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비베까의 비-채식주의: 고기를 먹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 고기 먹기를 원하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 (Bhāviveka’s Non-vegetarianism: Is Killing Caused by the Act of Meat-Eating or of Desiring to Eat Mea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1.04
24P 미리보기
바비베까의 비-채식주의: 고기를 먹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 고기 먹기를 원하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61호 / 97 ~ 120페이지
    · 저자명 : 함형석

    초록

    본고는 바비베까(Bhāviveka, 500-570 CE)의 저작 『중관심론』(Madhyamakahṛdayakārikā)과 그에 대한 주석 『이성의 불꽃』(Tarkajvālā)의 아홉 번 째 챕터인 「미망사장」(Mīmāṃsātattvanirṇayāvatāra)에 등장하는 비-채식주의(non-vegetarianism) 논의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6세기 중관논사인 바비베까가 기본적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청정한”(trikoṭiśuddha) 고기에 대한 섭취를 허용하는 율장의 육식관련 규정을 전적으로 긍정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바비베까는 또한 육식은 필연적으로 살생을 야기하거나 조장한다는 반론자에 의견을 반박하기 위해 육식과 살생 간의 인과관계를 인정하였을 때 발생하게 되는 불합리한 결론(prasaṅga)들을 나열하여 육식이 아니라 육식을 하고자 하는 욕망이 살생과 연결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비록 바비베까가 그가 상대하였던 채식주의자들의 주장이 확정적이지 않음을 보여 채식주의를 불교도들의 식사규칙으로 삼을 것에 반대하고는 있지만, 그가 문제 삼지 않는 육식행위는 승려의 탁발행위에 제한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의 논의를 육식을 옹호하는 보편적인 논리로 확대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Bhāviveka’s (500-570 CE) non-vegetarianism appearing in the ninth Mīmāṃsā chapter of the Madhyamakahṛdayakārikā and its commentary, the Tarkajvālā. Examining the Buddha’s (or rather Siddhārtha’s) thought that he had before deciding to partake a meal offered by Sujātā as contained in the works such as Aśvaghoṣa’s (80-150 CE) Buddhacarita and the Mahāsaccakasutta (the thirty sixth sutta of the Majjhima Nikāya), it first identifies the basic Buddhist attitude toward the act of eating. Against this background, it then introduces Bhāviveka’s counter-arguments toward the opponents, the adherents of the Mahābhārata (rgyas byed), who argue that meat-eating is tantamount to killing animals. By so doing, it confirms that Bhāviveka saw no moral problem in the Buddhist practice of eating meat that is “pure in three aspects” (trikoṭiśuddha) as prescribed in the Vinaya.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what Bhāviveka defended was not the Buddhists’ meat-eating per se, but the Buddhists’ mode of eating, that is, eating one’s alms (bhaikṣānna). In short, Bhāviveka defended the Buddhists’ practice of eating meat fallen onto one’s own begging bowl by chance (yadṛcchāgatabhakta).
    The paper also considers the so-called “extra Tibetan verses” (Kawasaki 1992b) contained in the Tarkajvālā on the Madhyamakahṛdayakārikā 9.136. Acknowledging the interpretive difficulties in reading those verses, it argues that what Bhāviveka aimed at is not showing the emptiness of karmic consequence (svabhāva) of meat-eating (māṃsabhakṣaṇa). Bhāviveka rather, it argues, attempted to establis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to eat meat and animal slaughter and thereby to assert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at-eating and killing supposed by the opponents is wrong. It concludes that Bhāviveka emphasized that eating meat contained in begged food is an non-intentional act, and therefore, is not morally reproachable. Lastly, it is discussed whether Bhāviveka’s anti-vegetarian, or more precisely, non-vegetarian arguments can justify our meat containing meals given that his fault-free meat diet does not only consist of threefoldly pure meat but is also unmotivated by a crave for the flavor of me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