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할아뱜할먐> 굿놀이의 양식성과 문화적 의미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Meanings of nori in Baeyeonsingut of West Coast in Kore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8.02
28P 미리보기
&lt;영산할아뱜할먐&gt; 굿놀이의 양식성과 문화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31권 / 387 ~ 414페이지
    · 저자명 : 강석민

    초록

    이 글은 무당굿놀이의 양식성에 대한 한 고민을 담고 있는 것으로, 굿놀이의 다양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황해도굿, 그 중에서도 서해안배연신굿에서 연행되는 <영산할아뱜할먐놀이>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지금까지 무당굿놀이에 대한 연구는 무악의 반주와 무가의 구송이 판을 이끄는 무당굿 굿거리의 전반적인 특성과는 달리, 연극적인 행위가 발견되는 굿거리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대체로 인접 민속연희와의 연관성이 논의되어 왔고, 이와 더불어 다른 굿거리에 비해 지역적인 편차가 크기 때문에 개별 지역 굿놀이 간의 현상적 유사성과 차이성이 논의되어 왔다. 이 글은 개별 굿놀이 사례에 더욱 주목함으로써 단일한 명칭 규정이나 성격 규정으로부터 벗어나 굿놀이가 가지는 양식적 특징의 부각을 통해 그 문화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서해안배연신굿의 <영산할아뱜할먐놀이>의 양식성은 서사의 일관성과 등장인물의 성격, 구체적 사건의 언명, 노래의 배치 등에 의해 해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산할아뱜할먐놀이>는 국가/민족적 전란 상황에 놓인 가족 공동체의 분열과 그것의 회복이 서사적 목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병자호란으로 인해 헤어진 가족이 서로를 찾아 헤매다가 마침내 만나게 되고, 비어있는 어창(魚艙)을 향한 그물올림 행위를 통해 만선을 희구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전체적으로 결핍에서 풍족, 혹은 상실에서 회복의 서사로 구성되고 있어, 결핍의 해소나 안정의 희구라는 목적에 일제히 수렴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은 ‘영산할먐’과 ‘영산할아뱜’, 그리고 둘째 아들 ‘개똥이’이다. 영산할먐은 ‘무당’이고, 영산할아뱜은 어로노동에서 상급 지위를 갖는 ‘영좌’, 그리고 개똥이는 배에서 궂은 살림을 담당하는 ‘화장’으로 등장하여 그 직업이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즉 무당-영좌-화장이라는 인물이 가족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등장인물들은 이중의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병자호란이라는 구체적인 사건이 언명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영산할아뱜할먐놀이>에서 병자호란은 ‘난리통’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한국인의 의식 속에 켜켜이 쌓인 파탄과 결핍의 기억, 혹은 국가/민족적 트라우마로 주목될 필요가 있다. 왕조사와는 별개로, 이 굿놀이에서 병자호란은 개인이나 공동체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사건으로, 이들에게는 가족 이산의 계기가 되는 사건이 된다. 이는 가족의 붕괴가 위기상황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그런 위기를 타개하고자 일제히 서로가 길을 나서는 계기가 된다.
    더욱이 결핍 해소의 과정과 결말은 노래로 매듭이 지어진다는 점이 확인된다. 영산할아뱜과 영산할먐이 서로를 찾는 과정과, 영산할아뱜, 영산할먐, 개똥이가 마침내 서로 만나 기쁜 마음으로 부르는 <난봉가>와 함께, 만선을 위해 고기잡이를 재현하는 과정에서 부르는 <술비소리>와 만선을 이루어 육지로 돌아갈 때 부르는 <배치기>는 결핍 해소의 과정과 결말이라는 서사적 흐름의 기점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그것은 단순히 굿놀이를 극적 결말을 맺어가는 과정에서 나아가, 공동체의 안녕과 풍어의 염원을 충족하고 무당과 선원, 참여자들이 함께 축제적 결말을 맞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처럼 개인․공동체․사회의 불안에 대한 대응이 굿을 성사시키는 만큼, 불안은 굿을 필요로 하는 요인이 된다. 즉 불안이 안정으로 이어지는 서사에 굿놀이의 구성 요소들이 일제히 수렴된다는 것이 확인되며, <영산할아뱜할먐놀이>의 서사는 그러한 흐름에 따라 가족의 헤어짐과 만남이라는 ‘가족 공동체의 회복’과 텅 빈 어창(魚艙)에서 만선(滿船)이라는 ‘풍어의 예축’으로, 즉 사회문화적․주술종교적으로 두 층위를 이루고 있다. 이에 <영산할아뱜할먐놀이>는 무당굿의 제의성으로부터 연극성과 축제성을 두루 정연하게 갖추면서 그것을 굿놀이의 계기로 발산한다. 아울러 그 서사는 공동체와 밀접한 문제를 다루면서 그것의 회복이라는 일정한 목적 지향을 향해 수렴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As a way of consider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udanggut-nori (Shamanistic theatre), this study will analyze <Yeongsan Harabyam Halmyam-nori> played in Baeyeonsingut of the West Coast, one of the gut kinds in Hwanghae-do from which we can figure out the aspects of gut-nori. So far, research on Mudanggut-nori has been focused not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danggut(exocisms) gutgeori led by the accompaniment of a shaman band and the shaman song recited but on gutgeori where theatrical deeds are found. On account of that, mostly, the relationship with folk plays in adjacent areas was discussed, and along with that, since regional deviation found in it is much bigger than other kinds of gutgeori, phenomenal similarities or differences in gut-nori among different regions were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y keener attention to the individual cases of gut-nori and examin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ut-nori being freed from giving a particular name or defining its characteristics as a way of figuring out its cultural meanings.
    It seems tha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Yeongsan Harabyam Halmyam-nori> in Baeyeonsingut of the West Coast may be able to be understood through the narrative consistency, characters’ personality, statement of a particular event, or arrangement of songs. The narrative purpose of <Yeongsan Harabyam Halmyam-nori> is set to reveal the division of a family community due to the national/ethnic war situations and recover from it. For instance, the families that drifted apart for Byeongjahoran try to find each other and finally get together, and with an act of dragging the net, they are hoping for a good haul of fish that will fill the empty fishroom. In general, the narrative leads from lacking to abundance or from loss to recovery. The aspects found there are all associated with the settlement of deficiency or pursuit of stability.
    Also, the characters appearing there are ‘Yeongsan Halmyam’, ‘Yeongsan Harabyam’, and their second son, ‘Gaeddongi’. Yeongsan Halmyam is ‘a shaman’, Yeongsan Harabyam is ‘yeongjoa’ having a senior position in the labor of fishing, and Gaeddongi is ‘hwajang’ running on all sorts of errands in the ship, so the jobs are presented in detail. Since the characters as a shaman-yeongjoa-hwajang appear as a family, which means they form a twofold network. Along with that, we should focus on the announcement of a particular event called Byeongjahoran. In <Yeongsan Harabyam Halmyam-nori>, Byeongjahoran is depicted as ‘some kind of disturbance’, and we have to see it as the layers of failure, memory of deficiency, or national/ethnic trauma in the heads of Koreans. Aside from the history of dynasties, Byeongjahoran is an event that any individuals or communities have nothing to do about in this gut-nori. To the families, it is an incident that causes separation. The family collapse is set as a risky situation in it, and in order to get over that risk, each of them comes out to walk through their own path.
    Moreover, the process of settling down deficiency and ending it is concluded by a song. <Nanbongga> that Yeongsan Harabyam and Yeongsan Halmyam sing while they are struggling to find each other and Yeongsan Harabyam, Yeongsan Halmyam, and Gaeddongi sing with joy when they finally meet each other, <Sulbisori> that they sing when they are trying to catch fish hoping for a full fishroom, and <Baechigi> that they sing as they are going back to the land with a full fishroom are all arranged at the points of narrative flow leading from the settlement of deficiency to ending. In addition, they are not simply to lead the gut-nori to a dramatic ending but to reach a festive climax all with the shaman, crew, and participants wishing for the community’s well-being and satisfying the needs for a good catch of fish.
    Because gut is carried out as a way to cope with personal, community, or social anxiety, anxiety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gut. In other words, the components of gut-nori all correspond to the narrative intended to move from anxiety to stability. With the purpose, the narrative of <Yeongsan Harabyam Halmyam-nori> has two layers of socio-cultural aspects and shaman faith with ‘the recovery of a family community’ that regards a family departing and then reunited and ‘celebrating a good catch of fish’ from an empty fishroom to a ship full of fish. In this way, <Yeongsan Harabyam Halmyam-nori> takes a chance for being gut-nori equipped not only with the rituality of Mudanggut but also theatricality as well as festiveness in arrangement. Furthermore, we can see that dealing with the probl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mmunity, the narrative is oriented consistently to a goal of recovery from t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