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姜希孟의 『 衿陽雜錄』 저술 의도와 ‘士’로서의 정체성 (Reconsideration of Kang Hŭimaeng’s Kŭmyangjamnok: Agricultural Knowledge and the Identity of Literat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3.10
29P 미리보기
姜希孟의 『 衿陽雜錄』 저술 의도와 ‘士’로서의 정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63호 / 85 ~ 113페이지
    · 저자명 : 장래건

    초록

    이 글은 농업사 연구와는 다른 관점에서 『금양잡록』을 읽어본 것이다. 그간 농업사 연구들은 『금양잡록』이 사찬 농서라는 점에 주목하면서도 그 저술 의도는 대체로 일국사적인 관점에서 이해했다. 이 문헌은 국가의 농정을 보완하는 것이거나 일국사의 발전을 가리키는 합리적인 농업 발달의 지표로 중시되었다. 하지만 그렇게만 독해했을 때 해명되지 않는 지점들도 있다. 이 농서의 제명은 왜 『금양잡록』인가. 경험에 기초해서 기존 농법을 보완하려 했다면 강희맹의 관심은 어째서 금양별업에 한정되었는가. 그토록 중요한 업적을 어째서 그 누구도 강희맹의 일생에 관한 기록에 적지 않았는가. 농업 지식과는 무관해 보이는 내용이 책에 들어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글은 나름대로 이런 질문들에 대답해보려고 했다.
    『『금양잡록』은 막연히 금양현을 염두에 두었다기보다 철저하게 금양별업이라는 장소를 전제로 작성된 텍스트다. 금양별업은 강희맹의 일상을 영위하는 중요한 기반이기도 했고, 처족으로부터 상속받은 선대의 터전이기도 했다. 가계의식이 투철했던 강희맹으로서는 금양별업을 경영하는 일이 중요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물론 그의 가계의식은 결코 同姓의 부계 혈족에 국한되지 않았다. 그런 강희맹으로서는 금양별업을 경영하는 위해서라도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채집하지 않을 수 없었다.
    강희맹은 금양별업 경영을 전제로 농사를 중시하기는 했지만, 그것을 농정에 대한 정책적 기여로 확장하지는 않았다. 강희맹은 농사가 자신의 업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는 철저하게 본인의 업이 ‘士’라는 정체성 위에서 농업을 바라보았다. 『금양잡록』에서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어디까지나 사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데 보탬이 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금양잡록』은 기본적으로 금양별업 경영을 위한 ‘가내 농서’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강희맹은 그 토대 위에서 士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분명하게 드러냈다. 이 책이 특별한 의미 없이 ‘잡록’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는 사실은 강희맹의 저술 의도가 소농 경영 안정화와 거리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takes an intellectual historical perspective to reinterpret Kŭmyangjamnok (The Miscellaneous Records of Kŭmyang), a book on agriculture written by Kang Hŭimaeng, a high-ranking official in the fifteenth-century Chosŏn dynas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y was the book titled “jamnok” (miscellaneous records)? Why was Kang Hŭimaeng’s focus limited to the “Kŭmyang” region? Why does an agricultural book include knowledge unrelated to farming? This article argues that Kŭmyangjamnok is a text written entirely on the premise of the Kŭmyang Pyŏrŏp (special activities villa). Kŭmyang Pyŏrŏp was an important basis for Kang Hŭimaeng as it was his place of residence and an ancestral site he inherited from his wife’s family. As a person who valued his lineage, managing Kŭmyang Pyŏrŏp was naturally a priority for Kang Hŭimaeng. His perception of his lineage was not limited to the paternal lines of his clan, which differentiates him from the understanding of clans prevalent in the late Chosŏn dynasty. It was, therefore, inevitable for Kang Hŭimaeng to collect the necessary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manage Kŭmyang Pyŏrŏp.
    Despite his emphasis on farming for the management of Kŭmyang Pyŏrŏp, Kang Hŭimaeng did not extend his knowledge to contribute to improving agricultural policies. He did not believe that farming was his calling. Rather, he considered farming based on his firmly rooted identity as a “sa” (literati). For Kang Hŭimaeng, agricultural knowledge could only have significance under the premise of his identity as literat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후