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비대면 음악비평 교육프로그램 개발 -음악과 언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Non-Face-to-Face Music Criticism Education Program for Liberal Arts Educ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Language)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02
13P 미리보기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비대면 음악비평 교육프로그램 개발 -음악과 언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양교육연구 / 15권 / 1호 / 149 ~ 161페이지
    · 저자명 : 이보림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양수업을 위해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 ‘줌(zoom)’을 활용하여 음악과 언어의 다양한관계성에 기반한 비대면 음악비평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각예술에 기반한음악교과는 비대면 온라인 시대에 많은 제약이 있지만, ‘음악감상 및 비평’과 같은 수업은 원활하게적용될 수 있는 교육 컨텐츠라고 볼 수 있다. 감상과 비평 활동이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 있어서 가지는장점은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인 ‘줌(zoom)’을 통한 ‘컴퓨터 소리 공유하기’ 기능을 활용하면서 교수자와학습자가 같은 음질의 음악을 공유할 수 있으며, 실시간 대화 또는 ‘화면 공유’, ‘디지털 화이트보드’, ‘채팅’ 기능 등을 활용하여 감상곡에 대한 논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과 배경에 기반하여 교양교육의 정의와 목표에 대해 알아본 후, 두 가지 큰관점에서 음악과 언어의 관계적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드프릭(Midfriec) 음악비평 수업모형을고찰하였는데, 이 비평모형은 2018년 고등학교 시각장애 학습자를 위해 개발된 후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재구성을 수반한다면 다른 대상 또는 학교급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된 바 있다. 따라서이렇게 고찰한 이론적 배경의 내용을 온라인 상황에 맞게 적절히 재구성하여 구체적 수업설계를 제시하였다. 이는 1학기 15주차를 기준으로 하여 전체 프로그램 계획과 동시에 한 주차에 해당하는 수업계획안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과정을 통해 교수 설계과정에서 교수자가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다음과같이 세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첫째, 교수 설계를 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 내용적 측면이기존의 음악비평 수업과 비교해볼 때에 더욱 언어와의 관련성에 초점을 가지게 된다는 점, 둘째, 기존의수업 내 양태에서 보다 ‘악보 읽기’의 과정이 더 많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대면수업 특성상 교수⋅학습 방법과 준비할 교육 자료 모두 기존의 대면 수업과는 일정 부분 달라져야한다는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Covid-19로 지친 음악 교양교과 내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수업의 기틀이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n-face-to-face music criticism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which is based on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language, and which uses the real-time online platform ‘Zoom’. Music subjects based on auditory art have many limitations in the non-face-to-face online era. Nevertheless, virtual classes that allow for students to listen to music, and then to discuss their thoughts and impressions, can still provide educational content if appropriately utilized. For instance, one advantage of engaging in listening activities in online, real-time classes is that by utilizing the ‘share computer sound’ function through a real-time online platform such as Zoom, instructors and learners can share music of the same sound quality, and then engage in real-time discussions regarding that music. This is a feature that enables the smooth discussion about any number of songs by utilizing the functions of ‘screen sharing’ and ‘digital white board’.
    Based on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definition and goals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relational possibility of music and language was examined from two major perspectives. Furthermore, the Midfriec music criticism class model was considered, which was developed for high school visually impaired learners in 2018, and which has been widely recognized by music instructors for its excellence. Therefore, a concrete instructional design was developed and presented by appropriately re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sidered suitable for the online environment. Here we show the whole program plan based on the 15th week of the first semester, as well as the lesson plan for one week.
    Through the process of such research, the following three points can be expressed for the special considera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First, in the course of instructional design, the content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is more focused on the relevance of language when compared to the existing music criticism class. Second, there may be a need for more ‘score music reading’ courses than in the existing class mode. And finally, due to the nature of non-face-to-face classes, bo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materials to be prepared must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ace-to-face classes.
    This is due to the very nature of non-face-to-face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