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Feeding’ and ‘Eating’ in the Buddhist Rituals in Korea: Focused on the Triple Modes of Bulgong佛供)·Seungjae(僧齋)·Shishik(施食))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7.09
38P 미리보기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종교문화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문화비평 / 32권 / 32호 / 219 ~ 256페이지
    · 저자명 : 민순의

    초록

    이른바 재례(齋禮)로 통칭될 수 있는 현행 한국불교의 주요 의례들은 그 제차의 상당 부분이 먹이고 먹는 행위의 양식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국불교가 ‘먹임’과 ‘먹음’이라는 행위에 대해 갖는 의미를 주목하게 된다. 본고는 불공(佛供), 승재(僧齋), 시식(施食)이라는 3종의 의례 절차에 주목하여, 한국불교의 의례에서 먹임/먹음과 관련된 절차의 구조와 양상, 역사적 변천과 그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초기불교는 신체의 손상에 이르는 과도한 절식이나 음식에 대한 탐착 모두를 거부하는 중도(中道)적 음식관을 지니고 있었다. 음식의 섭취는 적절한 건강상태를 유지하여올바른 수행을 가능케 하는 수단이었다. 음식에 대한 이 같은 초기불교의 중도적 기능주의의 태도는 이후 불교의 전 역사를 통해 관철되었다.
    당초 재가신도들이 승려들의 수행을 보필하고자 공경의 마음을 담아 음식과 생활필수품 등을 바치던 행위인 공양(供養)은 동시에 재가자들 스스로가 공덕을 쌓는 수단으로도 인식됨으로써, 공양은 승단과 재가 사이에서 불도수행(佛道修行)과 공덕(功德)이라는 가치를 주고받으며 성립되는 이원론(dualism)적인 상호 교환적 가치체계를 구축하게된다. 이후 대승불교의 불탑공양을 거쳐 동아시아로 전파되며 그 신앙적 의미가 깊어진불공(佛供)의 의례는 상단(上壇)의 불보살에게 바쳐짐으로써 그들의 초월적 위신력과 가피를 구하려는 종교적 의미 또한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승려들을 초청하여 음식을 제공하고 설법을 듣는 초기불교의 청식(請食) 전통은 불공의 종교적 의례화와는 별도로 존속하였으며, 고중세기 한국 사료에 남아있는 반승(飯僧)의 기록은 그 대표적인 흔적으로 보인다. 그런데 반승의 사례는 청식의 전통이한국 등 동아시아 불교문화에서 변용되면서 국가권력과 왕권의 강화에 기여하는 정치사회적 의미를 띠게 되었음을 노정한다. 그러나 이는 동시에 수행과 깨달음이라는 목표를 지향하는 종교적 축제로서의 기능적 의미적 확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오늘날 반승은 영산재 식당작법(食堂作法)의 승재(僧齋) 양식 속에 그 흔적을 남긴 듯하다.
    하단(下壇)의 영가(靈駕)에게 행해지는 시식(施食)은 한국불교의 재례가 자비와 공덕의 대상을 삼세중생으로 넓혀 우주적 차원의 구원론으로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단계에 이르러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 주체의 음식에 대한 태도는 초기불교의 ‘수행과 불이론(不二論)적으로 합치하는 공덕 추구’에서 ‘세속적 국가권력의 강화’ 태도를 거쳐 마침내 ‘공덕과 회향(回向)의 우주적 확산’이라는 국면으로 착실히 수렴되고 있다. 또 먹음 주체의 입장에서는 먹음으로 표상되는 자력적 수행의 차원이 종내 타력적 구원으로 확장됨으로써, 국가-교단 간의 권력 관계를 넘어 대중적 기복 신앙으로 기층화되는 양상을 보게 된다. 재가신도와 하층민 나아가 삼세육도의 모든 중생에게 혜택과 공덕이 미치며 세속적인 측면까지 아우르는 축제 분위기에 도달한 것이다.
    요컨대 한국의 불교의례는 초기불교의 기능주의적 물질적 음식관과 승단 청식의 전통을 받아들이며, 상단과 중단 그리고 하단에 이르는 3중의 의례적 구조를 완성하였고, 그 과정에서 수행과 공덕의 상호 교환적 가치로 재해석되는 이원주의적 사유체계, 초월적 존재에 대한 종교적 신앙심, 국가와 교단간의 정치사회적 권력관계, 수행과 공덕으로 성속을 아우르는 축제의 이미지, 그리고 마침내 자력과 타력을 두루하는 우주적 차원의 불교구원론이라는 다양한 의미의 지층을 중층적으로 포섭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jaeryes(齋禮, upavasatha rituals), one of the main Korean Buddhist rituals of today,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acts of ‘feeding’ and ‘eating’. This treatise is focused on the triple practices of Bulgong(佛供, offering food to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Seungjae(僧齋, serving food to Buddhist monks) and Shishik(施食, offering food to others, especially ghosts), and then examines the structures, the aspects, the historical changes and the meanings of feeding/eating in those procedures.
    Early Buddhism held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ude on food, and this attitude prohibited both the excessive temperance in food and the attachment to food. The intake of food was just to maintain a good health and to perform the appropriate religious self-disciplines. This tendency has been carried on throughout history.
    The gongyang(供養), which is offering action to monks by the lay persons out of the respects for monks’ disciplines,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means for the lay persons to accumulate the merits, or the Buddhist charities, by doing good for others. Therefore, a dualistic and commutative value system has been established between the saṃgha and the laity : indulging in Buddhist self-disciplines for the monks and the charity-based merits for lay persons. The gongyang has been diversified in its forms and its various concepts has been widely disseminated to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It comes up to claim the religious meaning : the pursuit of transcendental force from the transcendental Buddhas and Bodhisattvas. In this connection, the gongyang was performed to dedicate things to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at the top altar of the main hall in the temple : it is also called Bulgong(佛供).
    Meanwhile, the tradition of inviting Buddhist monks to dinner and listening to Buddhist sermon in return had been transformed into Banseung(飯僧, ritual for kings to feed the monks) in Shilla(新羅) Dynasty of Korean Ancient Ages and in Koryeo(高麗) Dynasty of Korean Middle Ages. Actually the mode of Banseung practices demonstrated the national power which was overwhelming the Buddhist order. It also functioned as a kind of festival which was sacred rather than secular. Festivals are usually the entertainments and the enjoyments for the commoners but this Buddhist festivals were in a way of promoting the Buddhist self-disciplines and enlightenment. Today it seems to be handed down in the form of a Buddhist ritual practices called Shikdangjakbeop(食堂作法) : it is also called Seungjae(僧齋).
    Finally Shishik(施食), the ritual practices of offering food to ghosts displayed at the bottom altar of the main hall of the temple, shows the popular and universal Buddhist salvation. In this step, the attitude-to-food of feeding agents in the Buddhist rituals becomes to have the overlapping meaning, from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ude on food and the dualistic and commutative value system around religious self-disciplines and charities in Early Buddhism, to the popular and universal extension of religious salvation. Simultaneously, the way of self-disciplines includes not only one’s own exertion but also pursuit of transcendental power in a dimension of the eating agents of Buddhist rituals. It means the popularization of the faith for blessing. Now, in a sense, it seems the festival over the sacred and the secular together.
    In short, Korean Buddhist rituals accepted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de on food and the tradition of inviting Buddhist monks to dinner in early Buddhism, and completed the triple ritual-altar structures from top for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to bottom for ghosts and mean creatures. And then it involved the dualistic thinking system of mutual exchangeable values around religious self-disciplines and charities, the faith in transcendental beings, the power relation between national order and Buddhist order, the image of festival over the sacred and the secular together, and finally universal salvation concept embracing the salvation from one’s own exertion and that from outside. And all of those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s of feeding/eating in the Korean Buddhist ritual procedures and performanc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문화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