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의 서사와 ‘가난’의 정치 -1960년대 대중 잡지 『명랑』의 사회면을 중심으로- (The Narrative of Wealth and the Politics of Poverty in the 1960s –Focusing on the Social Section of a Magazine “Myeongra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12
26P 미리보기
‘부’의 서사와 ‘가난’의 정치 -1960년대 대중 잡지 『명랑』의 사회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82호 / 65 ~ 90페이지
    · 저자명 : 연윤희

    초록

    이 논문은 1960년대 대중 잡지에 나타나는 ‘부’의 서사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로 인해 착목되는 미디어 정치를 고찰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명랑』의 사회면을 주요 텍스트로 살펴보았다.
    『명랑』의 사회면은 4·19와 5·16을 지나면서 눈에 띄게 증가했다. 사회면은 크게 한국 사회의 다층적 현상을 취재한 기사와 각계각층에서 두각을 보이는 인물들을 취재한 기사로 나눌 수 있다. 사회면은 소위 ‘부자’라 불리는 인물들의 부에 주목했다. 『명랑』은 이들이 부를 축적할 수 있었던 원동력을 일에 대한 신념과 돈을 향한 집념에서 찾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노동하지 않는 빈자는 계도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명랑』의 시각은 미디어의 정치성을 드러내는 지점이다. 이와 반대로, 『명랑』은 독자들을 이데올로기에 포섭하는 과정에서 균열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대기업의 경영인을 둘러싼 서사다. 1960년대 후반부터 『명랑』은 수출 호재에 발맞춰 거대 자본을 유동시키는 대기업에 주목했다. 『명랑』은 이들이 부를 축적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범법을 기업 경영에서 발생하는 ‘에피소드’처럼 다루었다. 『명랑』은 경영인들이 한국 경제를 이끄는 주역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들이 경제 성장을 앞당길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는 노동의 가치가 퇴색되어, 돈을 버는 수단과 방법이 중요하지 않았던 세태를 반영한 것이다.
    이와 같이, 『명랑』의 사회면은 당대 사회의 흐름을 쫒으며, 시류에 편승하려는 독자의 취향에 조응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독자들을 이데올로기에 포섭하려 했고, 그로 인한 균열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는 1960년대 『명랑』의 특성이라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the “wealth” that appeared in a popular magazine called “Myeongrang” during the 1960s and will examine the media politics that resulted from it. Thus, this thesis will mainly examine the social aspect in “Myeongrang,” as a main context.
    The “Myeongrang” magazine started to mainly focus on the social aspect after the April 19(revolution) and May 16(Military Coup). The social aspect section clearly got divided into articles covering multilayered phenomena in Korean society and articles covering prominent figures.
    In the social aspect, so-called ‘the upper class of the wealth’ was mainly centralized. In “Myeongrang,” magazine rationalized the reason why they were able to maintain the ‘wealth’ through the driving force that enabled them to accumulate wealth in their belief in work and obsession with money. In contrast, in society, the poor so-called “lower class” who did not contribute to labor were the objects of the guidance. The “Myeongrang,” emphasized their work ethic by comparing them to their poverty. This is the point where the political nature of the media revealed the ideology inclusion distinctly appeared in “Myeongrang.” On the contrary, “Myeongrang” also presented cracks in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the ideology of inclusion. This is well demonstrated in the narrative surrounding large corporations. During the mid-1960’s the “Myeongrang,” began to pay attention to large corporations that were mobilizing massive capital in line with the export boom. The ”Myeongrang,” regarded the legal violation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umulating wealth as a scandal in corporate management.
    The ”Myeongrang,” emphasized the role of businessmen as key players leading the Korean economy, contributing a positive outlook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advancing economic growth. This perspective from the “Myeongrang,” reveals a point of tension within the ideology. It reflects a time when the value of labor had eroded, and the means and methods of making money were far more important than ever.
    Hence, the “Myeongrang’s,” social aspect shows the trends of the society during that time aiming to resonate with the reader’s preference for positioning with the mainstream. During the process of the intrusion of ideology it also showed the cause of the cracks in the intrusion of ideology. This can be recognized to the character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yeongrang’s” magazine during the 196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