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주시 수몰지구 설화의 전승양상 연구-대평면 설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ransmission Aspects of Submerged District Tales in Jinju-si -With Focus on Daepyeong-myeon Tal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8.03
31P 미리보기
진주시 수몰지구 설화의 전승양상 연구-대평면 설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48호 / 43 ~ 73페이지
    · 저자명 : 권복순

    초록

    이 글은 진주시 수몰지구에 해당하는 대평면 설화를 대상으로 기억 전승이라는 설화의 본질에 입각하여 구술서사학의 관점에서 설화의 전승 양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2장에서는 수몰지구인 대평리, 사평리, 신풍리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설화의 존재양상을 살펴보았다. 대평리는 인물전설이나 지명전설이 주를 이루었고 사평리와 신풍리는 민담이 우세했다. 구술자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대평리는 주로 남성들이 주도하고 사평리나 신풍리는 남녀 내외없이 구술에 참여하였다.
    3장에서는 화자의 발화 시점을 경계로 기억 재현의 고리와 기억 전승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평면의 기억 재현의 고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이 김덕령이며 그 뒤를 이어 지명에 얽힌 전설이 많았다. 이외 호랑이 민담이 뒤를 이었다. 이와 같이 설화의 특성을 밝힐 수 있는 요건 가운데 하나인 언어적 지표인 제목을 통해서 마을별 설화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평리는 인명이나 지명과 관련한 고유명사가 많고 사평리나 신풍리는 보통 명사가 많았다.
    이야기판에서 기억의 전승 양상은 화자의 인지 체계 및 연행과 매체의 개입 정도에 따라 세 갈래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공적 영역보다 사적인 영역이 우세한 경우이다. 전승 양상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화자가 공적 영역인 외부발화단계로 전환함에 있어서 현실세계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고 서사를 출력한 경우이다. 2)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한 경우이다. 즉 개인의 사적 영역인 내부발화단계에서 공적 영역인 외부발화단계로 전환할 때 현실 세계의 영향을 일정하게 받은 경우이다. 3)은 공적 영역이 사적 영역보다 우세한 경우이다. 즉 개인의 사적 영역에서 공적 영역으로 전환할 때 현실 세계의 개입으로 서사가 많이 변이한 경우이다. 수몰지구의 설화 중에서 대평리는 2)가 우세하고 사평리와 신풍리는 1)이 우세했다. 특히 3)의 경우는 대평리에서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전승 양상은 대평면 수몰지구의 특수성이라 볼 수가 있으나 한편으로 기억으로 전승하는 구술서사의 보편적인 양상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 대상 범위가 수몰지구 한 개 면 단위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대평면 수몰지구만의 특수성에 해당하는지 밝히지 못하였다. 앞으로 범위를 확장하여 다른 수몰지구와 비교 분석하는 일은 과제로 남겨둔다.

    영어초록

    In this writing, transmission aspect of the tale was to be explored for the object of Daepyeong-myeon tale for the submerged district in Jinju-si from the viewpoint of dictated narratology based on the essence of tale called memory transmission.
    In Chapter 2, the existence aspect of tales was considered for the object of Daepyeong-ri, Sapyeong-ri, Shinpung-ri as submerged districts. While figure legends or place name legends constituted a mainstream for Daepyeong-ri, folktales were prevalent for Sapyeong-ri and Shinpung-ri. Considering the composition ratio of dictated dictators, mainly males led for Daepyeong-ri, while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ted in dictation without distinction for Sapyeong-ri or Shinpung-ri.
    In Chapter 3, chains of memory reproduction and memory transmission were considered with the tale start point as a boundary, knowing that transmission of dictated narrative lied in memory. As a result, what accounted for the largest relative weight in the chains for Daepyeong-myeon was Gimdeokryeong with many legends having their backgrounds associated with place names. In addition, this was followed by tiger folktales. In this way, characteristics per village could also be affirmed through titles corresponding to major linguistic indicators. Daepyeong-ri had many proper nouns related to person names or place name, while Sapyeong-ri or Shinpung-ri had many common nouns.
    Transmission aspects of memory could be divided into 3 branches depending on speakers' recognition systems, entraining and intervention extent of media. 1) represents the case where the private domain was more prevalent than the public domain. It is the most basic form among transmission aspects where the speaker outputted narratives without being particularly affected by the real world in conversion to the stage of outside tale start as the public domain. 2) shows the case where the private domain accounted for a similar relative weight to the public domain. Namely, it is the case where the stage of inside tale start as the individual's private domain was under a constant effect of the real world as the public domain. 3)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public domain was more prevalent than the private domain. Namely, it is the case where narrative for the individual's private domain was subjected to much transition due to intervention of the real world. Among tales of the submerged districts, 2) was prevalent for Daepyeong-ri while 1) was prevalent for Sapyeong-ri and Shinpung-ri. In particular, the case of 3) was displayed only in Daepyeong-ri. Whereas such transmission aspects as above can be considered as the distinctiveness of the submerged district of Daepyeong-myeon, they may also be considered as a universal aspect of dictated narrative that is transmitted by memory.
    Such results could not clarify whether they only corresponded to the distinctiveness of the submerged district of Daepyeong-myeon since the object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one myeon unit of the submerged district. The work of expanding the scope to other submerged districts for comparative analyses in the future shall remain as a ta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