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미의 지역일간지 1면 기사의 다양성 요인 비교분석 : 뉴스 주제 및 취재원 유형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Front Page Articles of Korean and American's Local Newspapers: Focusing on Types of News Topics, news sourc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03
45P 미리보기
한·미의 지역일간지 1면 기사의 다양성 요인 비교분석 : 뉴스 주제 및 취재원 유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학연구 / 10권 / 1호 / 5 ~ 49페이지
    · 저자명 : 고영철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5개 지역일간지와 미국의 중소규모 3개 지역일간지의 1면 기사를 대상으로 기사의 주제, 취재원의 유형 및 수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지역신문의 경우 중앙정치와 지방행정 등과 관련된 기사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미국 신문의 경우 인물/동정, 범죄/법정, 교육/과학과 관련된 기사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차이는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그리고 한국과 미국 지역신문들 모두 발행부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신문일수록 좀 더 다양한 주제를 골고루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지역신문의 경우 기사당 평균 취재원은 1.75개였고, 실명 취재원의 평균은 1.69개였다. 반면에 미국 지역신문의 경우 평균 취재원 수는 5.26개이고, 취재원 중 실명 취재원 수의 평균은 4.56개였다. 즉 미국의 중소규모 지역신문들은 한국 지역신문들에 비해 취재원의 수는 3.51개, 실명 취재원의 수는 2.95개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5개 지역신문 모두가 중앙 행정부처 및 관료들을 취재원으로 활용한 비율이 전체 평균치보다 높은 반면 일반인과 사회시민단체의 취재원 활용 비율은 미국의 3개 지역신문이 전체 평균치보다 높았다. 특히, 5개 국내 지역신문 중에 제주지역 3개 신문의 경우 뉴스의 주제, 취재원의 유형, 취재원의 수 등에 있어서 타 신문에 비해 가장 편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한국과 미국의 지역일간지의 1면 기사 내용을 처음으로 비교분석해 국내 지역일간지들끼리 비교할 경우 잘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는 기사의 다양성 정도를 확인했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d the front pages of five local Korean daily papers against three small-and medium-sized local American daily papers in terms of article topics, types, as well as their number of news sources.
    The research ca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ost of the articles in the local Korean papers discussed the topics of central politics and local public administration whereas the American papers covered topics related to public figures, state of the nation, crimes, court cases, education, and science. This differenc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Moreover, both the local Korean and American newspapers more sufficiently cover a wider range of topics as their circulation figures increase.
    Secondly, the local Korean newspapers had an average of 1.75 news sources per article, and they had an average of 1.69 news sources under real names. In comparison to this, the local American newspapers had an average of 5.26 news sources per article, and they have an average of 4.56 news sources under real names. Thus, the small- and medium-sized local American newspapers have 3.51 and 2.95 more news sources and sources under real names,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their Korean counterparts.
    Furthermore, all five local Korean newspapers more frequently sourced their data from central ministries and officials, and the frequency was higher than the total average rate. On the contrary, the three local American newspapers more frequently sourced their data from the members of public and civil groups, and the frequency was also higher than the total average rate. Among the five local Korean newspapers, the three newspapers in Cheju had the most one-sided view and poorly balanced news topics, article types, and number of news sources as compared to any other newspaper.
    This study is highly significant because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the front pages of local Korean newspapers against American newspapers for the first time, and it examined the degree of diversification of articles, which may not be seen when the dailies are simply compared with other Korean newspap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론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