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A study on survey of non face to face realtime education focused on firefighter in COVID-19)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12
11P 미리보기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난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17권 / 4호 / 722 ~ 732페이지
    · 저자명 : 박진찬, 백민호

    초록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펜데믹으로 인해 전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요구가 발생하고 이런한 문제는 소방공무원에게도 비대면교육을 적용시키고 운영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펜데믹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이 실시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실태조사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질적 향상 및 전문화를 위한 의식조사”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데이터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교수자 혹은 교육운영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특성에 맞는 원격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둘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전용노트북을 제공하여 모든 학습자들이 교육 참여에 어려움 없는 교육환경을 제공해야한다. 셋째, 소방공무원 교육훈련 특성상 장비를 활용한 교육훈련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어 자택보다는 교육 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소방서에 비대면 실습교육을 위한 장소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실습교육을 이론교육으로 대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비대면 실시간 실습교육이 가능한 시설과 프로그램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사회적 거리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대면교육을 적절하게 병행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면 교육은 대면교육과 달리 컴퓨터 화면으로 인해 눈의 피로가 상당히 크며 집중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의견으로 보아 수업시간을 시간으로 줄이고 적절한 휴식시간을 통해 학습자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게 교육시간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는 일방적인 지식전달을 하는 교육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학습자 참여 중심의 교육을 운영해야한다. 또한 비대면 원격교육 기술적인 문제는 사전시스템 점검을 통해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해야한다.

    영어초록

    Purpose: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pendemic have led to calls for full-scale,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and such a problem has also required fire officials to apply and operate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is pendemic situation,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direction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through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conducted by fire officers Method: The empirical analysis was based on the data that was conducted on the firefighter under the theme of "Consciousness Survey for the Improvement and Specialization of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Result & Conclusion: First, professors or educational operators shall actively utilize remote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educational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various programs. Second, a dedicated notebook for non-face-to-fac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all learners can participate in the training without difficulty. Third, due to the nature of fire officials' education and training, most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uses equipment,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place for non-face-to-face training at fire stations that can use educational equipment rather than at home. Fourth, Fourth,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pe with practical education with theoretical education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educational effects. Until facilities and programs capable of non-face-to-face real-time hands-on training are developed, face-to-face training should be properly conducted while maintaining the maximum social distance. Fifth, the opinion that face-to-face education, unlike face-to-face education, is significantly fatigue in the eyes and low concentration due to computer screens, should be made to reduce class time and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learners through appropriate breaks. Finally, professors should operate a learner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that allows professors and learners to interact rather than one-sided knowledge transfer education. In addition, technical problems of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should be thoroughly prepared through preliminary system checks to ensure that education is not disrup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