo,’ and ‘tak.’ ‘*Uhɨj/sang(上)’ was also transcribed as Uhyu(優休). This can be deciphered as having the meaning of ‘the best.’ Furthermore, when ‘uhyu/*uhɨj[上]’ was matched to ‘ju(主)/nim(님)’ of Jubuto(主夫吐) in the Goguryeo(高句麗) era, ‘jang(長)/eutteum(으뜸/the best) [Sino-Korean word(漢字語)]’ of Jangjegun(長堤郡) in the Unified Silla(新羅) period, it was identified that ‘uhyu(優休)/*uhɨj(*우희)’, ‘ju(主)/nim(님), and ‘jang(長)/eutteum(으뜸/the best) [Sino-Korean word(漢字語)]’ represent the meaning of ‘the best.’ Common people interpreted ‘dang(幢)’ as ‘mo(毛)’ in the 5th Wonhyobulgi Jo(元曉不羈 條) which is included in ‘Uihae(義解/interpretation of meaning) in the 4th volume of 『Samgukyusa(三國遺事)』. In addition, on the basis of Dangjasokunmoya(幢者俗云毛也), ‘mo(毛)’ was transcribed as ‘moh(모ㅎ).’ ‘Duk/둑’ was also represented as the meaning of ‘a tall structure.’ In Yeoljeon in the 14th volume of 『Samguksagi(三國史記)』, ‘mun(door)’ was transcribed as ‘yang’ in Gara-eo(a language of Gaya) of the 4th volume of Sadaham Jo(斯多含條). Also, ‘Garaeowimunyangun(加羅語謂門爲梁云)’ and in Japanese,‘と/mun(門)ㆍho(戶)’ have the meaning of an entry or exit place, a doorway, a water entering or exiting place, and a water flowing place. On the bases of these, ‘tak(涿)’ was deciphered as ‘do/tak(涿)’ meaning ‘a waterway.’ As the result of reviewing ‘Mahansoguk(馬韓小國) Uhyumotakguk(優休牟涿國), Jubutogun(主夫吐郡) of the Goguryeo(高句麗) era, Jangjegun(長堤郡) of Unified Silla(新羅) period, and Juhwagotmyeon(注火串面) of Joseon(朝鮮) Dynasty,’ it was disclosed that they all represented ‘eutteum(으뜸/the best), deulpan(들판/a field), duk(둑/a bank), mulgil(물길/a waterway), and goji(고지/a highland).’ Therefore, this study disclosed that ‘uhyumotak(優休牟涿)’ only meant ‘eutteum(으뜸), duk(둑), and mulgil(물길)’ and ‘jubuto(主夫吐)’ ‘eutteum(으뜸) and duk(둑)’ ‘Jangje(長堤)’ meant ‘eutteum(으뜸) and duk(둑),’ and ‘juhwagot(注火串)’ meant ‘deulpan(들판), mulgil(물길), and goji(고지)’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su(樹) of suju(樹州)’ in the early Goryeo(高句麗) and ‘bupyeong(富平)’ in the late Goryeo(高句麗) had the relation of figurative meaning. In other words, ‘su’ meaning ‘a tall tree’ showed the figurative meaning of ‘plentiful’ and the meaning was matched to ‘bupyeong(富平)’ Furthermore, ‘plentiful’ was identified to be derived from ‘eutteum(으뜸) and duk(둑)’ transcribed as ‘jangje(長堤)’.
    In the HanJo(韓條) of 『Samgukji(三國志)』 Wiseo(魏書) Dongijeon(東夷傳), the recorded order of Mahansoguk(馬韓小國) was presented from north to south. From this viewpoint, to verify the directionality between Baejeguk(佰濟國) recorded in the eighth place and Uhyumotakguk(優休牟涿國) in the sixth place, this study compared the location of Mosuguk(牟水國) recorded in the second place to Jangdandohobu(長湍都護府) in the Joseon(朝鮮) Dynasty. This comparison between them was based on Seo Geo-jung(徐居正)’s claim. In 「Jangdanbusinyeonggaekgwangi(長湍府新營客館記)」, he mentioned that Jandandohobu(長湍都護府) was called Seupcheongun(隰川郡) in the Samhan(三韓) era.
    This study identified that since seup means ‘a marsh below the slope,’ the title in Samhan(三韓) era was Seupcheongun(隰川郡), Jangcheoseohyeon(長淺城縣) in the Goguryeo(高句麗) era, and Jangdanhyeon(長湍縣) in Unified Silla(新羅) period. Moreover, it was clear that these titles presented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Jangdandohobu(長湍都護府) which are ‘a stone wall and a rush of water.’ Therefore, mo of Mosuguk(牟水國) was transcribed as ‘mo/(모/牟) which represents ‘a stone wall’ with the meaning of ‘a tall structure.’ Su(수/水) was also transcribed kind of ‘soe/seoh(쇠/소ㅎ) ’ meaning ‘a rush of water’ in Korean of the later middle 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결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